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은 전염성이 정말 강한 질병이라, 한 명이 아프면 가족이나 친구들에게도 빠르게 퍼질 수 있어요. 그래서 독감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예방이 가장 중요해요. 그중에서도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독감 백신을 매년 맞는 거예요.
독감 바이러스는 매년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에, 백신도 매년 새로 만들어져요. 그 해 유행할 것으로 예측되는 바이러스에 맞춰 만들어지는 만큼, 매년 가을쯤에는 꼭 백신을 맞아주는 게 좋아요.
백신을 맞는다고 독감을 100% 막을 수 있는 건 아니지만, 감염되더라도 증상이 가볍게 지나가고, 특히 입원이나 합병증 가능성을 크게 줄여줘요.
특히 이런 사람들은 백신을 꼭 맞아야 해요

백신은 특히 다음과 같은 분들이 꼭 맞는 게 좋아요.
6개월 이상 된 영유아부터 청소년
65세 이상 고령자
임산부
심장병, 당뇨병, 천식 같은 만성질환자
병원 근무자, 요양시설 종사자 등 고위험 환경 종사자
일상생활에서 실천 가능한 예방 방법들?
또한 백신 외에도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예방 방법들이 있어요.

가장 기본은 손 씻기예요. 감염자의 손이 닿은 물건이나 표면에 묻은 바이러스를 다른 사람이 만질 수 있기 때문에, 외출 후나 식사 전후, 화장실을 다녀온 후에는 반드시 비누로 20초 이상 손을 씻는 게 좋아요. 알코올이 포함된 손 세정제를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돼요.
그리고 기침 예절도 정말 중요해요.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땐 휴지나 옷소매(팔꿈치 안쪽)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해야 해요. 손으로 입을 가린 후에 그대로 주변을 만지면 오히려 바이러스가 더 쉽게 퍼질 수 있거든요. 사용한 휴지는 바로 버리고 손을 다시 씻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해요.
또 하나 중요한 건 아플 때는 쉬어야 한다는 점이에요. 감기든 독감이든, 증상이 있을 땐 학교나 회사에 무리해서 가지 않고 집에서 쉬는 게 본인과 타인을 위해서도 좋아요. 독감 바이러스는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도 감염력을 가지기 때문에, 증상이 조금이라도 있을 땐 조심하는 게 좋죠.
면역력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죠. 충분한 수면, 균형 잡힌 식사, 수분 섭취, 적절한 운동은 면역 체계를 튼튼하게 해줘서 감염을 이겨내는 힘을 길러줘요. 반대로 스트레스나 과로는 면역력을 약하게 만들어서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어요.
다음 편에서는 독감에 걸렸을때의 치료 방법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생물학 맛보기 > 질병의 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감] 4편 : 독감에 걸렸다면 이렇게 관리해보세요 – 회복 팁 (0) | 2025.04.03 |
---|---|
[독감] 3편 : 독감에 걸렸다면? - 독감 치료제, 작용, 시기, 주의사항 (0) | 2025.04.03 |
[독감] 1편 : 독감과 감기의 차이점 - 증상, 전파, 주의사항 (0) | 2025.04.03 |
[코로나] 화이자(pfizer) 백신의 효능, 한계점, 부작용 (0) | 2020.12.28 |
[코로나] 영국발 변종 코로나, 얼마나 위험할까? (0) | 2020.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