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자를 위한 생물학/세포생물학

[세포생물학] 10.3 : extrinsic apoptosis pathway(외인성 사멸경로)

단세포가 되고파🫠 2023. 6. 22. 22:08
반응형

 

이번 포스트에서는 저번 포스트에 이어서 본격적으로 extrinsic pathway(외인성 경로)에 대해 알아볼게요.

 

 

 

 

extrinsic pathway에서는 외부로부터 전달되어 온 death ligand를 인식하는 death receptor가 매우 중요해요. 위 그림에 각종 death receptor의 종류가 나타나 있는데, 대표적으로 TNF receptor, Fas ligand receptor, TRAIL receptor 등이 있어요.

 

 

이 중 특별히 Fas receptor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볼게요.

 

 

 

 

Fas receptor는 위 그림과 같이 작동해요. 하나하나 살펴보면,

 


 

1) Fas ligand가 Fas receptor에 결합함. (참고로 그림상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Fas ligand 또한 다른 세포의 막에 위치한 membrane protein임) 

 

2) Fas receptor의 세포 내 death doamin에 initiator caspase(caspase-8)의 pro-domain과 붙을 수 있는 FADD(Fas-associated death domain)가 결합함. (pro-domain에 대한 설명은 이전 포스트 참조)

 

3) 결과적으로 DISC(death inducing signaling complex)가 형성됨. 이 때 Fas ligand 3개가 하나의 단위로 작용하므로 결국 Fas receptor 3개가 이를 인식해 위 그림 가운데와 같이 뭉쳐지게 됨. 

 

4) active한 caspase-8이 형성됨. 

 


 

DISC의 구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Fas receptor의 death domain에 adaptor protein의 FADD가 붙고, adaptor protein의 death effector domain과 caspase-8이 결합해 DISC를 구성하고 있어요.. 이후 이 DISC로부터 active한 caspase-8 dimer가 형성되는거죠.

 

 

 

 

다음 포스트에서는 intrinsic pathway(내인성 경로)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