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공자를 위한 생물학/생화학 221

[생화학] 22.4 : 체중의 조절기전 - 3

gut에 있는 microbe들도 obesity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 위 그림은 이와 관련되어 있는 모식도임. 이 때 미생물은 obesity와 related되어있으며, 그 이전에 appetite와도 관련되어 있음. (gut-brain-axis) 앞서 diabetes에 대해 간단히 살펴봤었음. 지금부터는 type 2 diabetes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자. type 2 diabetes는 insulin resistance에 의해 발생하며, insulin resistance에 의해서는 abdominal(복부) obesity, high TAG, low HDL(HDL 농도가 낮을 시 혈관벽에 축적되는 cholesterol이 liver로 제대로 transport 되지 못함), high blood..

[생화학] 22.4 : 체중의 조절기전 - 2

지난 포스트에 이어서 이번에는 adipokine의 또 다른 한 종류인 adiponectin에 대해 알아보자. adiponectin은 온 몸을 돌아다니면서 다른 organ들이 insulin에 대해 sensitive해지도록 만들어주는 effect를 가지고 있음. 물론 아직 adiponectin-mediated pathway가 완벽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적어도 AMP-activated kinase(AMPK) pathway와 관련되어있다는 것은 알고 있음. 구체적으로 adiponectin에 의해 활성화된 AMPK는 acetyl-CoA carboxylase를 phosphorylation시켜 불활성화시키게 되고, 그 결과 malonyl-CoA의 합성이 덜 이루어지게 됨. 원래 malonyl-CoA는 fatt..

[생화학] 22.4 : 체중의 조절기전 - 1

이번 포스트부터는 체중의 조절기전에 대해 알아보자. 흔히 비만도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 BMI(body mass index)를 많이 따짐. BMI는 위 그림 위쪽과 같이 계산할 수 있으며, 이 값을 통해 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의 여부를 간단하게 판단해볼 수 있음. 한편 우리 몸에서 body mass는 매우 정교하게 조절되고 있음. 이 때 storage, burning, heat production 등의 balance가 아주 정교하게 맞아떨어지면서 body mass가 유지되는 것임. body mass의 regulation과 관련해서 상당히 중요한 endocrine organ이 바로 adipose tissue임. 이곳으로부터 분비되는 peptide hormone들을 통칭해서 adi..

[생화학] 22.3 : 혈당의 조절기전 - 3

다음으로 glycogen mobilization을 유발시킬 수 있는 epinephrine의 작용에 대해 알아보자. 위 그림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epinephrine이 hepatocyte 막의 epinephrine receptor complex에 인식되면 Gs가 활성화되고 cAMP가 많이 만들어지고, PKA가 활성화되고, phosphorylase b kinase가 활성화되고, glycogen phosphorylase a가 활성화되고, 최종적으로 glycogen이 glucose로 분해되게 됨. 실제로 epinephrine에 의한 glycogen 분해 활성화는 liver, muscle에서 대표적으로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위 그림에서도 나타나 있는 것처럼 어마어마한 수준의 signal amplifi..

[생화학] 22.3 : 혈당의 조절기전 - 2

다음으로 glucagon에 의한 regulation 기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glucagon에 의한 liver의 regulation 기작이 위 그림상에 나타나 있음. 하나하나 살펴보자. 보면 glucagon에 의해서 glycogen이 G6P로 분해되거나, 혹은 pyruvate가 gluconeogenesis를 통해 G6P가 될 수 있음. 실제로 liver protein, 혹은 muscle로부터 전달되어온 protein도 pyruvate로 바뀌고, 결국 G6P로 바뀔 수 있음. 그 밖에, amino acid는 ketone body로 전환되어 brain으로 전달될 수도 있음. 그리고 adipose tissue로부터 release된 fatty acid 또한 liver 내로 들어와 ketone bod..

[생화학] 22.3 : 혈당의 조절기전 - 1

이제 세부적인 hormonal regulation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insulin의 작용에 대해서부터 자세히 알아보자. 위 그림에 insulin에 의한 liver의 regulation 결과가 나타나 있음. (물론 insulin은 brain, adipose, muscle에도 작용함) 보면 insulin이 GLUT2를 통한 glucose의 liver 내로의 transport를 촉진하게 됨. 그럴 시 liver 내 glucose의 양이 많아지게 되고 이 glucose가 그대로 brain 등의 기관으로 공급되기도 하며, glucose가 glycogen으로 합성되어 저장되기도 하고, glycolysis를 통해 acetyl-CoA가 되어서 TAG 합성에 기여하기도, energy 생산에 기여하기..

[생화학] 22.2 : 조직 특이적 대사 조절 - brain, blood

이번에는 brain 특이적인 대사에 대해 알아보자. 앞서 봤던 것처럼 brain은 glucose, 혹은 ketone body로부터 energy를 공급받게 됨. 이 때 brain에서도 aerobic oxidation이 일어나므로 brain 또한 O2 supply에 민감함. (산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을 시 stroke가 발생할 수 있음) 그리고 brain에서부터 만들어진 ATP는 electrogenic transport를 하는데 주로 쓰이게 됨. brain은 130g정도의 glucose를 매일 소비함. 한편 그 밖에, astrocyte와 같은 glial cell은 fatty acid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참고로 알아두자. 다음으로 blood에 대해 알아보자. 위 그림은 blood의 ..

[생화학] 22.2 : 조직 특이적 대사 조절 - muscle

이번에는 muscle cell(myocyte)에 대해 알아보자. myocyte는 2가지 type으로 나눌 수 있는데, slow-twitch(red muscle)와 fast-twitch(white muscle)가 바로 그것임. red muscle의 경우 mitochondria를 많이 가지고 있으며, 느리지만 지속적인 oxidative phosphorylation에 의해 energy를 꾸준히 생산하고, 꾸준히 contraction할 수 있음. 반면 white muscle의 경우 mitochondria를 적게 가지고 있고, O2 delivery도 적음. 이 근육에서는 주로 glycolysis-dependent하게 ATP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빠르고 강하게 수축할 수 있으며, 대신 빨리 fatig..

[생화학] 22.2 : 조직 특이적 대사 조절 - liver

이번 포스트부터는 조직 특이적으로 일어나는 대사 조절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위 그림에는 각종 mammalian tissue가 제각각 specialize된 metabolic function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이 나타나 있음. 이제 이들 각각의 metabolic function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자. 우선 liver에 대해서부터 알아보자. liver의 구조는 위와 같음. 일반적으로 liver는 nutrient들을 processing하고 distribution시켜주는 기능을 하며, metabolic condition에 따라서 liver는 계속 변화할 수 있음.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장으로부터 유래한 모세혈관들이 모여 생기는 portal vein을 통해서 nutrient들이 liv..

[생화학] 22.1 : 호르몬의 구조와 기능 - 3

이전 포스트에 이어서 살펴보자. 우선 vitamin D hormone에 대해 알아보자. vitamin D는 위 그림에도 나타나 있는 것처럼 sunlight 중 UV light에 의해 촉진되어 합성되며, 이 녀석에 의해 최종적으로 만들어지는 calcitriol은 Ca2+ 농도의 regulation과 밀접하게 관련된 gene의 transcription에 영향을 미치게 됨. 그 밖에 이들 vitamin D hormone의 경우에도 nuclear receptor에 의해 인식됨. 다음으로 vitamin A hormone에 대해 알아보자. vitamin A의 전구체에 해당하는 β-carotene은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해 retinal, 혹은 retinoic acid로 바뀔 수 있음. 이 때 re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