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60

[세포생물학] 5.3 : transmembrane transport 3 - ER 수송 (ER transport)

이번 포스트에서는 미토콘드리아로의 수송, 엽록체로의 수송에 이어서 ER(endoplasmic reticulum), 혹은 소포체라 불리는 기관으로 단백질이 수송되는 기작에 대해 알아볼게요. ER로의 수송 또한 막성 소기관으로 단백질이 수송되는 것이기 때문에 transmembrane transport로 볼 수 있어요. ER(endoplasmic reticulum)은 위 그림과 같이 생겼어요.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는 것처럼 ER은 핵막과 일부 이어져 있는 형태이며, 그렇기에 같은 내부공간을 공유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어요. 참고로 ER의 내부공간을 ER lumen이라고 불러줘요. ER로 수송되는 단백질은 세포막 단백질이거나, 혹은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단백질이에요. 다시말해 세포막 단백질, 혹은 세포 밖으로..

[크리스퍼] 1편 - 유전자 편집 (유전자 가위)

이 시리즈에서는 크리스퍼 기술로 대표되는 각종 유전자 편집 기술, 유전자 변형 기술, 그리고 유전자 치료 기술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우선 기본적으로 유전자 편집 기술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에 대해서부터 간략히 알아볼게요.      위 그림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유전자 가위는 DNA의 ATGC로 이루어진 특정 서열 조합을 인지해서 이 서열을 절단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해요. 따라서, 유전자 가위는 1) 특정 서열을 인지할 수 있는 활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2) 인지한 서열을 자를 수 있는 활성을 가지고 있어야 해요.  위 그림에는 3가지 종류의 DNA를 표적으로 할 수 있는 유전자 가위가 나타나 있어요. 하나하나 살펴볼게요.  ZFN은 zinc finger nuclease의 약..

[과학 논문 읽는 방법] 1 - 좋은 논문 검색하기

과학쪽 연구직에 종사하시거나, 혹은 이공계 대학, 대학원에 재학중이신 분이라면 아무리 싫더라도 반드시 논문과 친해질 필요가 있는데요! 보통 학부 수업때 과제를 수행하거나, 개별연구를 하거나, 인턴을 하거나, 혹은 대학원에서 자신의 주제를 찾고 발전시킬때 논문을 찾아보게 되는 것 같아요. 그렇지만 대부분의 경우 어떻게 좋은 논문을 찾아야 할지, 논문을 어떻게 읽어야 할지에 대해서는 잘 모른채로, 무작정 논문을 읽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그런 식으로 논문을 읽을 경우에는, 1. 이상한 논문을 골라서 시간을 낭비하거나, 2. 논문을 다 읽었는데 막상 어떤 게 중요한지 잘 모르겠거나, 3. 읽은지 며칠 지나지 않아서 내용이 하나도 기억이 안나거나, 4. 한 논문을 읽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논..

PCR(중합효소 연쇄반응)의 원리, 단계, 응용

이번 포스트에서는 대부분의 생물학 실험실에서 다 일상적으로 하는 실험 중 하나인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에 대해 알아볼게요. 특히나 요즘은 생물 실험을 하시는 분들뿐만 아니라 코로나 검사를 받아본 경험이 있는 분들도 PCR에 대해서 한번은 들어보셨을거같아요. PCR은 polymerase chain reaction의 줄임말로, 쉽게 풀어서 설명하자면 polymerase, 즉 중합효소를 이용해서 소량의 DNA를 연쇄적으로(chain) 증폭시키는 반응(reaction)이에요. 실제로 위 그림에도 나와있는 것처럼 PCR 반응을 반복함에 따라서 DNA 양이 연쇄적으로 증폭되고, 결국 우리는 소량의 DNA랑 똑같은 정보를 담고 있는 수많은 DNA 복제본들을 얻을 수 있어요. 위 그림에..

[세포생물학] 5.3 : transmembrane transport 2 - 엽록체 수송(chloroplast transport)

이번에는 엽록체로 단백질이 수송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볼게요. 사실 엽록체로 단백질이 수송돠는 과정은 미토콘드리아로 단백질이 수송되는 과정과 많은 공통점이 있어요. 1) 둘 다 post-translational한 translocation이다. 2) 내막, 외막이 다른 translocation complex를 이용한다. 3) 에너지가 필요하다. 크게 위와 같은 공통점들이 있어요. 우선 post-translational하다는 것은, 일단 리보솜(ribosome)에서 번역(translation)이 완전히 다 일어나고 난 뒤에, 이렇게 만들어진 단백질이 미토콘드리아, 혹은 엽록체로 수송된다는 것을 의미해요. (반면 나중에 살펴볼 ER(소포체)로의 수송과정은 co-translational, 즉 리보솜에서의 번역과 ..

