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4/10 15

[꿀] 4편 : 꿀, 이렇게 활용해보세요 – 꿀을 맛있고 건강하게 즐기는 방법

꿀은 건강에도 좋고 맛도 좋은 만큼, 활용 범위가 정말 넓어요.   그냥 숟가락으로 떠먹는 것 말고도 요리, 음료, 피부 관리, 심지어 홈메이드 건강 보조제까지 다양하게 쓰일 수 있어요. 이번 편에서는 누구나 따라 하기 쉬운 꿀 활용법과 꿀을 이용한 간단 레시피들을 소개할게요.1. 꿀차 만들기 – 간단하지만 따뜻한 기분을 주는 한 잔  가장 기본적이고 널리 알려진 꿀 활용법이 바로 꿀차죠. 레몬, 생강, 유자, 계피, 대추 등 어떤 재료와도 잘 어울려서 다양한 버전으로 즐길 수 있어요.  예시 레시피 – 꿀 생강차 생강을 얇게 썰어 뜨거운 물에 우리고 기호에 따라 꿀 1~2스푼 넣기 몸이 으슬으슬하거나 기침이 날 때 마시면 딱이에요  2. 샐러드 드레싱에도 꿀 한 스푼   시판 드레싱이 질렸다면, 꿀을 ..

[꿀] 3편 : 꿀의 건강 효능 총정리

달콤한 꿀 한 스푼, 기분 좋은 맛만큼이나 우리 몸에 주는 건강 효능도 참 많아요.   꿀은 고대부터 자연 치유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과학적으로 그 효과가 입증되기도 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꿀의 대표적인 건강 효능을 5가지로 나누어 자세히 소개할게요.  1. 항균 및 항염 작용  꿀에는 천연 항균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요. 특히 꿀 속의 과산화수소, 글루코노산, 낮은 수분 활성도는 세균 번식을 억제하는 데 큰 역할을 해요. 이 덕분에 꿀은 상처 치유에 효과적이고, 국소 감염 방지용 천연 연고로도 활용되고 있어요.  실제로 꿀을 거즈에 묻혀 상처에 붙이면, 염증을 줄이고 회복을 빠르게 돕는 사례들이 보고되었어요. 꿀 중에서도 특히 마누카 꿀은 항균 활성이 강해 의료용..

[꿀] 2편 : 꿀 종류별 특징과 맛의 차이, 활용

꿀을 고르려다 "도대체 뭐가 다른 거지?" 싶었던 적 있으신가요? 색이 다르고, 향이 다르고, 가격도 제각각인 꿀들. 어떤 꿀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이라면, 이번 편이 아주 유용하실 거예요.   꿀은 꿀벌이 수집하는 꽃의 종류에 따라 맛, 향, 색, 효능이 달라지기 때문에 각 꿀마다 고유한 개성과 쓰임새가 있어요. 오늘은 대표적인 꿀 종류들을 비교하면서 나에게 잘 맞는 꿀을 찾아볼게요.1. 아카시아 꿀 – 가볍고 부드러운 단맛의 대표  아카시아 꽃에서 채취한 이 꿀은 밝고 투명한 색상, 부드럽고 순한 단맛이 특징이에요. 잡내나 강한 향이 없어 입맛이 예민한 사람이나 아이들 간식에 적합하고, 요리나 차에 넣었을 때 본연의 맛을 방해하지 않는 점이 장점이에요.  활용 팁 ✔ 따뜻한 생강차에 한 스푼 ✔ 토스트..

[꿀] 1편 : 꿀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 생산, 채취 과정, 종류, 효능

꿀, 달콤한 그 한 스푼 속에는 자연이 만들어낸 복잡한 과정과 놀라운 건강 효능이 담겨 있어요.    많은 분들이 꿀을 그냥 단맛을 내는 식재료 정도로 생각하시지만, 사실 꿀은 수천 년 동안 인류가 애용해온 천연 감미료이자 치료제로 활용되어 왔어요.   이번 블로그 시리즈에서는 꿀의 기초부터 다양한 종류, 건강 효능, 그리고 일상 속에서 꿀을 즐기는 방법까지 하나씩 알아보려고 해요.  꿀은 어떻게 만들어질까?꿀은 꽃에서 채취한 달콤한 꿀샘(nectar)을 꿀벌이 효소와 함께 자신의 꿀주머니에 저장한 후 벌집으로 가져와 숙성시키는 과정에서 만들어져요.    이때 꿀벌은 꿀샘에 있는 복잡한 당분을 단순당으로 분해하고, 벌집 안에서 반복적인 섭취와 재토해 과정을 통해 수분을 제거하면서 꿀을 완성하죠. 그렇게 ..

[AAV] 8편 : AAV ITR 실전 문제 해결 가이드 – 삭제, 돌연변이, 안정성 유지법

AAV 실험이 생각보다 잘 안 될 때, 종종 원인을 추적하다 보면 ITR 문제에 닿게 돼요. AAV에서 ITR은 유전자의 복제, 포장, 발현 유지를 모두 관장하는 핵심 구조이기 때문에, 작은 손상도 실험 전체를 망칠 수 있어요.이번 글에서는 ITR 관련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상황별로 정리해드릴게요.  상황 1: 바이러스 수율이 극단적으로 낮아요  가장 흔한 원인✔ ITR 손상 또는 삭제 ✔ 플라스미드 배양 중 돌연변이 ✔ ITR 내 기능성 서열(RBE, trs) 돌연변이  해결 방법SmaI 또는 XmaI 제한효소 처리로 ITR 확인: 정상 ITR이 있으면 명확한 밴드 패턴이 보여요. Stbl3나 NEB Stable 균주에서 재배양해보세요. RecA 활성이 낮은 균주는 ITR 안정성이 좋아요. ..

