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840

[신경과학] 22.2 : neuron간의 연결

지금부터는 position을 잡은 neuron이 자신이 projection해야 할 목적지로 어떻게 axon을 뻗어나가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흔히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pathway가 formation된다고 알려져 있음. 보면 우선 1에서와 같이 nasal한 방향(코 근처 방향)으로 갈지 temporal한 방향(코에서부터 먼 방향)으로 갈지가 결정됨. (3가지 선택지가 있음) 이후 2와 같이 LGN으로 갈지 MGN으로 갈지가 결정됨. 마지막으로 3과 같이 LGN의 어느 layer로 갈지가 결정됨. 물론 neuron의 종류에 따라 세부적인 path나 목적지는 다르겠지만, 대략 이런 계층의 선택이 이루어지게 됨. 한편 이런 식의 경로 결정에 있어서 selection을 위한 신호가 필요한데, 이 신호는 ..

[신경과학] 22.1 : neurogenesis

neuron의 genesis는 크게 cell proliferation, cell migration, cell differentiation의 합작품으로 일어나게 됨. cell proliferation cell proliferation은 cell division으로 생각 가능하며, 단순히 말해 수를 불리는 step에 해당함. neuron의 cell proliferation은 radial glial cell이라는 progenitor cell level에서 일어남. (이들은 나중에 neuron, glial cell로 분화할 progenitor cell임) 보면 위 그림과 같이 세로로 길쭉하게 생긴 형태로 radial glial cell이 배치되어 있음. 이 때 흥미롭게도 이 녀석의 핵이 처음에 vent..

[심근경색] 5편 : 심근경색 예방과 재발 방지를 위한 생활수칙 총정리

심근경색은 한 번 겪고 나면 생명의 위협을 실감하게 되는 병이에요. 하지만 희망적인 사실은, 심근경색은 예방 가능한 질환이라는 점이에요. 그리고 이미 한 번 경험하신 분들도, 재발을 막기 위한 관리만 잘하면 건강하게 생활을 이어갈 수 있어요.이번 글에서는 심근경색을 예방하고 재발 위험을 낮추기 위한 생활 수칙들을 꼼꼼하게 정리해드릴게요.하나씩 실천하면서 건강한 심장 습관을 만들어가보세요. 1. 절대 빠뜨릴 수 없는 기본 수칙: 금연 담배는 심혈관 건강에 가장 해로운 습관이에요.흡연은 혈관에 염증을 일으키고, 혈액을 끈적하게 만들어서 동맥경화와 혈전 형성을 유도해요. 심근경색을 한 번이라도 겪은 분이라면 단 한 모금의 담배도 금지예요.전자담배나 간접흡연도 예외는 아니에요. 금연이 힘들다면, 금연 클리닉..

[심근경색] 4편 : 심근경색 치료 방법, 응급 시술부터 퇴원 후 관리까지

심근경색이 의심되어 응급실에 도착하면, 무엇보다 중요한 건 막힌 혈관을 빨리 뚫어주는 치료예요. 오늘은 심근경색 진단 후부터 이루어지는 응급 시술과 약물치료, 그리고 퇴원 후 재활 과정까지 하나하나 차근히 설명해드릴게요.1. 병원에서의 첫 단계: 신속한 진단과 안정 조치 심근경색이 의심되면 병원에서는 심전도(ECG) 검사 혈액검사(트로포닌, CK-MB 등) 를 통해 빠르게 진단을 내리게 돼요. 동시에 산소 공급, 진통제 투여, 필요 시 혈압 및 심박수 안정화 조치도 함께 이루어집니다.심근경색이 확진되면 지체 없이 치료가 시작돼요. 2. 가장 흔한 치료: 관상동맥 중재술(PCI)심근경색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건 막힌 혈관을 가능한 한 빠르게 뚫는 것이에요.이를 위해 시행되는 대표적인 시술이 바로 심..

[심근경색] 3편 : 심근경색 초기 증상, 이런 신호가 나타나면 바로 병원가야 해요

심근경색은 말 그대로 ‘심장 근육이 괴사하는 상태’예요. 이 질환은 시간이 지체될수록 심장 근육의 손상이 커지고, 사망이나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초기에 증상을 잘 알아채고 빨리 병원에 가는 것이 정말 중요해요. 오늘은 심근경색이 올 때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들, 그리고 의심될 때 즉시 취해야 할 행동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의 생명을 지키는 데에도 꼭 필요한 정보니까, 함께 알아봐요.1. 가장 흔하고 중요한 증상: 가슴 통증 심근경색의 대표적인 증상은 바로 가슴 중앙 혹은 왼쪽의 심한 통증이에요. 많은 환자분들이 이 통증을 이렇게 표현해요. “가슴이 짓눌리는 느낌이에요.” “코끼리가 올라탄 것 같아요.” “숨을 쉴 수 없을 만큼 조여요.” 이 통증은 몇 초 잠..

