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담 81

[노션] 5편 : Notion 요금제 완전 비교 - 무료부터 엔터프라이즈까지

노션(Notion)은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이 애용하는 생산성 툴이에요. 메모, 일정, 프로젝트 관리, 협업까지 모두 가능하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올인원 워크스페이스"로 활용하고 있는데요, 막상 사용하다 보면 “내가 쓰는 요금제가 적절한가?” 하는 고민이 들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노션이 제공하는 총 4가지 요금제(Free, Plus, Business, Enterprise)와 부가 서비스인 Notion AI까지 자세히 비교해볼게요. 나에게 맞는 플랜을 고르는데 꼭 도움이 될 거예요.1. Free Plan – 무료지만 제약은 있어요노션의 무료 플랜은 개인 사용자를 위한 기본 기능을 제공해요. 페이지와 블록 생성은 무제한이지만, 파일 업로드 용량은 5MB로 제한돼 있어요. 블로그나 간단한 개인..

잡담/생활상식 2025.05.18

[노션] 4편 : 노션으로 생활 정리하기: 일정 관리, 파일 보관, 디지털 노트

지금까지 블록, 페이지, 데이터베이스, 생산성 시스템 구축까지 배워봤다면, 이제 Notion을 생활 전반에 적용해볼 차례예요. 노션은 단순한 업무 도구를 넘어서, 일정 관리, 디지털 파일 정리, 일기나 노트 같은 개인 기록까지 포괄할 수 있는 강력한 플랫폼이에요. 이번 글에서는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대표적인 활용법을 소개해드릴게요. 캘린더와 함께 쓰는 주간 플래너노션에는 기본적으로 ‘캘린더 뷰’가 제공돼요. 이 기능을 활용하면 주간/월간 계획을 아주 간단히 시각화할 수 있어요. 다음과 같이 만들어볼 수 있죠 새 페이지를 만들고 /calendar 입력 후 새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요. 이름은 'Agenda' 혹은 '일정표' 정도로 하고, 날짜 속성은 ‘일정 날짜’, 제목은 ‘할 일’로 ..

잡담/생활상식 2025.05.18

[노션] 3편 : 나만의 생산성 시스템 만들기 - 습관 추적기와 프로젝트 관리

노션(Notion)의 진정한 강점은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자신만의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에요. 이번 글에서는 Notion을 활용해 나만의 습관 추적기(Habit Tracker)와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할게요. 복잡한 도구 없이도, 노션 안에서 할 일, 일정, 습관, 목표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습관 추적기 만들기 : 체크박스로 만드는 나만의 루틴습관 형성의 핵심은 ‘반복’과 ‘기록’이에요. Notion으로 습관을 추적하면 매일의 행동을 시각화할 수 있어서 꾸준함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돼요. 방법은 아주 간단해요. 새 페이지를 만들고, /table 입력 후 Table View 블록을 선택하세요. 새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이름을 ‘습관 추적..

잡담/생활상식 2025.05.18

[노션] 2편 : 데이터베이스 - 노션을 스프레드시트처럼 활용하는 법

Notion의 진짜 매력을 느끼게 되는 시점은 바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게 되었을 때예요. 처음엔 단순히 메모나 일정 관리용으로 시작하지만,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면 Notion은 진정한 올인원 생산성 도구로 변신하게 되죠. 이 글에서는 노션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개념부터 다양한 보기(View) 방식까지 차근차근 소개해드릴게요.데이터베이스란 무엇인가요?Notion에서 데이터베이스는 단순한 표를 넘어선 기능이에요. 엑셀과 비슷하게 보일 수도 있지만, 각 셀마다 하위 페이지를 가질 수 있고 다양한 속성(Property)을 부여할 수 있어요. 한마디로 “페이지들의 모음집”이라고 이해하면 좋아요. 예를 들어, 독서 목록을 데이터베이스로 만들면 각 책은 하나의 항목이자 동시에 하나의 독립된 페이지가 돼..

잡담/생활상식 2025.05.18

[노션] 1편 : Notion 시작하기 - 블록과 페이지의 세계

요즘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생산성 도구 중 하나가 바로 Notion이에요. 노션은 메모 앱, 데이터베이스, 캘린더, 작업관리 도구, 프로젝트 관리 툴을 하나로 통합한 올인원 워크스페이스예요. 처음에는 깔끔한 화면 덕분에 단순한 메모장처럼 보이지만, 써보면 쓸수록 그 유연함과 확장성에 놀라게 되죠.하지만 바로 그 무한한 가능성 때문에 오히려 처음엔 막막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 이 글에서는 Notion을 처음 접하는 분들이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인 '블록'과 '페이지' 중심으로 설명해드릴게요. Notion을 이해하는 첫걸음은 바로 여기에서 시작돼요.블록 : 모든 콘텐츠의 기본 단위Notion에서의 모든 콘텐츠는 ‘블록’이라는 단위로 구성돼요. 텍스트, 이미지, 표, 체크리스트, 코드 블록, 인용문, ..

