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485

왕좌의 게임 - 스토리, 리뷰, 간단후기

이번 포스트에서는 2010년 미드의 대표격에 해당하는 왕좌의 게임에 대해 리뷰해볼게요.    2010년대에는 수많은 TV 쇼가 있었지만, 그중에서도 왕좌의 게임은 독보적이었어요. HBO가 조지 R.R. 마틴의 판타지 대서사를 각색한 이 시리즈는 TV 업계를 완전히 지배했죠. 전직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부터 스눕 독까지, 다양한 팬층을 가진 이 작품은 온라인에서 끊임없이 해부되었고, 수많은 팬 비디오의 주제가 되며 그 인기를 입증했어요. 각 에피소드당 2,500만 명 이상의 시청자를 기록했고, 불법 다운로드까지 포함하면 지구상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TV 쇼라는 다소 논란의 여지 있는 기록도 세웠죠.    무엇보다 왕좌의 게임은 판타지를 다루는 TV의 방식을 완전히 바꿔 놓았어요. 왕좌의 게임 이전에는..

[생화학] 9.2 : 지질의 생물학적 기능 - 1

이번 포스트부터는 지질의 생물학적 기능에 대해 알아보자.  lipid는 생물체 내애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 일단 lipid는 energy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 lipid는 다른 biomolecule에 비해서 상당히 reduce된 compound이므로 산소를 가할 시 많은 energy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함. (oil, fossil 등을 생각해보면 이해가 쉬울 것임) 그리고 lipid는 hydrophobic nature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당히 dense하게 packing이 잘 된다는 특징도 가지고 있음. 다음으로 lipid는 environment를 insulation하는 역할도 할 수 있는데, 이는 lipid의 thermal conductivity가 낮기 때문임. 게다가 he..

넷플릭스 삼체 - 스토리, 간단후기, 캐스팅, 시즌 2

이번 포스트에서는 넷플릭스가 2024년에 준비한 야심찬 시리즈 중 하나인 삼체에 대해 리뷰해보고자 해요.     넷플릭스의 삼체에 등장하는 인류를 위협하는 외계인들은 최소한의 자원으로 많은 일을 해내는 것을 신조로 삼아요.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양성자를 다차원으로 펼쳐, 핀 끝보다 작은 입자에 행성 크기의 컴퓨터 회로를 새겨 넣을 수 있죠.    Liu Cixin의  SF 3부작을 과감히 각색한 삼체의 첫 번째 시즌은 이 혁신적인 발명과 물리학 개념들을 시각적으로 멋지게 풀어내면서도 스릴 넘치는 장면과 경이로운 순간들을 선사해요. 다만, 인물들이 조금 더 입체적이었더라면 좋았을 것 같다는 아쉬움이 남아요. 하지만 이 드라마의 규모와 상상력을 뛰어넘는 전개는 관객을 사로잡아 그 단점을 쉽게 잊게 만들죠. ..

[신경과학] 16.3 : 초파리의 성행동

이번 포스트에서는 초파리의 성행동에 대해 알아보자.  실제로, sexual behavior는 여러 gene들에 의해 복잡하고 다층적으로 조절될수도 있고, 하나의 master gene에 의해 전체적으로 통솔받으며 조절될 수도 있음. 이 중 fruit fly에서는 후자가 fact임.     위와 같이 cover가 있는 dish에 초파리를 놓을 시 날지 못하고 계속 걸어다니게 됨. 이런 장치 하에서 male, female을 같이 넣어준 후 둘의 courtship behavior를 관찰해봄.    그랬더니, 놀랍게도 어떤 경우에도 위와 같은 순서를 따라서 courtship behavior가 나타남. (심지어 중간부터 일어나지도 않고 정확히 orienting부터 시작함. 그 밖에, 일단 시작하면 이 순서대로 쭉 ..

[신경과학] 16.2 : genetics of sex - 3

이번 포스트에서는 sex hormone의 작용과 관련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자.  genetic sex와 hormonal action이 mismatch를 이루게 된다면 어떠할까.  실제로 XX인 rat에게 prenatal testosterone을 투여해봤더니, 이 녀석은 female reproductive behavior를 보이지 않음. 그 밖에, XX인 guinea pig가 자궁에 있을 때 testosterone을 투여해봤더니 external genital(외부생식기)들의 masculinization이 일어났으며, mounting behavior를 보임.  그 밖에 또 다른 흥미로운 예도 있는데, 바로 소가 쌍둥이를 가지게 되었을 시 가끔 관찰되는 freemartin이 그것임. 일반적으로 쌍둥이를 가..

