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4/03 14

[독감] 4편 : 독감에 걸렸다면 이렇게 관리해보세요 – 회복 팁

독감은 갑자기 찾아와 며칠 동안 몸을 무기력하게 만들어요. 감염 후 병원에서 약을 처방받았다면 이제 남은 건 집에서 어떻게 잘 관리하느냐예요. 이 시기를 잘 보내야 회복도 빠르고 합병증도 줄일 수 있어요.    우선 가장 중요한 건 충분한 휴식이에요.    독감은 단순 피로나 코감기와 달라서, 앓는 동안 몸이 진짜 많이 힘들어요. 열이 계속 나고 근육통도 심하니까, 억지로 일하거나 공부를 계속하는 건 오히려 회복을 늦출 수 있어요. 침대에 누워서 휴식을 취하고, 몸의 면역 체계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게 우선이에요.   그리고 수분 보충은 필수예요.   열이 오르면 땀도 많이 나고, 구토나 설사가 동반되는 경우도 있어서 탈수 위험이 있어요. 물, 이온음료, 맑은 국물, 따뜻한 차 등을 자주 ..

[독감] 3편 : 독감에 걸렸다면? - 독감 치료제, 작용, 시기, 주의사항

독감은 한 번 걸리면 몸이 망가지는 기분이 들어요. 평소와 다르게 몸이 갑자기 무겁고, 열이 오르며 머리가 띵해지죠.   감기와는 비교도 안 되게 심한 피로감이 오기 때문에 “이건 뭔가 다르다”는 느낌이 딱 들 거예요. 이런 때일수록 얼마나 빠르게 대응하느냐가 회복에 중요한 영향을 줘요.  항바이러스제? 독감 치료에서 핵심이 되는 건 바로 항바이러스제인데요, 이는 바이러스가 몸속에서 증식하는 걸 막아주고, 회복 기간을 줄여주는 데 도움을 줘요.  대표적인 항바이러스제로는 타미플루(Oseltamivir), 자나미비(Relenza), 페라미비(Rapivab), 발록사비르(Xofluza) 등이 있어요. 모두 FDA에서 승인된 치료제들이고, 의사의 판단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죠.   이 약들의 공통점은 가능한..

[독감] 2편 : 독감의 예방 방법 - 백신, 기타 예방 방법

독감은 전염성이 정말 강한 질병이라, 한 명이 아프면 가족이나 친구들에게도 빠르게 퍼질 수 있어요. 그래서 독감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예방이 가장 중요해요. 그중에서도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독감 백신을 매년 맞는 거예요. 독감 바이러스는 매년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에, 백신도 매년 새로 만들어져요. 그 해 유행할 것으로 예측되는 바이러스에 맞춰 만들어지는 만큼, 매년 가을쯤에는 꼭 백신을 맞아주는 게 좋아요.   백신을 맞는다고 독감을 100% 막을 수 있는 건 아니지만, 감염되더라도 증상이 가볍게 지나가고, 특히 입원이나 합병증 가능성을 크게 줄여줘요.  특히 이런 사람들은 백신을 꼭 맞아야 해요 백신은 특히 다음과 같은 분들이 꼭 맞는 게 좋아요.6개월 이상 된 영유아부터 청소년 65세 이상 고령자 ..

[독감] 1편 : 독감과 감기의 차이점 - 증상, 전파, 주의사항

독감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감기’와는 분명히 달라요.      감기는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일반적인 상기도 감염인데요, 증상이 대체로 가볍고 일상생활을 계속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요. 반면에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훨씬 더 심각한 호흡기 질환이에요. 갑작스러운 고열과 심한 피로감, 근육통, 마른기침 같은 증상들이 빠르게 시작되면서, 며칠 동안 일상생활을 거의 할 수 없을 만큼 상태가 안 좋아지죠. 독감에 걸리면 보통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요. 갑작스러운 38도 이상의 고열 마른기침 또는 목 아픔 두통과 근육통, 관절통 오한과 극심한 피로감  일부 사람에겐 설사나 구토도 동반돼요 (특히 아이들)   이런 증상은 감기보다 훨씬 빠르게, 그리고 더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

[유당불내증] 4편 : 더 알아두기 – 유당불내증 Q&A

유당불내증은 많은 사람들이 겪는 흔한 소화 문제지만, 의외로 모르는 점도 많고, 잘못 알려진 정보도 많아요. 그래서 이번 편에서는 유당불내증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들을 중심으로, 알아두면 도움이 될 유익한 내용을 정리해봤어요.  Q1. 유당불내증이면 칼슘은 어떻게 섭취하나요?  유당불내증이 있다고 해서 칼슘 섭취에 지장이 생길까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아요. 실제로 우유는 칼슘이 풍부한 식품이지만, 유제품 외에도 칼슘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많습니다.   우선 유당 함량이 적은 유제품(치즈, 요구르트 등)을 활용해보세요. 치즈 중에서도 특히 하드 치즈(체다, 파르메산 등)는 유당이 거의 없고 칼슘 함량도 높아요. 또한 요구르트나 케피어처럼 발효된 유제품은 유산균의 유당 분해 작용 덕분에 비교적 편하게 먹을 ..

