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60

[대학원 입시] CV 양식, 작성 팁 , 작성 시 주의사항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이들 궁금해하시는, 대학원 컨택때 쓰이는 CV를 작성하는 법에 대해 소개드릴게요. CV는 Curriculum Vitae의 약자인데요, 한국어로 번역하면 '삶의 과정' 정도의 의미에요. 삶의 과정이라는 거창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사실은 흔히 말하는 이력서로 생각하시면 편할 것 같은데요. 보통은 국내, 혹은 해외 기업에 취직할 때 많이 사용하지만, 그 밖에 대학원 진학을 위해 관심분야의 랩 교수님께 컨택을 할 때도 본인의 CV를 같이 첨부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에요. (만약 CV 없이 컨택을 한 경우, 이후에 교수님이 CV를 요구하실수도 있으니 가능하면 미리미리 CV를 작성해서 첨부하는게 좋겠죠?) 오늘은 특히 대학원 관련 랩 컨택 시 쓰이는 CV의 작성방법 및 주의사항에 대해 조금 더..

[유전학] 1.2 : 멘델 유전학의 재발견 - 염색체와 멘델의 법칙 & 가계도 & 테이-삭스병(Tay-Sachs disease)

이제 chromosome의 개념을 이용해서 다시금 Mendelian genetics를 설명해보자. 우선 Mendel의 첫 번째 가설, unit factor가 pair로 존재한다는 가설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이는 위와 같이 1st meiotic prophase(감수 1분열 전기) 때 chromosome들이 서로 상동염색체 관계로 쌍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 가능함. (chromosome이 쌍을 이루므로, chromosome 내에 포함되어 있는 gene 또한 쌍을 이룰것임) 다음으로 Mendel의 두 번째 가설, gamete formation 과정에서 unit factor가 분리된다는 것에 대해 생각해보자. 이는 위와 같이 1st meiotic anaphase에 상동염색체끼리의 분리가 일어나는 현상으로 설명할 ..

[KAIST 대학원 입시] 카이스트 대학원 1차모집 정보 (2022) - 접수기간, 제출서류, 자기소개서

저는 올해(2021)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대학원에 지원해서 얼마전에 국비장학생으로 합격하게 되었는데요 ㅎㅎ 국비장학생, 카이스트 장학생, 일반장학생, 산학장학생 등 장학생 정보에 대해서도 정리할 게 많지만, 그건 다음 기회에 하도록 하고! 이번에는 카이스트 대학원 입시 과정, 그 중에서도 1차 서류심사 과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제 설명을 듣는것도 좋지만, 사실 KAIST에서 제공하는 모집요강을 한번 꼼꼼히 읽어보는게 그 무엇보다 더 정확하겠죠?? 대학원과정 | KAIST 입학처 대학원과정 | KAIST 입학처 관심 연구분야 찾기 admission.kaist.ac.kr 위 사이트에 접속하셔서 자료실에 들어가시면 지금까지 올라와있는 모든 버전의 대학원 모집요강을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가장 좋..

[유전학] 1.1 : 멘델 유전학(mendelian genetics) - 2 (퍼넷 사각형, 양성잡종교배, 염색체)

2021.09.20 - [전공자를 위한 생물학/유전학] - [유전학] 1.1 : 멘델 유전학(mendelian genetics) -1 (intro, 단성잡종교배) [유전학] 1.1 : 멘델 유전학(mendelian genetics) -1 (intro, 단성잡종교배) mendel(멘델)은 완두콩의 몇 가지 traits를 이용해서 유전학적 패턴을 수학적으로 설명함. 이 수학적 설명은 훗날 다른 많은 유전 작용에도 성립함이 밝혀짐. 그러나 그 당시 사람들은 mendel의 아이 unicellular.tistory.com 저번 글에 이어서 이번에는 유전학에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현법 중 하나인 punnett square(퍼넷 사각형)에 대해 알아볼게요. punnett square란 위 그림 가운데에 나타난..

[유전학] 1.1 : 멘델 유전학(mendelian genetics) -1 (intro, 단성잡종교배)

멘델은 완두콩의 몇 가지 특징를 이용해서 유전학적 패턴을 수학적으로 설명했어요. 이 수학적 설명은 훗날 다른 많은 유전 작용에도 성립함이 밝혀졌는데요. 그러나 그 당시 사람들은 멘델의 아이디어를 인정하지 않았는데, 40년 후 그의 연구가 다시금 재조명받게 돼요. 그 이후에서야 멘델은 유전학의 대부가 될 수 있었죠. 그러면 왜 멘델은 하필 완두콩을 썼을까요? 이는 이 녀석이 자라기 쉽고(한 시즌 안에 성숙) 인공 교배(artificial hydridization)가 자유로우며 2가지의 분명한 표현형이 있기 때문이었어요. 멘델은 특히 아래와 같은 완두콩의 7가지 특징들을 사용했어요. 그리고 특히 멘델은 각 특징마다 'true-breeding strain(순종)'을 사용했는데, 그 이유는 순종을 사용해야 교배..