[신경과학] 16.2 : genetics of sex - 2

이번 포스트에서는 지난 포스트에 이어서 성결정과 관련된 유전학적 내용에 대해 알아보자.  sexual dimorphism은 sex에 따라 다른 모양, 행동, 생리 등을 의미함. 그 밖에 심지어는 sex에 따라 ornamentation(coloration, 피부 톤 차이)도 sexual dimorphism에 포함됨.  그렇다면 무엇이 sexual dimorphism을 나타나게 하는가. 이와 관련된 선구자적인 연구를 한 사람이 바로 Arnold A. Berthold임.    그는 위 그림 오른쪽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병아리를 가지고 실험함. 우선 그는 male 병아리의 생식기를 제거하고(castration) 키워봄. 그랬더니 male이 아닌 닭이 됨. 한편 group 2와 같이 이번에는 castration에..

[신경과학] 16.2 : genetics of sex - 1

이번 포스트부터는 성 결과 관련된 유전학적 내용에 대해 알아보자.   위 그림에는 사람의 핵형이 나타나 있음. 참고로 이 때 X 염색체에는 800여개의 gene이, Y 염색체에는 50여개의 gene이 존재하고 있음.   흥미롭게도 Y 염색체 내에는 sex-determining region of the Y chromosome(SRY)이라는 region이 존재하고 있음. SRY 내부에는 testis-determining factor(TDF)가 encoding되어있음. 결국 TDF가 발현되면 male이 되고, 발현되지 않으면 female이 되는 것임.    실제로 위와 같은 실험을 살펴볼 시, 원래는 XX여서 female이 되어야 하지만 여기에 Sry를 transgene시켜준 경우에 male phenotype..

[생화학] 9.1 : 지질(lipid)의 특징

이번 포스트에서는 지질(lipid)의 기본적인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lipid의 종류는 거의 1000개 이상임. 게다가 lipid derivative들도 엄청나게 많이 존재함. 그러다 보니 lipidomics와 같은 학문분과가 생겨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기도 함.  lipid는 water에 대한 solubility가 낮은 organic molecule들을 모두 한데 모아 부르는 명칭으로, hydrophobic한 성질을 가짐.    위 그림에는 fatty acid의 구조가 나타나 있음. 보면 아래쪽에는 hydrophobic한 hydrocarbon chain이 존재하고, 위쪽에는 polar한 carboxyl group이 존재하고 있음. 이 말단은 hydrophilic함. 이 때 carboxyl gr..

[생화학] 8.6 : 유전자 편집(gene editing) - 2

이번 포스트에서는 CRISPR/Cas9에 대해 알아보자.    그러던 중 위 그림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연구자들이 bacteria의 adaptive immune system인 CRISPR를 이용해서 3세대 유전자 가위인 CRISPR/Cas9을 개발함.    위 그림에는 CRISPR biology와 관련된 발전의 계보도가 나타나 있음. 보면 CRISPR biology와 함께 genome editing과 관련된 기술도 지속적으로 발전해왔음을 알 수 있음.   CRISPR는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의 약자임. 이 system은 bacteria의 immune system으로 작용하며, bacteriophage의 DNA를 일정한 간..

[생화학] 8.6 : 유전자 편집(gene editing) - 1

이번 포스트부터는 유전자 편집을 위해 사용 가능한 유전자 가위들에 대해 알아보자.    유전자 가위는 특정 sequence를 인지해서 이 sequence를 절단할 수 있는 system임. 즉, 유전자 가위는 특정한 서열을 인지하는 activity가 있어야 하고, 인지한 서열을 자를 수 있는 activity가 있어야 함.  그 중 위 그림에 나와있는 ZFN은 1세대 유전자가위로, zinc finger nuclease라고도 불림. 이 녀석은 zinc finger domain을 가지고 있음. (zinc finger domain은 유전자 targeting에 중요) 한편 Fok1이라는 nuclease가 이곳에 달려있어서 zinc finger domain에 의해 인지된 서열이 잘려나가게 됨. (이 때 Fok1은 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