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84

소나무의 특징, 생애, 번식, 생물학

소나무는 세부적으로 115개 종이 존재할 정도로 종류가 많으며, 4철나무 침엽수에 속하는 식물이에요. 일반적으로 소나무는 전세계에 다 퍼져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북쪽 지역에 더 많이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어요. 다른 대부분의 나무들과 마찬가지로, 소나무는 일종의 서식지를 제공해주며, 그 밖에 소나무 씨앗은 새, 다람쥐를 비롯한 많은 동물들의 음식원으로 기능하기에 매우 중요해요. 그 밖에 산업적으로는 종이 생산의 중요한 원료로써 유용하게 사용되며, 그 밖에 송진, 기름, 타르 등의 원료로도 유용하게 사용되죠. 그리고, 우리가 익히 많이 봐오던 것처럼 소나무는 관상용으로도 엄청나게 많이 사용되며, 실제로 우리나라의 관상목 시장에서 소나무는 빼려야 뺄 수 없는 품종이에요. 1. 소나무의 생애주기 소나무는 대..

[세포생물학] 7.4 : intracellular receptor signaling

이전 포스트들에서는 GPCR, RTK와 관련된 여러 사실들을 배워봤는데요. 사실 지금까지 배운 이런 신호전달경로들은 실제로는 겹쳐지고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어요. 실제로 위 그림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GPCR pathway와 RTK pathway는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이 가능해요. 이를 통해 훨씬 정교한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겠죠? 이제 마지막으로 소수성 ligand들이 주로 경유하는 세포 내 수용체(intracellular receptor) 매개 신호전달 과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도록 할게요. 위 그림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소수성의 ligand들은 intracellular receptor, 즉 세포 내 수용체에 의해 주로 인식되는데요. 이 때 intracellular receptor의 대부분은 ..

[세포생물학] 7.3 : RTK(receptor tyrosine kinase) - Ras-MAPK pathway, PI3K-Akt pathway

이번 포스트부터는 enzyme-coupled receptor에 대해 알아볼게요. 위 그림은 enzyme-coupled receptor의 2가지 종류를 나타내 보여주고 있어요. 왼쪽에 나타나 있는 경우는 signal molecule이 receptor와 붙으면 receptor 자신이 효소 활성을 띄는 경우에 해당해요. 한편 오른쪽에 나타나 있는 것은 signal molecule이 와서 receptor와 붙으면 receptor에 별도의 효소가 와서 붙어 작용하는 경우에 해당해요. 다음으로 enzyme-coupled receptor 중에서도 대표적인 예인 receptor tyrosine kinase(RTK)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아볼게요. (RTK는 위 그림상에서 왼쪽에 해당한다 볼 수 있어요) 위 표에..

[세포생물학] 7.2 : GPCR(G-protein coupled receptor) 신호전달 - secondary messenger(이차신호전달자), GPCR의 둔감화

지난 포스트들에 이어 이번 포스트에서는 신호전달의 핵심요소 중 하나인 secondary messenger(이차신호전달자)에 대해 알아볼게요. secondary messenger는 수명이 짧은 세포 내의 신호전달분자에요. 일반적으로 secondary messenger는 크기가 작으며, 그러다 보니 세포질 사이를 잘 확산하며 전파될 수 있어요. (세포질은 점성이 크기에 큰 분자들은 저항을 받아서 빨리 가지 못해요) secondary messenger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cAMP, cGMP 등의 cyclic nucleotide(고리형 뉴클레오타이드)들, DAG, IP3 등의 막지질 유도체들, 혹은 Ca2+와 같은 ion, 그 밖에 nitric oxide(NO), carbon monoxide(CO)와..

[세포생물학] 7.2 : GPCR(G-protein coupled receptor) 신호전달 - phospholipid, ion channel 매개 신호전달

2023.04.15 - [전공자를 위한 생물학/세포생물학] - [세포생물학] 7.2 : GPCR(G protein coupled receptors) 신호전달 - cAMP 기반 신호전달 [세포생물학] 7.2 : GPCR(G protein coupled receptors) 신호전달 - cAMP 기반 신호전달 이제 앞서 배운 기본적인 세포 신호전달 기작을 바탕으로, 수용체 매개 신호전달의 거대한 축을 담당하는 GPCR 신호전달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볼게요. 위 그림에 GPCR signaling의 과정이 대략적으 unicellular.tistory.com 바로 이전 글에 이어서 이번에는 cAMP가 아닌 다른 방식을 통한 GPCR 신호전달 과정에 대해 알아볼게요. phospholipid(인지질) 매개 신호전달 우..

