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포스트에 이어서 살펴보자. 1999년에 Nature에 나온 위 논문에 대해 살펴보자. 이 논문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위와 같은 retinotopic organization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음. 이 때 위 그림 위쪽에 나타나 있는 것이 우리 눈으로 들어오는 시각 자극임. (이 때 1, 3, 2, 4 사이의 중간점 부분에 우리의 fovea가 위치하고 있는 것) 그런데 흥미롭게도, 시각자극의 각 영역에 해당하는 sub-visual part들이 우리 뇌의 visual cortex 중 특정 부분으로 organize된채로 projection되게 됨. 특히 보면 오른쪽 시각자극은 뇌의 왼쪽으로, 위쪽 시각자극은 Calcarine fissure를 기준으로 아래쪽으로, 바깥쪽 시각자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