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4/01 15

[다이어트약] 1편 : 다이어트약이 필요한 경우와 작동 원리

다이어트를 해도 살이 빠지지 않아서 고민하고 계신가요? 혹시 건강상의 문제까지 겹쳐서 더 걱정되시나요?    그렇다면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다이어트약, 즉 처방 다이어트약에 대해 알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처방 다이어트약이란? 처방 다이어트약은 일반 약국에서 아무나 살 수 있는 약이 아니라, 의사의 처방이 있어야만 복용할 수 있는 전문의약품이에요. 이 약들은 보통 식욕을 줄이거나 포만감을 높이거나, 또는 지방 흡수를 억제하는 방식으로 작용해요. 단, 건강한 식단과 운동과 함께 병행해야 효과가 좋아요. 누가 처방 다이어트약을 복용할 수 있나요?  의사 선생님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처방을 고려해요: 1)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인 경우 (비만에 해당돼요) 2) BMI가 27 이상이면서 고..

[신경과학] 19.2 : 언어의 처리과정 - 2

이전 포스트에 이어서 살펴보자.  흥미롭게도 사람과는 달리 동물의 경우 right-hander와 left-hander가 반반이며, 그러다 보니 language hemisphere도 좌뇌, 우뇌가 반반으로 관찰됨. 따라서 아마도 human에게서만 관찰되는 특징적인 asymmetry가 인간이 인간답게 language를 구사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가 아닐지 생각되고 있음.    그 밖에 사람의 경우 위 그림에도 나타나 있는 것처럼 sylvian fissure의 각도를 비교해봤을 때 왼쪽의 각도가 오른쪽보다 더 작음.    그 밖에, planum temporale이라는 부분의 경우에도 왼쪽이 오른쪽보다 더 큼.  이러한 비대칭성이 아마도 동물과 인간의 뇌를 특별히 더 다르게 만들어주는 요소가 아닐까 생각해볼 ..

[신경과학] 19.2 : 언어의 처리과정 - 1

이번 포스트부터는 human이 가지는 asymmetrical language processing 과정에 대해 살펴보자.    일반적으로 좌뇌와 우뇌는 위 그림에도 나타나 있는 것처럼 corpus callosum(뇌량)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    그런데, 위 그림상에 나타나 있는 Kim Peek이라는 사람은 선천적으로 corpus callosum 없이 태어남. 흥미롭게도 이 사람은 2개의 눈을 따로따로 이용해 2개의 page를 동시에 읽을 수 있었으며, 한번 읽고나서 98%의 내용을 정확히 복기할 수 있었다고 함.  본론으로 돌아가서, 80% 이상의 사람들은 language processing에 있어서 left hemisphere가 dominant함.   이와 관련된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corpus ..

[신경과학] 19.1 : 언어의 뇌과학 - 3

이전 포스트에 이어 Broca's Aphasia에 대해 생각해보자.    위 그림에서 붉은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이 Broca's area이며, 이곳이 손상될 시 Broca's Aphasia가 발생할 수 있음. Broca's Aphasia가 발생할 시 speech가 유창하지 않으며, 문법적으로도 맞지 않게 됨. 조금 더 자세히 말하자면 이들은 말하는 것을 힘들어하지만 language를 듣고 읽는데는 문제가 없음. 그리고 이들에게 paraphasic error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즉 발음이 잘 꼬이게 됨. 그 밖에 다른 사람이 한 말에 대한 repetition에 어려움을 겪으며 anomia도 관찰됨. (Anomia란 특정 대상에 해당하는 단어를 제대로 말하지 못하고 이것, 저것과 같은 식으로 얘기하..

[신경과학] 19.1 : 언어의 뇌과학 - 2

지난 포스트에 이어서 살펴보자.     위 graph는 US에 도착한 나이에 따른 accent의 native한 정도를 나타내주고 있음. 보면 아예 US에서 태어난 아이들의 경우 native English accent를 가졌음. 그러나 US에 도착한 나이가 점점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native Korean accent rating 정도가 증가함. 이를 통해 어릴 때는 language brain이 hardening되지 않았기에 language 습득, 그리고 language와 관련된 accent 습득도 훨씬 쉽지만, 나이가 들면 들수록 brain이 hardening되면서 language 습득, 더 나아가 accent 습득이 어려워진다는 것을 알 수 있음.    그리고 앞서도 봤던 것처럼 어떤 사람이 언어를 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