잡담/생활상식 2025.05.18

연구 글쓰기, 더 효율적으로 도와주는 도구 모음

연구를 마치고 데이터를 정리하고 도표와 그래프까지 만들었다면 이제 남은 단계는 '글쓰기'예요. 하지만 막상 컴퓨터 앞에 앉아 워드 문서를 열면 손이 잘 움직이지 않죠. 논문이든 과제든 글쓰기 자체가 쉽지 않기 때문에, 이런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도구들이 있다면 꼭 활용해보는 게 좋아요. 오늘은 제가 직접 사용해보았거나 많은 연구자들이 추천하는 글쓰기 도구들을 소개해드릴게요. 꾸준한 글쓰기를 위한 도구들글쓰기를 습관처럼 만들기 위해서는 일정한 루틴이 중요해요. 『How to Write a Lot』이라는 책에서는 매주 정해진 시간에 글쓰기를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말하고 있어요. 단 30분이라도 좋으니 정기적으로 글을 쓰는 시간을 확보해보세요. 이 책의 요점만 정리한 요약도 인터넷에서 쉽..

[학부 연구] 4편 : 학부연구생이 활용할 수 있는 장학금, 인턴십, 학회 참가까지

연구실에서의 경험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바로 ‘외부 자원’의 활용이에요. 연구는 실험실 안에서만 이루어지는 게 아니고, 다양한 외부 활동과 기회가 여러분의 과학자로서의 길을 더 넓고 풍부하게 만들어줄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학부생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장학금, 인턴십, 학회 참가 기회 등에 대해 소개해드릴게요.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자격이 부족하지 않아요많은 학생들이 “난 아직 부족한데 지원해도 될까?”라는 고민을 해요. 하지만 대부분의 프로그램이나 장학금은 ‘완성된 과학자’를 뽑으려는 게 아니라, 가능성과 열정을 가진 학생을 찾고 있어요. 실제로 저도 “이건 나와는 거리가 멀겠지”라는 생각으로 장학금에 지원했다가, 운 좋게 수상하게 된 경험이 있어요. 특히 소수자, 1세대 대학생, 저소득 ..

[학부 연구] 3편 : 연구실 생활 꿀팁 - 질문, 관계, 성장의 기회

연구실에 들어가면 이제부터는 진짜 실전이에요. 하지만 많은 학생들이 막상 연구를 시작하고 나면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무엇을 배워야 할지 몰라서 헤매곤 해요. 저도 처음에는 유리병 닦고, 피펫 정리하면서 ‘내가 연구를 배우고 있는 게 맞나?’ 싶은 생각이 들기도 했어요. 그런데 돌아보면, 그 사소해 보이던 시간들조차 지금의 저를 만든 귀중한 경험이었어요.이번 글에서는 연구실에서 보내는 시간을 어떻게 더 알차게 만들 수 있을지, 그리고 실험실 안에서 사람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으면 좋을지 이야기해볼게요.모르면 꼭 질문하세요, 특히 무서울 때일수록처음 연구실에 들어가면 모르는 것 투성이일 수밖에 없어요. 용어도 낯설고, 장비 사용법도 어렵고, 실험 원리는 더더욱 생소하죠. 그럴 때 가장 중요한 건 ‘질문하..

[학부 연구] 2편 : 과학 연구를 시작하는 방법

대학에 입학하면 다양한 활동을 접할 기회가 생기죠. 그중에서도 ‘과학 연구’는 단순한 활동을 넘어,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을 깊이 키울 수 있는 경험이에요. 하지만 많은 학생들이 “내가 연구를 해도 괜찮을까?”, “너무 어렵지 않을까?” 하고 걱정하곤 해요. 저 역시 처음에는 두려움이 컸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를 시작해본 건, 제가 가진 호기심 때문이었어요.과학 연구, 왜 해봐야 할까요?저는 어릴 때부터 궁금한 게 참 많았어요. '왜 이건 이렇게 될까?' 하고 질문을 던지는 걸 좋아했죠. 과학 연구는 바로 그런 궁금증을 조금 더 체계적으로 파고드는 활동이에요. 책이나 수업에서 배우는 지식은 이미 누군가 발견한 사실이지만, 연구는 그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질문을 던지고 세상이 아직 모르는 ..

[학부 연구] 1편 : 과학 연구를 처음 시작하는 학부생을 위한 안내서

과학 연구에 처음 발을 들이는 일은 정말 설레면서도 두려운 일이에요. 특히 주변에 과학자나 연구자를 본 적 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죠. 저도 대학교에 입학했을 때, 연구에 관심은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뭘 해야 할지 몰랐어요. ‘과학자’라고 하면 머리가 하얀 채로 실험복을 입고, 색색의 액체가 담긴 비커를 들고 있는 모습이 떠올랐고요. 그런데 실제 연구실에서의 하루는 그런 이미지와는 전혀 달랐죠. 저는 1학년 때부터 연구에 참여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고, 여러 선배들과 교수님들 덕분에 운 좋게 첫 실험실 생활을 시작할 수 있었어요. 그때부터 연구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고, 4년이 지난 지금은 박사 과정에 진학하게 되었죠. 이 글을 통해 과학 연구에 관심은 있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분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