[AAV] 7편 : AAV ITR 완전 정복 – 작지만 핵심적인 DNA 구조

AAV 실험을 시작하면 가장 먼저 듣게 되는 말 중 하나가 “ITR 잘 보존됐나 확인했어?”라는 말이에요.  그만큼 ITR(Inverted Terminal Repeat)은 AAV의 생존과 성공을 좌우하는 아주 중요한 요소예요. 작고 짧지만, AAV 벡터 안에서 복제, 포장, 발현 안정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거든요.ITR이란 무엇인가요?  ITR은 AAV의 양 끝에 존재하는 145bp의 반복 서열로, 구조적으로는 T자형의 스템-루프 구조를 형성해요. 이 구조 덕분에 복제의 시작점이 되며, AAV 벡터가 세포 내에서 안정적으로 머무를 수 있도록 도와줘요.  ITR은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AAV 벡터에서는 유일하게 보존되는 바이러스 유전 정보예요. AAV를 생산할 때 사용하는 transfer plasmid에서 실..

[AAV] 6편 : AAV 실험 꿀팁 모음

AAV 실험, 처음엔 막막하죠. 플라스미드는 민감하고, 정제도 어렵고, 타이트레이션도 귀찮은데 정확해야 하니까요.  저도 처음엔 그랬어요. 다행히 실험실 선배들과 여러 시행착오 덕분에 조금씩 익숙해졌고, 지금은 프로토콜 여백에 적힌 작은 팁 하나하나가 실험 효율을 좌우한다는 걸 실감하고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제가 직접 겪고, 실험실에서 공유된 실전 팁들을 소개할게요. 플라스미드 단계 – ITR은 까다롭지만 대응법이 있어요  AAV의 transfer plasmid에는 ITR(inverted terminal repeat)이 들어 있어요. 이 ITR이 있어야 바이러스에 유전자가 실리는데, 문제는 이 구조가 굉장히 불안정해서 쉽게 삭제된다는 거예요. 특히 일반적인 37도에서 키우면 이런 문제가 더 잘 생겨요...

[AAV] 5편 : AAV의 활용 – 실험실과 임상에서 다재다능한 유전자 전달 도구

AAV는 단순한 유전자 운반체가 아니에요.   높은 안정성, 낮은 면역 반응, 다양한 세포 특이성 덕분에 실험실 연구와 유전자 치료 분야에서 엄청나게 인기 있는 도구예요. 이번 글에서는 AAV가 실제로 어떤 실험에 쓰이는지, 그리고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 연구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자세히 알아볼게요.실험실에서 AAV가 쓰이는 대표 분야  1. 유전자 발현 실험 AAV는 특정 유전자를 안정적으로 세포에 전달할 수 있어서, 실험자가 원하는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데 자주 사용돼요. 특히 1회 감염으로도 오랜 시간 발현이 유지되기 때문에, 세포주뿐만 아니라 동물 모델에서도 효율적이에요.  2. 신경과학 AAV는 뇌 조직에서도 잘 작동하기 때문에, 신경과학 연구에서 특히 인기가 많아요. 특정 뇌 부위나 뉴..

[AAV] 4편 : AAV 정제와 타이트레이션 – 깨끗하고 정확하게 준비하는 법

AAV를 생산하고 나면 그다음 단계는 바로 정제와 타이트레이션이에요. AAV는 배양액이나 세포 안에서 복잡한 성분들과 섞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걸 깨끗하게 분리하고, 얼마나 들어 있는지 정확히 측정해야 실험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어요. AAV 정제 – PEG 침전과 iodixanol 그라디언트  AAV를 정제하는 첫 번째 방법은 바로 PEG 침전법이에요. 보통 40% PEG 용액을 배양액에 넣어 최종 농도를 8%로 맞춘 뒤 냉장 보관해요.   이 과정을 거치면 바이러스 입자들이 뭉쳐서 가라앉고, 이를 원심분리로 수확할 수 있어요. 이 방법은 간단하고 대량으로 처리할 수 있지만, 완전히 깨끗한 정제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요.좀 더 정밀하게 정제하고 싶을 때는 iodixanol 그라디언트 원심분리법..

[AAV] 3편 : 실험실에서 AAV를 만드는 방법 – helper-free 생산 시스템

AAV 벡터는 시중에서 주문할 수도 있지만, 직접 실험실에서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도 있어요.   기본적인 분자생물학 실험과 조직 배양 경험이 있다면, 표준적인 도구만으로도 고품질의 AAV를 생산할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인 “helper-free 트리플 플라스미드 트랜스펙션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명할게요.helper-free 시스템이란?AAV는 자체적으로 복제할 수 없는 바이러스라서, 보통 helper 바이러스가 필요해요.   원래는 아데노바이러스나 단순포진바이러스(herpes virus)가 이 역할을 했는데, 이 방법은 번거롭고 위험했죠. 그래서 요즘은 helper 바이러스 없이, 플라스미드만으로 helper 기능을 대신하는 helper-free 시스템이 많이 쓰여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