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84

보고서 쓰는 법 - 제목, 목차, 페이지 숫자, 인용

지난 포스트에서는 보고서의 종류와 구성요소에 대해 알아봤어요. 2023.06.26 - [잡담/이공계 정보] - 보고서 쓰는 법 - 보고서의 종류, 구성요소 보고서 쓰는 법 - 보고서의 종류, 구성요소 이번 포스트에서는 학생이라면 항상 마주하게 되는 두려움의 대상인 보고서를 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1. 보고서의 종류 보고서도 종류와 목적, 그리고 보고서를 제출하는 대상에 unicellular.tistory.com 관련 포스트가 위와 같으므로 참고해주세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보고서를 쓸 때 빠져서는 안되는 것들 4가지에 대해 알아볼게요. 1. 제목 페이지 (title page) 공식적인 보고서는 많은 경우 제목 페이지(title page)를 가지고 있어요. 특히나 읽는사람이 여러 편의 보고서를..

보고서 쓰는 법 - 보고서의 종류, 구성요소

이번 포스트에서는 학생이라면 항상 마주하게 되는 두려움의 대상인 보고서를 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1. 보고서의 종류 보고서도 종류와 목적, 그리고 보고서를 제출하는 대상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어요. 우선 첫 번째 종류로 책의 내용, 역사적 사실 등의 객관적 사실을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요구하는 학술적 보고서(academic report)가 있어요. 두 번째로 마케팅 결과, 실적 보고 등을 위해 주로 사업체에서 많이 사용하는 비즈니스 보고서(business reports)가 있어요. 마지막으로 자신의 연구 결과, 혹은 연구결과들을 재구성한 것을 과학적 목적으로 출판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과학적 보고서(scientific report)가 있어요. 2. 보고서의 구조 그렇다..

[분자생물학] 5.4 : DNA sequencing (DNA 시퀀싱), restriction mapping, site-directed mutagenesis

이번 포스트에서는 DNA sequencing(DNA 시퀀싱)에 대해 알아보고, 뒤이어 restriction mapping, site-directed mutagenesi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DNA의 sequencing에 있어 가장 기본에 해당하는 방법은 바로 sanger sequencing임. sanger sequencing에서는 dideoxy nucleotide를 사용한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임. 위 그림에서도 나타나 있듯 우리가 알고자 하는 서열 바로 앞쪽에 primer를 결합시켜 준 후 dNTP와 함께 4종류의 ddNTP를 하나씩 넣어주면서 결합을 시켜봄. 그럴 시 랜덤하게 다양한 위치에 ddNTP가 결합되게 되는데, 이 때문에 생성되는 DNA 서열의 길이가 다 다를 것임. 이후 el..

[세포생물학] 12.1 : cancer (암) - 어원, 정의

이번 포스트부터는 본격적으로 cancer(암)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우선 이번 포스트에서는 cancer의 어원과 기본적인 정의 및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cancer라는 단어의 어원은 crab(게)임. 위 그림처럼 죽은 사람의 몸에서 나온 암의 모양이 마치 게 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이름붙여졌다는 설이 가장 유력함. 우선 본격적으로 암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용어에 대해 정리해보자. tumor는 조직의 자율적인 과잉 성장을 의미하며, 이 녀석이 전도가능해지면 우리는 그것을 cancer라고 부름. neoplasm은 tumor와 유사한 뜻을 가진 단어이고, 조금 더 의학적인 용어라고 이해하면 됨. benign tumor는 양성종양이고 덩어리는 형성하나 조직이 망가지지는 않는 tumor를 의미함. 한편..

[유전학] 7.3 : trp operon (트립토판 오페론) - 2 (attenuation)

이번 포스트에서는 지난 포스트에 이어서 trp operon과 관련된 중요한 조절 기작 중 하나 attenuation 기작에 대해 알아보자. trpR에 mutation이 생긴 경우, tryptophan의 존재 여부와는 상관없이 repression이 일어나지 않아야 함. 그러나 실제로는 조금 repression이 일어남. 이는 attenuation에 의한 repression의 결과임. 실제로 trp operon의 구조를 살펴보면, regulatory region 뒤쪽, 그리고 trpE 앞쪽 부위에 별도의 서열들이 존재함. 이 서열들이 mRNA로 발현되게 되면, leader peptide(trpL로부터 발현)와 그 뒤의 attenuator region(trpA로부터 발현) 1, 2, 3, 4가 5' UTR 부..

