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 맛보기/신약의 생물학

[다이어트약] 1편 : 다이어트약이 필요한 경우와 작동 원리

단세포가 되고파🫠 2025. 4. 1. 00:48
반응형

 

 

 

다이어트를 해도 살이 빠지지 않아서 고민하고 계신가요?

 


혹시 건강상의 문제까지 겹쳐서 더 걱정되시나요?

 

 

 

 


그렇다면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다이어트약, 즉 처방 다이어트약에 대해 알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처방 다이어트약이란?

 


처방 다이어트약은 일반 약국에서 아무나 살 수 있는 약이 아니라, 의사의 처방이 있어야만 복용할 수 있는 전문의약품이에요.

 


이 약들은 보통 식욕을 줄이거나 포만감을 높이거나, 또는 지방 흡수를 억제하는 방식으로 작용해요. 단, 건강한 식단과 운동과 함께 병행해야 효과가 좋아요.

 



누가 처방 다이어트약을 복용할 수 있나요?

 

 


의사 선생님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처방을 고려해요:

 


1)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인 경우 (비만에 해당돼요)

 


2) BMI가 27 이상이면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과 같은 비만 관련 건강 문제가 있는 경우

 

반응형

 

BMI 계산법

 


BMI = 체중(kg) ÷ [키(m) × 키(m)]
예: 165cm, 70kg이라면 → 70 ÷ (1.65 × 1.65) = 약 25.7

 

 

BMI 계산법은 위와 같으니 참고해서 본인의 BMI를 계산해보고 처방약을 받을 수 있는 기준이 되는지 여부를 확인해보세요!

 

 


처방약만으로 살이 빠질까요?

 


그렇진 않아요.


처방약은 다이어트를 보조해주는 수단일 뿐, 기본은 식단 조절과 꾸준한 운동이에요.

 

 

 


연구에 따르면, 처방약을 1년 이상 복용한 경우 평균 체중의 3~12%를 추가로 감량할 수 있었어요.
예를 들어 80kg인 사람이 5~10%를 감량하면 4~8kg 정도 감량한 거니까 꽤 의미 있는 변화죠.

 

 


더불어 체중이 줄면 다음과 같은 건강 효과도 기대할 수 있죠

 


혈압 감소

혈당 수치 개선

중성지방(triglycerides) 감소

 

 

 


얼마나 오랫동안 복용해야 하나요?

 

 

일반적으로 의사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약 복용을 판단해요:

 

 


3~6개월 동안 약을 복용한 후 체중의 5% 이상을 감량했다면 → 장기 복용을 고려해요.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이 있다면 → 다른 약으로 변경하거나 중단해요.

 

 

 


비용과 보험은?

 


처방 다이어트약은 비용이 높은 경우가 많고,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요.

 


약을 복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보험 적용 여부를 확인해 보세요.

 

 


주의해야 할 점

 

 

 


임신 중이거나 임신 계획 중인 분, 모유 수유중인 분이라면 복용하면 안 돼요.


또한 약에 따라 메스꺼움, 변비, 두통, 복통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요.

 

 

더불어 일부 약물은 자살 충동 등 정신과적 부작용도 있을 수 있으니,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하고 복용해야 해요.

 

 

 

 


다음 글에서는 어떤 처방 다이어트약이 있는지, 각각 어떤 방식으로 작용하는지 자세히 알아볼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