[세포생물학] 5.2 : gated transport 2 - Ran GTPase cycle, NF-AT

2021.04.25 - [전공자를 위한 생물학/세포생물학] - [세포생물학] 5.2 : signal sequence & gated transport 1 - NPC, NLS, Importin, Ran GTPase [세포생물학] 5.2 : signal sequence & gated transport 1 - NPC, NLS, Importin, Ran GTPase 이번 포스트부터는 본격적으로 단백질이 경유할 수 있는 pathway들 중 한 종류인 gated transport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게요. 우선 이에 앞서 signal sequence라는 개념에 대해 알아둘 필요가 있어 unicellular.tistory.com 이전 포스트에서는 핵막에 있는 NPC, cargo protein에 있는 NLS, N..

[세포생물학] 5.2 : signal sequence & gated transport 1 - NPC, NLS, Importin, Ran GTPase

이번 포스트부터는 본격적으로 단백질이 경유할 수 있는 pathway들 중 한 종류인 gated transport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게요. 우선 이에 앞서 signal sequence라는 개념에 대해 알아둘 필요가 있어요. signal sequence는 단백질 내부에 있는 일종의 꼬리표라고 볼 수 있어요. 다리 말해서 리보솜(ribosome)에서 합성된 protein들이 세포 내 어디로 가서 위치하게 될지를 나타내주는 정보인 것이죠. signal sequence는 크게 signal peptide와 signal patch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어요. 위 그림 위쪽과 같이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중 일부 연속된 서열이 단백질의 주소(adress)를 나타내는 것이 바로 signal peptide이고,..

[세포생물학] 5.1 : 세포의 구성요소, 세포소기관, 세포내 단백질의 이동

이번 포스트에서는 세포의 구성요소, 세포소기관, 세포내 단백질의 이동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원핵생물(prokaryotic cell)과는 달리 진핵생물(eukariotic cell)들은 아래와 같이 세포 내에 지질막으로 둘러싸인 세포소기관(organelle)들이 존재해요. 그렇다면 이런 세포소기관들이 존재해서 진핵생물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무엇일까요? 다양한 장점이 있을 수 있겠지만, 가장 큰 장점은 각각의 세포소기관 내에서 특이적인 반응을 할 수 있다는 거에요. (호랑이와 사슴을 같은 우리에서 키울 순 없지만, 이 녀석들을 공간적으로 분리된 데 둔다면 쉽게 키울 수 있겠죠? 그거랑 비슷한 이유에요) 그렇다면 도대체 이런 세포소기관들은 어떻게 형성된 것일까요? 사실 이와 관련해서는 지금도 의견이..

[생물 상식] 자궁근종(uterine fibroid)의 원인, 증상, 예방방법

이번 포스트에서는 최근 여성들이 엄청나게 많이 앓고있는 자궁근종의 원인, 증상, 예방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자궁근종(uterine fibroid)은 위 그림에 나타난 것과 같이 자궁의 여러 부위에서 발생하는 양성종양이에요. 여기서 중요한 것이 '양성' 종양이라는 것인데요. 종양, 하면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것이 암이지만, 암은 엄밀히 말해서 종양 중에서도 '악성' 종양이에요. 악성 종양과는 달리 자궁근종같은 양성종양들을 암으로 발생할 가능성의 거의 0%에 가까워요. 자궁근종은 사람의 눈으로 관찰 불가능할정도로 작은 녀석에서부터, 자궁의 형태를 변형시킬 정도로 부피가 큰 덩어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는데요. 심지어 사람에 따라서 하나의 자궁근종만을 가질수도, 여러개의 자궁근종을 함께 가지고 ..

생물학 맛보기 2021.02.07

[세포생물학] 4.4 : 활동전위(action potential), transmitter-gated ion channel

이번 포스트에서는 신경세포(neuron)에서 ion channel들이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그 이후에 ligand-gated ion channel의 예시들에 대해 알아볼게요. 신경세포, 즉 neuron은 위와 같이 생겼어요. 보면 일반적인 세포의 모양이랑 많이 다르게 생겼죠? 그렇기는 하지만 이 녀석도 세포막으로 둘러싸인 세포라는 것은 동일해요. 신경세포의 막에는 이전 포스트에서 언급했던 다양한 종류의 ion channel들이 있는데, 이 녀석들에 의해서 이온이 한쪽 방향으로만 이동한 결과 소위 말하는 막전위(membrane potential)라는게 생겨요. 이런 막전위는 신경세포, 그 중에서도 위 그림에 길쭉하게 나와있는것과 같은 axon 부위를 통해 정보가 전달되는데 있어서 상당히 중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