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트에서는 Caspase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이어서 apoptosis의 각종 경로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우선 initiator caspase의 구조에 대해 살펴볼게요. 특별히 Caspase 8의 구조를 예로 들자면, 이 녀석은 pro-domain, large subunit, small subunit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이 때 세포가 살아야 할 때는 b의 맨 왼쪽 형태와 같은 monomer단량체)가 불활성화된 상태로 존재해요.
그런데 만약 cell death signal(apoptotic signal)이 온다면 pro-domain이 잘려나가고 large subunit과 small subunit만으로 이루어진 녀석들끼리 서로 dimer(이량체)를 이루게 되죠.
다음으로 executioner caspase(이전에 살펴봤던 effector caspase와 같은 말)의 구조에 대해 살펴볼게요. 보면 이 녀석의 경우 large subunit과 small subunit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그런데 initiator caspase가 일단 활성화되면 이 caspase에 의해서 executioner caspase의 subunit 사이가 절단되고, 앞서와 마찬가지로 dimer를 이루어 activation이 이루어지게 돼요.
다음으로 apoptosis가 일어나는 경로의 종류에 대해 살펴볼게요.
apoptosis는 크게 위 그림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extrinsic pathway(외인성 경로)와 intrinsic pathway(내인성 경로)에 의해 발생할 수 있어요.
extrinsic pathway의 경우 위 그림 오른쪽과 같은데요. 보면 CD95L, TRAIL, TNF-\alpha 등의 death ligand(세포에게 죽음을 고지하는 리간드)가 cell의 death receptor에 결합하면 결과적으로 caspase-8이 activation되고, 이어서 caspase-8이 procaspase-3를 activation시켜서 active caspase-3가 형성돼요. 그 결과 apoptosis가 유발되는거죠.
intrinsic pathway의 경우 위 그림 왼쪽과 같은데요. 보면 genetic damage(유전적 손상), oxidative stress(산화 스트레스), high cytosolic stress 등에 의해서 mitochondria에 있는 cytochrome c 등의 물질이 cytosol로 쏟아져 나온 뒤, cytochrome c가 Apaf-1과 만나서 apoptosome을 형성해요. (이 때 이 apoptosome에는 pro-caspase들이 포함되어 있어요) 이어서 caspase-9이 activation되고 이 녀석이 caspase-3를 활성화시켜서 apoptosis가 유발되는거죠.
참고로 extrinsic pathway에서 활성화된 caspase-3는 Bid를 활성화시켜서 mitochondria 내부에 있는 cytochrome c의 유출에 기여할 수 있어요. (즉, extrinsic pathway도 intrinsic pathway와 연결되어 있는거죠)
그렇다면 이런 방식들에 의해 활성화된 effector caspase들은 어떤 식으로 apoptosis를 유발할까요?
우선 위 그림에 나타난 것과 같이 effector caspase는 ROCK1 단백질을 분해해요. 이 때 분해의 결과 activation된 ROCK1이 세포막을 지지하고 있는 actin 다발을 끊어주게 되고, 결국 세포막이 제 형태를 이루지 못하게 되는거죠.
한편 effector caspase는 MST1 단백질을 분해하기도 해요. 이 때 분해되어 activation된 MST1이 핵 안으로 들어가서 lamin 단백질의 분해를 촉진하고 결국 핵막이 해체돼요.
그 밖에 effector caspase는 eIF들을 분해시키는데, 그 결과 translation이 일어나지 않게 돼요.
이에 더해 effector caspase는 iCAD도 분해시켜줘요. 이 때 iCAD는 inhibitor of caspase-activated DNase의 약자에요.
실제로 원래는 CAD가 iCAD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여서 CAD가 불활성화되어있는데, effector caspase가 iCAD를 분해시킬 시 CAD가 activation될 수 있어요. 결국 active CAD가 염색사의 nucleosome 사이사이를 다 잘라버리게 되고 DNA 절단화가 일어나는 결과가 초래되죠.
위 그림의 (A)에는 방금 설명한 CAD-iCAD system이 나타나 있으므로 참고해 주세요.
여담으로, 실제로 apoptosis 시 DNA fragmentation이 일어난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우선 (B)와 같이 apoptosis가 일어나고 있는 세포를 시간별로 채취해 전기영동할 시에도 시간이 지날수록 DNA가 fragmentation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그 밖에 (C)와 같이 DNA의 양 말단에 첨가되는 물질을 사용해 TUNEL assay로 불리는 실험을 수행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DNA fragmentation을 시각화할 수 있어요.
다음 포스트에서는 extrinsic pathway(외인성 경로)에 대해 보다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게요.
'전공자를 위한 생물학 > 세포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포생물학] 10.4 : intrinsic apoptosis pathway(내인성 사멸경로) (0) | 2023.06.23 |
---|---|
[세포생물학] 10.3 : extrinsic apoptosis pathway(외인성 사멸경로) (0) | 2023.06.22 |
[세포생물학] 10.1 : cell death(세포사멸)의 종류, apoptosis(세포자멸사) (0) | 2023.06.22 |
[세포생물학] 9.6 : mitogen(분열촉진물질), DNA damage response, cell growth (0) | 2023.06.22 |
[세포생물학] 9.5 : asymmetric division(비대칭분열), meiosis(감수분열) (0) | 2023.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