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823

[세포생물학] 5.3 : transmembrane transport 1 - 미토콘드리아 수송(mitochondrial transport)

이번 포스트부터는 transmembrane transport(막 간 수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특별히 이번 포스트에서는 transmembrane transport의 한 종류인 cytosol->mitochondria로의 수송 과정에 대해 알아볼게요. 위 그림에는 mitochondria(미토콘드리아) 내부 구조에 대한 명칭이 표시되어 있어요. 간단히 살펴보면, mitochondria는 2개의 막으로 구성되어 있고, 안쪽에 있는 막이 inner membrane(내막), 바깥쪽에 있는 막이 outer membrane(외막)이에요. 그리고 내막과 외막 사이 공간을 intermembrane space(막사이공간)라고 불러요. 그 밖에, 내막 안쪽의 공간을 matrix(기질)라고 부른다는 것도 알아두시면 좋아..

다육식물, 다육이의 특징, 생애, 번식, 생물학

다육식물 하면 위 그림과 같은 오동통한 식물 이미지가 떠오르시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관상용으로 키우곤 하는 다육식물에 대해 낱낱이 파헤쳐볼게요. 1. 다육식물의 생물학 다육식물의 잎은 많은 경우 아주 통통한데, 이 통통한 잎은 기본적으로 물을 저장하기 위해 존재해요. 이런 구조가 존재하는 이유는 이들이 주로 살아가는 환경 때문인데, 이들은 매우 덥고 건조한, 사막 같은 환경에서 주로 서식해요. 그러다 보니 물이 귀해서 조금이라도 물을 덜 잃기 위해서 물 저장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진화하게 된거죠. 사실 다육식물은 '속씨식물', '겉씨식물' 같은 분류법처럼 식물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때 사용되는 말은 아니에요. 단지 사막과 같은 기후에 살아서 잎, 줄기, 혹은 뿌리에 물을 ..

dangle 단어의 뜻, 사용용례, 예시

이번 포스트에서는 원서에서 자주 등장하는 dangle이라는 단어의 뜻, 사용용례, 예시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dangle을 영어사전에 검색해보면, to hang loosely, or to hold something so that it hangs loosely 라고 나와요. 즉, 쉽게 말해서 어떤 곳에 약하게(loosely) 매달다(hang) 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요. 감을 잡기 위해 dangle이 들어간 예문 몇가지를 살펴볼게요. loose electric wires were dangling from the wall. 느슨한 전기줄이 벽에서부터 매달려있다. I like to sit on the edge and dangle my feet in the water. 나는 물가에 앉아서 발을 달랑달랑거리는 것을..

[대학원 입시] 대학원 연구실 컨택(contact) 방법 - 탐색, 컨택메일, 면담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대학원 입시에 있어서 필수적인, 교수님께 컨택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해보도록 할게요. 대학원은 대학과는 달리 대부분의 경우 입시와는 별개로 교수님과 1:1로 컨택을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만약에 컨택 없이 대학원 입시만 합격하게 되면, 내가 원하는 랩에 들어가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높고, 극단적인 경우 갈 실험실이 없어서 등록포기를 해야 하는 상황까지 올 수 있어요. (물론 카이스트의 몇몇 과 같은 경우 선 컨택을 금지하는 암묵적인 규칙이 있기도 하니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에 따라 컨택이 필수가 아닐수도 있어요) 이처럼 중요한, 교수님과의 컨택, 하지만 막상 하려고 하면 어떻게 해야할지 감도 오지 않는데요. 컨택은 보통 아래와 같은 단계들로 이루어져요. 1. 김..

roar 단어의 뜻, 사용용례, 예시

이번 포스트에서는 원서에서 자주 등장하는 roar라는 단어의 뜻, 사용용례, 예시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roar를 영어사전에 검색해보면, a full, deep, prolonged cry uttered by a lion or other large wild animal. 이라고 나와요. 직역하자면, 사자, 혹은 다른 동물 등이 지속적으로(prolonged) 내뱉는(uttered) 깊은 포효에요. 다시말해 roar는 명사로 포효, 노호, 으르렁거리는 소리 등으로 생각할 수 있고, 그 외에 동사로 울리다, 으르렁거리다와 같은 뜻으로 사용될수도 있어요. 감을 잡기 위해 roar가 들어간 예문 몇가지를 살펴볼게요. the lion is roaring. 사자가 포효하고있다. the audience roared wi..