[cell biology] 1.1 : cell isolation - trypsin, collagenase, EDTA

If you have an experience about the biological experiment, you may familiar with cell isolation and cell culture. These two step is essential for biological analysis. So, I will explain the detail at a cell biology level. cell isolation At first glance, it seems that you can get individual cells just by getting tissues, but in reality, it's not that simple. The reason is that most of the cells a..

[대학원 입시] 교수님께 컨텍 메일 쓰기 (예시 포함)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교수님께 컨텍 메일 쓰는 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컨택 메일은 기본적으로 교수님께 자신의 존재와 대학원 입학 의사를 알리면서, 교수님께 강렬한 첫인상을 남길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에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 그런데 정작 뭐라 써야할지 모르겠다면, 이 글을 참고해보세요. (다만, 컨텍 메일에 정답은 없기 때문에, 말 그대로 참고만 해주세요 ㅎㅎ) 1. 들어가야 할 내용 컨텍 메일에 일반적으로 들어가야 할 내용은 아래와 같아요. 1) 자신의 학교 소속, 학년, 이름 : 우선 자신이 누구인지를 밝혀주는건 기본이겠죠? 본인은 홈페이지나 논문 등을 통해 교수님을 많이 접해봤겠지만 교수님은 본인이 누군지 전혀 모른다는것 기억하세요! 2) 자신의 현재 상황(졸업을 할 예정인지, 이미 졸업..

[세포생물학] 5.3 : transmembrane transport 1 - 미토콘드리아 수송(mitochondrial transport)

이번 포스트부터는 transmembrane transport(막 간 수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특별히 이번 포스트에서는 transmembrane transport의 한 종류인 cytosol->mitochondria로의 수송 과정에 대해 알아볼게요. 위 그림에는 mitochondria(미토콘드리아) 내부 구조에 대한 명칭이 표시되어 있어요. 간단히 살펴보면, mitochondria는 2개의 막으로 구성되어 있고, 안쪽에 있는 막이 inner membrane(내막), 바깥쪽에 있는 막이 outer membrane(외막)이에요. 그리고 내막과 외막 사이 공간을 intermembrane space(막사이공간)라고 불러요. 그 밖에, 내막 안쪽의 공간을 matrix(기질)라고 부른다는 것도 알아두시면 좋아..

다육식물, 다육이의 특징, 생애, 번식, 생물학

다육식물 하면 위 그림과 같은 오동통한 식물 이미지가 떠오르시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관상용으로 키우곤 하는 다육식물에 대해 낱낱이 파헤쳐볼게요. 1. 다육식물의 생물학 다육식물의 잎은 많은 경우 아주 통통한데, 이 통통한 잎은 기본적으로 물을 저장하기 위해 존재해요. 이런 구조가 존재하는 이유는 이들이 주로 살아가는 환경 때문인데, 이들은 매우 덥고 건조한, 사막 같은 환경에서 주로 서식해요. 그러다 보니 물이 귀해서 조금이라도 물을 덜 잃기 위해서 물 저장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진화하게 된거죠. 사실 다육식물은 '속씨식물', '겉씨식물' 같은 분류법처럼 식물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때 사용되는 말은 아니에요. 단지 사막과 같은 기후에 살아서 잎, 줄기, 혹은 뿌리에 물을 ..

dangle 단어의 뜻, 사용용례, 예시

이번 포스트에서는 원서에서 자주 등장하는 dangle이라는 단어의 뜻, 사용용례, 예시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dangle을 영어사전에 검색해보면, to hang loosely, or to hold something so that it hangs loosely 라고 나와요. 즉, 쉽게 말해서 어떤 곳에 약하게(loosely) 매달다(hang) 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요. 감을 잡기 위해 dangle이 들어간 예문 몇가지를 살펴볼게요. loose electric wires were dangling from the wall. 느슨한 전기줄이 벽에서부터 매달려있다. I like to sit on the edge and dangle my feet in the water. 나는 물가에 앉아서 발을 달랑달랑거리는 것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