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4/14 14

[신경과학] 20.2 : 인식(consciousness)

consciousness, 즉 의식과 관련된 neural correlate을 neural correlates of consciousness(NCC)라고 하며, 사람들은 이 NCC에 대해 밝히기 위해 수많은 노력을 해왔음. 이러한 연구를 할 때 많이 사용되는 image들이 위와 같은 bistable visual image들임. 우선 맨 위를 보면 어떨 때는 두 사람이 마주보고 있는 image가 보이다가 어떨 때는 유리잔이 보임. 그리고 위 그림 가운데를 보면 사람에 따라 붉은색이 앞면으로 보이는 사람도 있고 초록색이 앞면으로 보이는 사람도 있음. 그리고 위 그림 맨 아래의 경우 토끼로 보이기도, 오리로 보이기도 함. 이 때 특정 사람이 이런 image를 보면서 의지와 상관 없이 의식이 딱 바뀌는 ..

[신경과학] 20.1 : 주의, 관심의 뇌과학 - 3

이전 포스트에 이어서 살펴보자. 흥미롭게도 attention은 eye movement보다 더 앞서 변화함. 이와 관련된 재미있는 실험을 수행한 과학자들이 바로 Wurtz, Goldberg, Robinson임. 이들은 위 그림상에서 parietal lobe로 나타나 있는 부분, 그 중에서도 posterior parietal cortex 부분에 주목함. 이 부분은 eye movement의 directing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이 activation될 시 eye movement가 더 많이 일어나서 visual sensation의 속도도 더 빨라지게 됨. 이 때 이 부분에 대해서 eye movement가 일어나기 전에 정말 attention에 해당하는 prior activation이 일어나는지..

[식초] 7편 : 식초로 만드는 천연 생활용품 – 탈취제, 섬유유연제, 벌레 퇴치 스프레이

자연을 닮은 살림을 꿈꾸고 계신가요? 그렇다면 오늘 소개해드릴 식초 DIY 생활용품 레시피가 큰 도움이 될 거예요. 집에 꼭 하나쯤 있는 식초만 있으면, 생각보다 간단하게 유용한 생활용품들을 만들 수 있어요.1. 천연 탈취제 만들기 – 공기까지 깨끗하게! 먼저 가장 간단한 건 탈취제예요. 집안에서 나는 불쾌한 냄새, 특히 화장실, 신발장, 냉장고 같은 공간은 자극적인 상업용 방향제 대신 자연 유래 탈취제로 관리하는 게 좋아요. 재료식초 1컵 정제수 또는 끓여서 식힌 물 1컵 에센셜 오일 10방울 (라벤더, 레몬, 유칼립투스 등 취향에 따라) 빈 스프레이 병 만드는 법 식초와 물을 1:1 비율로 섞고, 향을 더하기 위해 에센셜 오일을 넣어 흔들어 주세요. 스프레이 병에 담아 사용하면 되는데요, 커튼, ..

[식초] 6편 : 식초의 다양한 활용법 – 주방, 욕실, 세탁에서의 활용방법

요즘은 집에서 간단한 청소나 탈취를 할 때 자연 유래 성분을 선호하시는 분들이 많아요. 그중에서도 식초는 대표적인 친환경 만능 세제로 자리를 잡고 있는데요. 오늘은 주방, 욕실, 세탁 등 집 안 곳곳에서 식초를 어떻게 활용하면 좋은지, 실생활 팁 위주로 정리해드릴게요.1. 주방에서 식초를 활용해보세요 냄비와 후라이팬 탄 자국 제거냄비 바닥이 탔을 때, 물과 식초를 1:1로 붓고 끓여주세요. 그다음 식힌 뒤 수세미로 문지르면 탄 자국이 훨씬 잘 벗겨져요. 특히 스테인리스 제품에 효과가 좋아요. 싱크대 배수구 냄새 제거배수구에서 올라오는 찌든 냄새는 소금 또는 베이킹소다와 식초를 함께 활용하면 좋아요. 베이킹소다를 2~3스푼 넣고 그 위에 식초를 부으면 거품이 생기면서 배수구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해줍..

[식초] 5편 : 식초의 건강 및 효능 – 소화, 혈당, 체중 관리에 진짜 도움이 될까?

식초는 단순히 요리 맛을 더하는 조미료로만 쓰이는 게 아니에요. 요즘은 건강을 챙기는 분들이 하루 한 스푼 식초를 습관처럼 챙길 정도로, 식초의 생리학적 효능이 새롭게 조명받고 있어요. 특히 소화 개선, 혈당 조절, 체중 관리에 효과가 있다는 이야기가 많죠. 과연 이건 과학적으로도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식초의 건강 기능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려고 해요.1. 식초는 소화를 도와줄 수 있어요예부터 식초는 소화 촉진제처럼 사용돼 왔어요. 특히 느끼한 음식이나 기름진 요리에 곁들였을 때, 속이 좀 더 편하게 느껴지곤 하죠. 그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식초의 산성이에요. 식초의 주성분인 아세트산(acetic acid)은 위산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위에서의 소화 작용을 어느 정도..

[식초] 4편 : 식초 종류 총정리 – 사과식초, 발사믹식초, 쌀식초, 어떤 요리에 어울릴까?