leap 단어의 뜻, 사용용례, 예시

이번 포스트에서는 leap이라는 단어의 뜻과 사용용례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leap을 영어사전에 검색해보면, to make a large jump or sudden movement, usually from one place to another 이라는 설명이 나오는데요! 쉽게 말하자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급격하고 큼지막하게 폴짝 뛰는 행동을 의미하는단어가 leap이에요. 더 나아가서, 물리적으로 폴짝 뛰는 행위 뿐만 아니라 '도약, 증가' 등의 의미로 쓰이기도 해요. 감을 잡기 위해 leap이 들어간 예문 몇가지를 살펴볼게요. Tom leaped out of bed. 톰은 침대를 뛰쳐나왔다. the dog leaped at a stranger. 개가 낮선 사람에게 뛰어들었다. * stranger : ..

나는 어떻게 과학고등학교에 들어갔나 part 1 : 영재교육원

저는 대구의 한 과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현재 대학원에 입학할 예정이에요. 대학 생활을 정리하면서 옛날 문서들을 정리하다 보니, 문득 예전에 제가 어떻게 살았나 궁금해졌고 계속 찾아보다 보니 중학교 시절에 제가 과학고등학교 입시를 준비했던 기록들까지 찾아보게 되었어요. 그런데 참......ㅎㅎ 과고를 졸업하고 과학기술원 졸업을 앞둔 제가 보니 부족했던점, 아 저랬으면 더 좋았겠다 하는 점이 눈에 보이더라고요! 그래서 몇 개의 포스트에 걸쳐서 제가 예전에 과학고등학교 입시를 어떻게 준비했었는지, 그리고 지금 제가 봤을 때 어떤 부분이 아쉬웠는지에 대해서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해요. 물론 지금의 과학고 입시는 예전과 다른 점이 있겠지만, 적어도 지방 과학고를 지망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

[유전학] 4.1 : 생물학적 성(biological sex), 다양한 생물들의 life cycle

이번 포스트에서는 성(sex) 그 자체에 대해 생물학적으로 생각해보고, 이어서 각종 생물들의 다양한 life cycle에 대해 알아보자. 1. 생물학적 성(sex) sex는 왜 진화적으로 보존된 것일까.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meiosis를 통해 종 내 genetic variation이 커져서 결과적으로 (다양한 상황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므로) 진화적인 메리트를 주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볼 수 있음. 그렇다면 인간의 경우 왜 하필 두 개의 성이 있는 것일까. (즉, 왜 인간에게서는 sex dimorphism이 나타나는가) 이는 아마 2개만 있어도 충분한 genetic diversity가 발생할 수 있고, 너무 성의 수가 많을 시 지나친 돌연변이가 발생해서 negative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일 ..

[유전학] 3.2 : 이중교차(double crossover, DCO), mapping methods(e.g. GWAS, CAPS), 정방향 유전학(forward genetics), 역방향 유전학(reverse genetics)

1. 이중교차(double crossover, DCO) 앞서 single crossover를 통해서는 두 개 gene의 cM값, 즉 상대적인 distance를 알 수 있었음. 한편 double crossover(DCO)의 경우 일단 확률적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너무 낮음. 위 그림에는 DSO의 결과물이 나타나 있는데, 보면 recombinant와 paternal chromosome을 비교해 볼 시 딱 가운데 부분만 다름. 결국 DSO를 이용할 시 두 gene 사이에 위치한 세 번째 gene의 존재를 알 수 있고, 그 결과 gene들의 순서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함. 한편 3개의 gene들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결정해서 mapping을 수행하고자 할 때, 아래의 세 가지 criteria를 반드시 만족해야..

[유전학] 3.1 : 염색체 매핑(chromosome mapping), 염색체 교차(crossover), SCO(single crossover)

이번 chapter에서는 진핵생물(eukaryote)에서의 염색체 매핑(chromosome mapping)에 대해 중점적으로 알아보자. 위 그림에도 나타나 있는 것처럼 meiosis I 중기에 crossover라는 현상이 발생함. 이 때 cross되는 대상들은 non-sister chromatid끼리이며, 이들의 crossover에 의해 교차(recombination)가 발생함. 이러한 crossover는 모든 chromosome에서 최소 2, 3번(random한 위치에서) 발생함. 그런데 이 때 서로 연관된 gene(즉, 거리가 가까운, linked gene)들은 crossover 시 서로 같이 붙어다닐 확률이 더 높음. 위 그림은 meiosis의 결과 나타날 수 있는 consequence들에 대해 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