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당불내증은 단순히 개인차라고만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전 세계 인종과 지역에 따라 유당을 소화하는 능력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어요. 이런 차이는 단지 습관이 아닌 유전적인 배경과 역사적 문화의 영향이 결합된 결과에요.
유당불내증, 누가 더 흔할까요?
전 세계적으로 봤을 때, 유당불내증은 전 인류의 약 65% 이상에서 나타나는 매우 흔한 생리적 현상이에요. 하지만 그 빈도는 인종과 지역에 따라 크게 달라지죠.
예를 들어 동아시아인의 경우, 유당불내증 비율이 매우 높은 편이에요. 한국, 중국,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성인 인구의 70~100%가 유당 소화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그래서 많은 분들이 우유를 마시면 속이 불편하거나 설사를 하는 경험을 하곤 하죠.
아프리카계 미국인, 남아시아계, 남유럽, 중남미 인구도 유당불내증 비율이 상당히 높아요. 반면에 북유럽(특히 스웨덴, 덴마크, 핀란드, 네덜란드 등)의 백인들은 유당불내증 비율이 현저히 낮아서, 80~90% 이상이 성인이 되어도 우유를 무리 없이 소화할 수 있다고 해요. 미국 내에서도 유럽계 백인은 유당불내증이 비교적 적게 나타나는 반면,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히스패닉계는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어요.
이렇게 인종마다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락타아제 지속성(lactase persistence)’이라는 유전적 특성 때문이에요. 사람은 원래 아기일 때 모유를 소화하기 위해 락타아제라는 효소를 충분히 만들어요. 그런데 대부분은 이유식을 시작하면서 락타아제 생성이 점차 줄어들고, 성인이 되면 거의 없어지는 것이 자연스러운 흐름이에요. 이는 대부분의 포유류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이죠.
하지만 약 1만 년 전, 유럽과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에서 목축을 시작하며 우유를 성인이 되어서도 자주 마시게 된 인류 집단이 있었어요. 이 지역 사람들 중 일부에게는 락타아제 유전자가 성인이 된 이후에도 활발히 작동하게 만드는 유전자 돌연변이가 생겼고, 우유를 소화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 거예요. 이 유전자는 생존에 유리한 특성이 되어 점차 후손에게 전해지면서 퍼져 나갔죠.
그 결과, 유럽 북부와 아프리카 일부 지역의 사람들은 유당을 잘 소화할 수 있게 되었고, 그 외의 지역 사람들은 여전히 락타아제 활성이 떨어져 유당불내증이 흔하게 된 거예요. 이렇게 보면 유당불내증이 ‘비정상’이 아니라 오히려 인류 본래의 기본 상태이고, 유당을 평생 소화할 수 있는 소수의 인종이 진화적 예외인 셈이에요.
민족별 유당 소화력, 정리해보면?
동아시아인
유당불내증 비율이 90%에 달함. 유제품 섭취가 적은 전통 식문화 영향.
아프리카계 미국인
약 70~80%가 유당불내증.
히스패닉계
약 50% 정도가 유당불내증을 가짐.
남유럽인
유당불내증 비율이 40~60%로 중간 수준.
북유럽계 백인
유당불내증 비율이 5~10%로 가장 낮음.
이 수치는 평균적인 경향을 보여주는 것으로, 개인마다 차이는 있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같은 한국인이라도 유제품을 꾸준히 섭취한 사람은 장내 미생물이 변화하면서 증상이 덜할 수 있고, 반대로 유럽계 백인이라도 락타아제 활성이 나이에 따라 감소하는 경우도 있답니다.
유당불내증, 부끄럽지 않아요
우유를 마시면 배탈이 나는 자신이 이상한 건 아닌지 걱정하셨던 적 있나요? 이제는 그런 걱정 안 하셔도 돼요. 전 세계 인구의 대다수가 유당불내증을 겪고 있으며, 오히려 우유를 평생 소화할 수 있는 사람들이 소수인 특이 케이스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문화와 유전, 역사까지 얽힌 복잡한 이야기 속에 유당불내증은 너무나 자연스럽고 당연한 현상이에요.
다음 편에서는, 유당불내증이 있어도 우유와 유제품을 어떻게 즐길 수 있을지 – 락토프리 제품과 생활 속 대처법을 자세히 살펴볼게요. 유당불내증이 있어도 포기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 함께 알아봅시다!
'생물학 맛보기 > 음식의 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당불내증] 4편 : 더 알아두기 – 유당불내증 Q&A (0) | 2025.04.03 |
---|---|
[유당불내증] 3편 : 유당불내증과 함께하기 – 대처법과 락토프리 제품들 (2) | 2025.04.03 |
[유당불내증] 1편 : 우유만 마시면 배탈… 유당불내증이 뭐죠? (0) | 2025.04.03 |
[루테인] 2편 : 루테인의 효능, 섭취 방법, 팁, 주의점 (0) | 2025.04.02 |
[루테인] 1편 : 루테인이 눈 건강에 좋은 이유? - 성분, 원리, 장점, 특징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