식초 하면 흔히 떠오르는 건 ‘식초 한 병’이지만, 사실 식초의 세계는 훨씬 더 다양하고 풍성해요. 식초는 어떤 재료로 만들었느냐, 얼마나 오래 숙성했느냐, 어느 나라의 전통 방식이냐에 따라 풍미와 쓰임새가 완전히 달라진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양한 식초의 종류와 그 특징, 용도까지 자세히 소개해드릴게요. 나에게 맞는 식초를 찾는 데 꼭 도움이 될 거예요.1. 사과식초 (Apple Cider Vinegar) 이전 편에서 자세히 소개했듯, 사과식초는 사과를 발효해서 만든 식초예요. 황금빛 색깔에, 과일 향이 은은하게 풍기고, 맛은 상큼하고 약간의 단맛이 감도는 산미가 특징이에요. 혈당 조절, 소화 보조, 다이어트에 좋다고 알려져서 건강용 식초로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죠. 추천 요리 샐러드 드레싱,..

[식초] 3편 : 사과식초 효능과 부작용 총정리 – 다이어트부터 소화까지, 제대로 알고 먹기

요즘 건강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사과식초(Apple Cider Vinegar). 다이어트, 혈당 조절, 소화 개선 등 다양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서 찾는 분들이 많아졌어요. 그런데 이 사과식초, 정말 몸에 그렇게 좋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사과식초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부터, 어떤 효능이 있고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까지 쉽게 풀어볼게요. 사과식초, 어떻게 만들어지나요?사과식초는 말 그대로 사과에서 유래한 식초예요. 잘 익은 사과를 으깨고, 효모(yeast)를 넣어 사과 속 당분을 알코올로 발효시킨 후, 그 알코올이 다시 초산균에 의해 발효되면서 만들어져요. 이 과정은 자연발효이기 때문에 시간이 좀 걸리지만, 그만큼 풍미도 깊고 성분도 살아있어요. 특히 ‘마더(Mother)’라고..

[식초] 2편 : 발사믹 식초란? 만드는 법부터 맛있게 활용하는 방법까지

이탈리아 음식이나 샐러드 드레싱에 자주 등장하는 ‘발사믹 식초’. 풍부하고 진한 맛 덕분에 요리에 고급스러움을 더해주죠. 그런데 이 발사믹 식초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또 어떤 요리에 잘 어울릴까요? 오늘은 발사믹 식초에 대해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발사믹 식초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발사믹 식초는 일반 식초보다 훨씬 오랜 시간과 정성이 들어가는 식초예요. 원래는 이탈리아 모데나(Modena) 지역에서 시작된 전통 식초인데요, 기본 원료는 포도입니다. 포도를 즙으로 짜낸 다음, 그것을 천천히 졸여서 진득한 ‘포도 농축액’을 만들고, 이 농축액을 오크통이나 체리나무 통 같은 나무 통에 담아 수년간 숙성시키죠. 이 숙성 과정에서 천천히 발효가 일어나고, 향미 성분이 더해져요. 특히 전통 방식으로 만든 ‘아..

[식초] 1편 : 식초란 무엇일까? 다양한 종류와 기초 원리를 쉽게 이해해봐요

요리할 때 빠질 수 없는 조미료 중 하나가 바로 식초예요. 신맛 하나로 음식의 맛을 확 살려주고, 냄새도 잡아주며, 때로는 청소나 세정에까지 활용되죠. 그런데 이 식초, 대체 왜 이렇게 시고, 또 어떤 원리로 만들어지는 걸까요? 오늘은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이 식초에 대해 조금 더 깊이 알아보려고 해요. 식초란? 식초는 한마디로 ‘발효된 액체 조미료’예요. 좀 더 정확히 말하면, 당분이 들어 있는 식물성 원료가 두 번의 발효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죠. 먼저 효모가 당분을 술(알코올)로 바꾸고요, 그다음 초산균이 그 알코올을 아세트산이라는 신맛 물질로 바꾸는 과정이 이어져요. 우리가 느끼는 식초의 새콤함은 바로 이 아세트산 덕분이에요. 식초의 역사는 정말 오래됐어요. 무려 5천 년 전 고대 바빌로니아..

[루시페레이스] 5편 : 루시페레이스 리포터 실험 데이터 해석법

루시페레이스 리포터 어세이를 마치고 발광량을 측정했다면 이제 그 결과를 정리하고 해석해야겠죠? 하지만 숫자가 빛의 세기(Luminescence)로 나오기 때문에,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막막할 때가 많아요. 이번 글에서는 루시페레이스 데이터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간단한 예시와 함께 정리해드릴게요.1. 기본은 '상대 발광값(RLU)' 비교루시페레이스 결과는 Relative Light Units (RLU) 로 측정돼요. 이 수치는 기질과 반응한 루시페레이스 효소의 발광 세기를 의미해요. 일반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RLU를 비교해서 유전자 발현의 상대적인 변화를 보는 방식으로 해석합니다. 예를 들어, 실험군에서 5만 RLU, 대조군에서 1만 RLU가 나왔다면 상대 발현은 약 5배 증가했다고 볼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