[세포생물학] 7.2 : GPCR(G-protein coupled receptors) 신호전달 - cAMP 기반 신호전달

이제 앞서 배운 기본적인 세포 신호전달 기작을 바탕으로, 수용체 매개 신호전달의 거대한 축을 담당하는 GPCR 신호전달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볼게요. 위 그림에 GPCR signaling의 과정이 대략적으로 나타나 있어요. 보면 신호가 오기 전에는 inactive GPCR, inactive G protein이 따로 존재하다가 신호 분자가 오면 신호분자의 결합에 의해 GPCR 수용체가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GPCR과 G protein이 만나서 G protein이 활성화되는데 이어서, 이후 연쇄적인 반응이 일어나요. G protein은 위 그림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3개의 subunit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이 때문에 trimeric, 즉 삼량체 구조라고 많이 언급되죠!) 우선 α subunit은 Ra..

[세포생물학] 7.1 : 세포 신호전달(cell signaling)의 원리 - 2

저번 포스트에 이어서 이번에는 세포 신호전달의 일반적인 원리들에 대해 조금 더 살펴볼게요. 우선 신호전달 과정에서 형성되는 각종 신호전달 복합체(signaling complex)에 대해 알아볼게요. 첫 번째로, 위 그림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scaffold protein(일종의 틀을 잡아주는 단백질)에 의해서 complex가 형성될 수 있어요. 실제로 이 경우 scaffold protein이 서로 연계적으로 관여하는 단백질들을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도록 결합시킨 후 최종적으로 세포막의 receptor에 직, 간접적으로 붙어 연계반응이 매우 빠르게 일어나게 해줘요. 두 번째로, 위 그림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receptor를 중심축으로 곧바로 complex가 형성될 수 있어요. 실제로 ligand가 ..

[세포생물학] 7.1 : 세포 신호전달(cell signaling)의 원리 - 1

이번 포스트부터는 세포 신호전달(cell signaling)에 대해 알아볼게요. signal transduction, 즉 신호 전달은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세포 내에서 전달, 발현시키는 과정이에요. 위 그림상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신호 전달에서의 구성 요소로는 ligand(signal molecule, 즉 신호를 초기에 전달하는 물질), receptor, intracellular signaling protein, effector protein 등이 있어요. cell signaling은 단계상으로는 위 그림에도 나타나 있는 것처럼 1) signal perception(신호 인식), 2) 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세포 내 신호 전달), 3) cellular respo..

[세포생물학] 6.2 : exocytosis(세포외유출), endocytosis(세포내유입)

이번 포스트에서는 exocytosis(세포외유출)와 endocytosis(세포내유입)에 대해 알아볼게요. exocytosis는 다시 위와 같이 2개 종류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constitutive secretory pathway와 regulated secretory pathway가 바로 그것이에요. 이 중 constitutive secretory pathway는 vesicle이 형성되면 바로 외부로 분비되는 경로이고, regulated secretory pathway는 vesicle이 형성된 후 특정 신호, 혹은 자극이 왔을 때 비로소 욉로 분비되는 pathway임. regulated secretory pathway에 의해 분비되는 대표적인 물질이 바로 neurotransmitter(신경전달물질)이죠..

[세포생물학] 6.1 : vesicular transport(소포수송) - Golgi to lysosome

지난 포스트에서는 ER로부터 출발한 단백질이 Golgi로 수송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봤어요. 지금부터 Golgi에서 출발한 단백질이 어떤 경로로 수송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볼게요. 이들이 경유할 수 있는 경로는 위 그림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3가지인데, 각각 signal-mediated diversion to lysosome(endosome을 거쳐 lysosome으로 이동하는 경로), signal-mediated diversion to secretory vesicle (특정 상황에서만 분비되는 단백질들이 경유하는 경로), constitutive secretory pathway(항상 지속적으로 분비되는 단백질들이 경유하는 경로)에요. 그 중에서도 우선 Golgi에서 lysosome(라이소좀)으로 단백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