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까지는 circuit 수준에서의 plasticity에 대해 살펴봤었음. 이제 synapse 수준에서의 plasticity(가소성)에 대해 알아보자. 특별히 glutamate가 NT로 작용하는 system에서는 AMPA와 NMDA에 의해 이런 가소성이 얻어짐. 보면 우선 glutamate의 경우 AMPA와 NMDA receptor 모두에 붙을 수 있음. 그러나 NMDA receptor의 경우 glutamate가 붙어도 Mg2+가 마개처럼 막고 있으므로 이 녀석을 통해 ion들이 들어올 수는 없음. 한편 glutamate가 AMPA에 붙을 시 AMPA를 통해 ion들이 들어오고 priming(일종의 예열)이 일어남. 그러다가 AMPA에 의해 탈분극이 유발되면 비로소 NMDA receptor가 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