[유전학] 7.3 : trp operon (트립토판 오페론) - 1

이번 포스트에서는 lac operon에 못지않게 유명한 trp operon(트립토판 오페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trp operon에는 E. coli가 tryptophan을 합성할 때 필요한 5개의 효소반응에서의 효소를 암호화하고 있는 gene들이 포함되어 있음. 위 그림에는 trp operon의 구조가 나타나 있음. 보면 trpE, trpD, trpC, trpB, trpA가 operon 내에서 연속적으 나열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이 operon은 tryptophan이 있으면 off, tryptophan이 없으면 on되는 식으로 작동함. (lac operon에서와는 반대양상) 위 그림은 trp operon의 구조를 조금 더 상세하게 나타내주고 있으므로 참고할 것. 우선 tryptophan이 ..

[유전학] 7.2 : lac operon (젖당 오페론) - 2

이번 포스트에서는 저번 포스트에 이어 젖당 오페론에 대해 본격적으로 알아보자. operon은 일종의 세균에서의 유전자 발현 단위로, operon 내부에는 같이 regulation되고 같이 expression되는 gene group들이 다 포함되어 있음. 이 때 gene group 내의 여러 gene들은 한 번에 전사되며 보통 같은 반응에 관여된 gene들이 모여있는 경우가 많음. (이러한 특징을 polycistronic하다고 함) 이러한 operon은 일반적으로 원핵생물에서만 관찰됨. 위 그림은 lac operon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음. 이 때 앞쪽에 존재하는 lacI는 repressor gene이며, 이 부분은 항상 발현되고 그 결과 lac repressor도 항상 존재하고 있음. (이 때 lac r..

[유전학] 7.2 : lac operon (젖당 오페론) - 1

이번 포스트에서는 세균에서 흔히 관찰되는 오페론 중에서도 특히나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lac operon(젖당 오페론)의 발견 과정에서 수행된 역사적인 실험들에 대해 알아보자. 위 그림에는 배양되고 있는 E. coli(대장균)의 모습이 나타나 있음. 참고로 E. coli는 colony(콜로니) 크기가 특정 수준 이상으로 커지지 못하고 위 그림 오른쪽과 같은 상태로 남아있는데, 이는 한 colony 내에서 쓸 수 있는 양분을 다 써버렸기 때문임. 일반적으로 E. coli는 glucose(포도당)를 제일 좋아함. 따라서 glucose를 만드는 효소는 E. coli 내에 항상 발현되고 있음. 그런데, glucose가 부족한 환경에 처하게 되면 E. coli는 lactose(젖당)를 양분으로 사용하게 됨. 이 ..

[유전학] 7.1 : 유전자 발현의 기본

이번 포스트에서는 유전자 발현과 관련한 기본적인 내용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사람이 가지고 있는 gene의 개수는 대략 30,000여개 정도임. 이 때 gene이란 protein을 encoding(암호화)하고 있는 실체를 의미함. 이 gene들이 위와 같이 23쌍의 chromosome에 분포하고 있는 것. (즉, gene은 DNA 서열의 일부라고 볼 수 있음) 참고로 C. elegans의 gene 갯수는 20,000개임. 이 때 DNA→RNA→protein의 과정을 거쳐 DNA 서열로부터 protein이 만들어지면 이를 expression(발현)되었다고 표현함. 그렇다면 유전학은 어떤 학문인가. 간단히 말해 유전학은 mutation을 찾는 학문임. 실제로 유전학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 중 하나가 ..

[유전학] 6.4 : materal inheritance (모계유전)

이번 포스트에서는 materal inheritance(모계유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maternal effect란 egg에 남아있는 mRNA, protein 등의 물질들이 자식의 embryo(배아) 발생에 영향을 주고 결과적으로 자식의 phenotype이 결정되게 되는 효과를 의미함. (즉, 다시 말해 엄마의 genotype에 의해 egg에 남아있는 물질 분포가 달라지게 되면 이들이 자손의 DNA 발현에 영향을 주게 되는 effect가 바로 maternal effect임)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예시들에 대해 알아보자. Ephestia pigmentation 위와 같이 Ephestia라는 종의 Larvae(애벌레)에서 색소 합성에 관여하는 dominant gene A가 존재함. 이 때 위 그림을 보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