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90

[생명과학 1] 1.1 : 생명현상의 특성

이번 포스트에서는 고등학교 생명과학 1의 맨 첫 번째 등장하는 내용인 생명현상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생명과학이라는 과목을 본격적으로 이해하고 배우기 이전에, 일단 생명과학에서 다루는 '생명체'라는 대상이 무엇인지에 대해 명확히 알 필요가 있어요. 다시 말해 길가다 마주치는 전봇대(무생물)와 사람(생물)이 도대체 어떤 점에서 다른지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거죠.  기본적으로 생명체는 무생물과는 달리 아래에 나열된 것과 같은 독특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어요.   1. 세포(cell)로 구성되어 있다. 2. 물질대사(metabolism)를 한다. 3. 자극에 대해 반응하고, 그 결과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한다.  4. 발생하고 생장한다.  5. 생식을 통해 자손에게 형질을 유전한다.  ..

[세포생물학] 4.3 : 수동수송(passive transport)

이번 포스트에서는 수동수송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볼게요. 일단 능동수송, 수동수송의 기본개념이 궁금하신 분들, 혹은 능동수송에 대해 특별히 더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이전 포스트들을 참조해주세요. [세포생물학] 4.1 : 지질막 투과성, 세포막 물질수송 이번 포스트에서는 지질막의 투과성, 그리고 세포막을 통해 일어나는 각종 물질수송의 종류에 대해 알아볼게요. 1. 지질막의 투과성 앞서 세포막을 이루고 있는 인지질 이중층이 위와 같이 생겼 unicellular.tistory.com [세포생물학] 4.2 : 능동수송(active transport) 저번 포스트에서 막수송의 대략적인 개념에 대해 살펴봤다면, 이번 포스트에서는 능동수송에 대해 본격적으로 알아볼게요. 이전 포스트에서 설명했듯이 능동수송은 오..

[생물 상식] 눈썹문신(반영구화장)의 원리, 부작용

이번 포스트에서는 눈썹문신(반영구화장)의 원리와 발생 가능한 부작용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1. 눈썹문신 원리 눈썹 반영구문신의 원리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서는 원래 우리의 피부 색깔을 내는 구성요소가 어떤 것들인지에 대해 먼저 알고 있어야 해요. 우리의 피부는 위 그림과 같이 생겼는데요. 보시면 피부를 크게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지방(hypodermis)으로 나눌 수 있어요. 이 중 피부색을 결정하는 데 있어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녀석인 멜라닌 색소(melanin cell)는 맨 위쪽 표피(epidermis) 중 가장 깊숙한 곳에 있어요. 위 그림은 피부 중 맨 가쪽의 표피(epidermis)를 더 자세히 나타내주고 있는데요. 보시면 표피의 맨 아래쪽 부분에 갈색으로 표..

생물학 맛보기 2021.01.21

[세포생물학] 4.2 : 능동수송(active transport)

저번 포스트에서 막수송의 대략적인 개념에 대해 살펴봤다면, 이번 포스트에서는 능동수송에 대해 본격적으로 알아볼게요. 이전 포스트에서 설명했듯이 능동수송은 오로지 transporter에 의해서만 일어나고, 농도차에 반해서 물질을 퍼올리기 때문에 에너지원이 필요해요. 능동수송을 일으키는 transporter에는 크게 3가지 종류가 있는데, 지금부터 이들 각각에 대해 알아볼게요. 1. coupled transporter coupled transporter는 말 그대로 특정 물질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coupled된 다른 물질의 이동이 수반되는 transporter를 말해요. 이게 무슨 말이냐... 위 그림은 transporter를 물질 수송 방식에 따라 분류해놓은 것인데요. 이 중 맨 왼쪽, 즉 uniport와..

[원서 리딩을 위한 영숙어] for good

이번 포스트에서는 for good이라는 숙어의 뜻과 사용용례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이 표현은 원서에서도 자주 등장하고, 일반 회화에서도 자주 쓰이는 만큼 꼭 알아두실 필요가 있어요. for good은 '영원히'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주로 문장의 맨 끝에 쓰여요. good은 '좋은', '충분한' 등과 같은 뜻을 가지는 반면 for good의 뜻은 good의 뜻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요. for good은 '영원히 ~~~한다'는 식의 서술구조에서 거의 대부분 사용 가능한데요. 감을 잡기 위해 for good이 들어간 예문 몇가지를 살펴볼게요. Their factory had to close down for good. 그들의 공장은 영원히 문을 닫을 수 밖에 없었다. Is this just a flying..

