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물학 맛보기/생물학 이모저모 16

[신약개발] 2편 : 전임상이란? - 전임상의 단계, 중요성, 과정

우리가 흔히 뉴스에서 접하는 '임상시험'이라는 단어는 낯설지 않지만, 그 임상에 들어가기 전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 바로 '전임상 연구(preclinical research)'에 대해선 잘 모르시는 경우가 많아요.   전임상 연구는 신약이나 치료법을 사람에게 적용하기 전, 동물이나 세포 수준에서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과정이에요.  사실 전임상은 단지 약을 실험하는 것만이 아니라, 질병의 원인을 이해하고, 치료 가능성을 좁혀 나가는 전체 연구 과정을 의미해요.수많은 가능성 중에서 가장 가능성 있는 약물 후보 하나를 찾아내기 위해, 실험실에서는 매일같이 기초 연구부터 동물 실험까지 끊임없는 과정이 이뤄지고 있죠.  전임상 연구의 중요성  임상시험은 비용도 많이 들고, 시간도 오래 걸리며, 무엇..

[텔로미어] 3 : telomere 연구의 역사 - 2

지난 포스트에 이어 이번 포스트에서는 세포 배양과 관련된 초기 연구와 Hayflick limi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먼저, 1881년 독일 생물학자 August Weissman은 시간이 지나면서 손상된 조직이 무한히 재생할 수 없기 때문에 죽음이 일어난다고 추측했어요. 그런데 1921년, 프랑스의 노벨상 수상자이자 외과의사인 Alexis Carrel은 배양된 모든 세포가 불멸일 수 있다고 주장했답니다. 다른 실험실에서 세포의 연속적인 복제가 유지되지 않았던 이유는 단지 최적의 배양법을 몰랐기 때문이라고 했죠. 이런 개념은 Leonard Hayflick과 Paul Moorhead가 등장해 모든 배양 세포가 불멸이라는 생각을 뒤집기 전까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어요. 뒤돌아보면, Carrel의 팀이 실험..

[텔로미어] 3 : telomere 연구의 역사 - 1

이번 포스트부터는 telomere 관련 연구의 대략적인 역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Thomas Hunt Morgan은 초기 세포유전학자 중 한명으로, 처음으로 유전학적 형질과 chromosome(염색체) 위의 유전물질 간의 연관성에 대해 제시한 인물 중 한명이에요.  특히 그는 1911년에 유전자가 chromosome 위에 마치 beads on a string, 즉 줄 위에 꿰어놓은 구슬처럼 존재할 것이라 생각했고, 특정 순서, 그리고 시작과 끝을 가진 채 나열되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기도 했어요.   Morgan의 제자 중 한명인 Hermann Muller는 Barbara McClintock이라는 또 다른 과학자의 발견으로부터 영감을 받아서, chromosome의 끝 부분이, X-r..

[텔로미어] 2 : T-loop, shelterin, telomerase 발현조절

지난 포스트에 이어 이번 포스트에서는 보다 더 자세하게 telomer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진핵생물, 그 중에서도 mammalian(포유류)이 가지는 telomere는 TTAGGG가 여러번 반복된 DNA 서열로 구성되어 있어요. 이 때 telomere 서열이 DNA 끝단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 이 서열이 그냥 아무런 보호 없이 존재하고 있다면 세포의 관점에서 이는 마치 DNA가 싹둑 잘린 것과 같이 인식되어버릴 수 있어요. 원래 세포는 위와 같이 이중가닥 DNA가 절단될 시, 이를 인식하고 수선하는 다양한 기작을 가지고 있어요. 이 기작은 DNA에 가해진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지만, telomere와 같이 DNA 끝단에 존재하는 서열들의 경우 이 기작들 때문에 인식되어 버릴 수..

[텔로미어] 1 : telomere와 telomerase의 기본 정의

이번 포스트부터는 노화에 관련된 과학 뉴스나 논문 등을 볼 때마다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telomere(텔로미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해요. 우선 이번 글에서는 telomere의 정의 및 기본적인 특성에 대해 간단히 알아볼게요. 텔로미어는 생체 내에 존재하는 유전정보인 DNA의 끝단을 보호하는 구조물로, 세포의 생존과 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해요. 위 그림은 DNA가 뭉쳐져서 생기는 chromosome(염색체)라는 구조를 나타내주고 있는데요. 이 구조 하에서 염색체의 양 끝단에 붉게 표시된 부분이 바로 telomere에요. 텔로미어는 마치 신발끈의 끝 부분처럼 작용하여 DNA를 보호해줘요.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DNA는 복제되는데, 이 과정에서 끝단이 손상될 수 있어요. 이는 DNA 복제가 시작되기 ..

[신약 개발] 1편 : 1상, 2상, 3상, 4상의 의미, 과정

이번 포스트에서는 신약 개발 하면 꼭 등장하는 1상, 2상, 3상, 4상과 같은 용어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어떤 질병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신약을 만들고자 할 때 가장 주의깊게 체크해야 하는 것이 두 가지 있는데요. 바로 효과성(effectiveness)과 무해성(harmless)이에요.  이 두 가지를 체크하기 위해서 만들어져 있는 일련의 체계적인 단계들이 1상, 2상, 3상, 4상이에요.    위 그림에 신약 개발의 전 과정이 나타나 있는데요. 이 중 phase 1, phase 2, phase 3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것이 1상, 2상, 3상, 4상이에요.  보시면 1상 이전에 전임상(preclinical)이라는 과정도 존재하는데요.  전임상 과정에서는 다양한 세포실험, 동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