[심근경색] 2편 : 심근경색 원인과 위험요인, 누가 더 주의해야 할까요?

심근경색은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병이라서, "평소 멀쩡했는데 왜 갑자기?" 하고 놀라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사실 심근경색은 어느 날 갑자기 생긴 병이 아니라, 오랫동안 진행된 혈관 손상이 쌓여서 발생하는 결과랍니다. 오늘은 심근경색의 주요 원인과 위험요인들을 정리해볼게요. 혹시 나에게도 해당되는 항목이 있는지 확인해보시고, 예방을 위한 첫걸음을 시작해보세요. 1. 심근경색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 동맥경화심근경색의 직접적인 원인은 관상동맥이 갑자기 막히는 것이에요. 그런데 혈관이 왜 막히게 될까요? 바로 동맥경화(atherosclerosis) 때문이에요. 동맥경화는 혈관 안쪽 벽에 지방, 콜레스테롤, 찌꺼기 등이 쌓여서 혈관이 점점 좁아지고 딱딱해지는 현상을 말해요. 이런 상태에서는 혈액이 잘 ..

[심근경색] 1편 : 심근경색이란? 협심증과의 차이와 심장마비 증상 정리

‘심장마비’라는 말, 한 번쯤 들어보셨죠? 흔히 말하는 심장마비는 의료적으로는 심근경색이라는 병이에요. 심근경색은 심장 근육에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서 조직이 괴사하게 되는 무서운 응급질환이랍니다. 우리 심장은 24시간 쉬지 않고 온몸에 혈액을 보내주는 아주 중요한 기관이에요. 그런데 정작 심장 스스로도 산소와 영양이 담긴 혈액을 받아야 움직일 수 있는데요, 이 혈액을 공급해주는 통로가 바로 관상동맥이에요. 문제는 이 관상동맥이 갑자기 막히게 되는 경우인데요, 이때 심장 근육(심근)에 혈액이 전달되지 않으면서, 그 부위가 손상되거나 죽게 되는 것이 바로 심근경색이에요. 몇 분만 혈류가 차단돼도 회복이 어려울 수 있어 정말 위험하답니다. 협심증과 심근경색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심근경색을 이해하려면..

[신경과학] 21.4 : 조현병(Schizophrenia)

이번 포스트에서는 조현병(Schizophrenia)에 대해 알아보자. schizophrenia는 splited mind, 혹은 divided mind의 결과로 나타나게 되며, 현실감이 사라지는 것이 대표적인 특징임. schizophrenia 환자의 positive symptom(즉, 정상인에게는 없는데 조현병 환자에게서만 나타나는 증상)은 delusion, hallucination, disorganized speech, catatonic behavior 등이 있으며 negative symptom(정상인에게는 있는데, 조현병 환자에게서만 나타나지 않는 증상)은 emotion expression, goal-directed behavior, proper memory 등임. schizophrenia 환..

[신경과학] 21.3 : 정동장애 - 2

지난 포스트에 이어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정동장애의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자. treatments for affective disorders 처음으로 소개할 treatment method는 electroconvulsive therapy(ECT)로 불리는 기술임. 이 방법의 경우 사람을 다 마취시킨 후 사람 머리에 위 그림과 같이 전기자극을 주는 식으로 시행됨. 그럴 시 mechanism은 모르지만 결과적으로 depression phenotype이 빠르게 회복됨. 다만 직전의 기억을 잃어버리거나, 혹은 새로운 information에 대해 storage하는 능력이 망가지는 등의 일이 일어날 수 있음. 이러한 부작용이 있음에도, 이 방법은 꽤나 효과적이기에 종종 사용되긴 함. 그 밖에 psychothe..

[신경과학] 21.3 : 정동장애 - 1

affective disorder는 mood disorder로 생각할 수 있음. 위 자료는 mood와 emotion의 차이를 나타내 보여주고 있음. mood는 기분, emotion은 감정으로 번역됨. mood의 경우 하루 정도 지속되며(점진적으로 켜지고 꺼짐) specific event에 의해 생성되는 것은 아니고 good mood와 bad mood 두 가지의 종류로 나눌 수 있음. 반면 emotion의 경우 특정한 상황에 의해 발생하는 strong한 feeling이며 굉장히 나양한 종류로 나눌 수 있음. 그 밖에 emotion은 빠르게 켜지고 꺼짐. 지금부터 논의하고자 하는 affective disorder는 특별히 'mood'에 문제가 생긴 경우에 해당함. bipolar disorder(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