[세포생물학] 4.1 : 지질막 투과성, 세포막 물질수송

이번 포스트에서는 지질막의 투과성, 그리고 세포막을 통해 일어나는 각종 물질수송의 종류에 대해 알아볼게요. 1. 지질막의 투과성 앞서 세포막을 이루고 있는 인지질 이중층이 위와 같이 생겼다고 말했었어요. 보시면 친수성 머리(hydrophilic head)가 바깥쪽으로, 소수성 꼬리(hydrophobic tail)가 안쪽으로 향해있어요. 위 그림을 가만히 들여다봤을 때 친수성 머리와 소수성 꼬리 중 어떤 것의 비율이 더 많아보이나요? 소수성 꼬리가 더 많아보이지 않나요? 실제로도 친수성 머리는 바깥쪽 한 층만을, 소수성 꼬리는 안쪽 몸체 전부를 구성하므로 세포막의 전반적인 특성은 소수성이라 할 수 있어요. 이게 무엇을 의미하느냐... 인지질 이중층을 그냥 투과하기 위해서는 '소수성'을 가져야 한다는 거죠...

[생물 상식] 라식, 라섹, 스마일라식, 투데이라섹의 원리, 차이점, 비용

이번 포스트에서는 많이 헷갈려하시는 라식, 라섹, 스마일라식, 투데이라섹의 원리, 차이점, 비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그냥 라식, 라섹, 스마일라섹, 투데이라섹의 차이점과 비용에 대해서만 알아보고자 하시는 분들은 글의 맨 마지막 부분만 참조하셔도 좋을 것 같아요! 용어부터 꽤나 비슷하고, 셋 다 시력교정술로 사용되기 때문에 언뜻 봐서는 비슷비슷한것처럼 보이는데요. 이 녀석들의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눈의 해부학적인 구조에 대해 먼저 알 필요가 있어요. 눈은 위와 같이 생겼는데요. 영어로 쓰여있어서 엄청 어려운 것처럼 느껴지지만 한국어로 바꿔보면 친숙한 단어들이 많을거예요. 예를 들어 cornea는 각막, lens는 수정체, iris는 홍채, pupil은 동공 이런식이에요. 이 중에서 라식, ..

생물학 맛보기 2021.01.18

[세포생물학] 3.4 : 막단백질의 추출, 정제, 막단백질의 막유동성

이번 포스트에서는 간단히 막단백질의 추출, 정제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더불어 단백질의 막유동성에 대해 알아볼게요. 1. 막단백질의 추출, 정제 이전 포스트를 보신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예전에 '단백질의 추출, 정제'에 대해서 다뤘던 적이 있어요. 2020/12/18 - [전공자를 위한 생물학/세포생물학] - [세포생물학] 1.2 : 단백질의 정제 - 원심분리 & 크로마토그래피 [세포생물학] 1.2 : 단백질의 정제 - 원심분리 & 크로마토그래피 이번 포스트에서는 단백질을 정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아니, 앞에서 계속 세포 이야기만 하다가 갑자기 뜬금없이 단백질?? 하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결국 세포 내에 존 unicellular.tistory.com 단백질 그 자체의 정제에 대해..

[세포생물학] 3.3 : 세포막 단백질(membrane protein)

이번 포스트에서는 세포막을 구성하는 또 다른 주요 성분 중 하나인 세포막 단백질에 대해 알아볼게요. '세포막 단백질'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녀석은 세포막에 있는 단백질이에요. 이 녀석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일단 단백질이라는 녀석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겠죠? 단백질(protein)은 아미노산(amino acid)이라는 소단위체가 모여서 만들어진 생체 고분자의 일종이에요. 위 그림을 보면 자그마한 구슬들이 보일텐데, 이 구슬이 아미노산, 그리고 구슬들이 연결되어서 만들어진 복잡한 모양의 덩어리가 단백질이에요. 이런 단백질들은 엄~~~~청나게 많은 역할을 수행하는데요. 세포 내 항상성 유지, 신호전달, 수송 등등 수도 없이 많은 반응에 다 관련되어 있어요. 그 중 일부, 특별히 세포 막에 붙어있거나,..

[원서 리딩을 위한 영숙어] stick out, stick out like a sore thumb

원서를 보다 보면 stick out이라는 표현이 엄청나게 많이 등장하는데요. 오늘은 stick out의 뜻과 사용 용례에 대해 간단히 알아볼게요. stick out은 '튀어나오다', '삐져나오다', 혹은 '눈에 띄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위 그림을 보시면 나머지 연필들은 다 가지런하게 정렬되어 있는데, 유독 파란색 연필만 삐죽 튀어나와 있죠? 이럴 때 저 파란 연필이 stick out한 상태라고 볼 수 있어요. 일단 기본적으로 파란 연필은 삐죽이 튀어나와있죠? 그렇기 때문에 stick out은 '튀어나오다', '삐져나오다'의 의미로 사용 가능해요. 그리고 위 그림을 딱 보면 가장 눈에 띄는 게 뭐죠? 바로 튀어나와서 눈에 띄는 파란색 연필이죠! 그래서 stick out은 '눈에 띄다'의 의미로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