[유당불내증] 3편 : 유당불내증과 함께하기 – 대처법과 락토프리 제품들

유당불내증이 있다고 해서 우유나 유제품을 아예 포기해야 할까요? 꼭 그렇지는 않아요.  조금만 방법을 바꾸면, 유제품의 영양은 그대로 누리면서도 불편함은 줄일 수 있어요. 이번 편에서는 유당불내증을 가진 분들이 어떤 방법으로 유제품을 즐길 수 있는지, 그리고 시중에서 활용할 수 있는 락토프리 제품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자세히 살펴볼게요. 1. 락토프리 우유 – 유당 걱정 없이 마셔요  요즘 마트나 온라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락토프리 우유는, 유당불내증이 있는 분들을 위한 아주 좋은 대안이에요. 이 우유는 생산 과정에서 락타아제 효소를 넣어서, 유당을 미리 분해해 놓은 상태로 나와요. 그래서 마셔도 소화가 훨씬 편하고, 복통이나 설사 같은 증상이 거의 없어요.  락토프리 우유는 맛이 살짝 달게 느껴질..

[유당불내증] 2편 : 인종마다 다른 유당 소화력 – 왜 그럴까?

유당불내증은 단순히 개인차라고만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전 세계 인종과 지역에 따라 유당을 소화하는 능력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어요. 이런 차이는 단지 습관이 아닌 유전적인 배경과 역사적 문화의 영향이 결합된 결과에요. 유당불내증, 누가 더 흔할까요?  전 세계적으로 봤을 때, 유당불내증은 전 인류의 약 65% 이상에서 나타나는 매우 흔한 생리적 현상이에요. 하지만 그 빈도는 인종과 지역에 따라 크게 달라지죠.예를 들어 동아시아인의 경우, 유당불내증 비율이 매우 높은 편이에요. 한국, 중국,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성인 인구의 70~100%가 유당 소화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그래서 많은 분들이 우유를 마시면 속이 불편하거나 설사를 하는 경험을 하곤 하죠.  아프리카계 미국인, ..

[유당불내증] 1편 : 우유만 마시면 배탈… 유당불내증이 뭐죠?

여러분, 혹시 우유나 아이스크림을 먹고 나서 갑자기 배가 아프거나, 더부룩하고 설사가 난 적 있으신가요? 그렇다면 유당불내증(lactose intolerance)일 가능성이 높아요. 이건 우리 몸이 유당(lactose)이라는 성분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해서 생기는 아주 흔한 증상이에요. 유당은 주로 우유나 유제품에 들어 있는 당분이에요. 우리가 흔히 먹는 우유, 요구르트, 치즈, 아이스크림 같은 식품에 유당이 들어있고, 이걸 소화하려면 락타아제(lactase, 락테이스)라는 효소가 필요해요. 락타아제는 소장의 벽에 있는 세포에서 만들어지는데, 이 효소가 유당을 잘게 쪼개줘야만 우리 몸이 흡수할 수 있어요.그런데 문제는, 이 락타아제가 성인이 되면서 점점 줄어든다는 거예요. 아기 때는 모유를 먹기 때문에 락..

[생화학] 20.2 : 지방산(fatty acid)의 생합성 - 4

이제 fatty acid synthesis 과정의 regulation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일단 ACC가 관여하는 맨 처음 반응이 rate-limiting step이므로, 많은 regulation도 ACC를 대상으로 일어남.    보면 우선 acetyl-CoA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citrate의 경우 feed-forward activation의 형태로 ACC에 allosteric activation을 하게 됨. 그 밖에 fatty acid synthesis의 생성물인 palmitoyl-CoA는 ACC를 allosteric inhibition시켜버림. 그리고 혈당량이 낮다는 지표인 glucagon, 혹은 당장 가용할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신호인 epinephrine 등의 경우 ACC를 인산화시키고 in..

[생화학] 20.2 : 지방산(fatty acid)의 생합성 - 3

이번 포스트에서는 지난 포스트에서 대략적으로 살펴본 반응들에 대해 하나하나 살펴보자.    처음에는 위 그림과 같이 acetyl-CoA에서 CoA가 떨어져나가면서 KS에 loading됨.   이어서 위 그림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malonyl CoA에서 CoA가 떨어져나오며 ACP에 malonyl이 loading됨. 이 때 loading 과정을 촉진해주는 녀석이 malonyl/acetyl-CoA ACP transferase임.   이어서 위와 같은 condensation reaction이 일어남. 이 때 이 반응을 촉진해주는 효소는 β-ketoacyl-ACP synthase(KS)임.    다음으로 위와 같은 reduction이 일어남. 이 때 이 반응을 촉진해주는 효소는 β-ketoacyl-ACP 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