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미드는 세균 내에서 독립적으로 복제되는 원형 DNA 분자로, 원하는 유전자를 삽입하여 발현시키는 데 사용돼요.

하지만 모든 세균이 플라스미드를 성공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에요. 따라서 플라스미드에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를 포함시켜, 특정 항생제 환경에서 플라스미드를 가진 세균만이 생존하도록 선택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에요. 이렇게 하면 플라스미드를 보유한 세균만을 선별하여 실험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어요.
주요 항생제와 저항성 유전자
1. 암피실린(Ampicillin)
작용 기전: 암피실린은 β-락탐 계열 항생제로,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방해하여 세포를 사멸시켜요.
저항성 유전자: AmpR 유전자는 β-락타마제 효소를 생성하여 암피실린을 분해함으로써 저항성을 부여해요.
특징: 암피실린은 분열 중인 세포에만 작용하기 때문에, 형질전환 후 회복 시간(recovery time)을 30분 정도로 짧게 설정할 수 있어요. 이는 다른 항생제보다 실험 시간을 단축하는 데 도움이 돼요.
2. 카나마이신(Kanamycin)
작용 기전: 카나마이신은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여 세균의 성장을 저해해요.
저항성 유전자: KanR 유전자는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포스포트랜스퍼라제 효소를 생성하여 카나마이신을 비활성화시켜요.
특징: 카나마이신은 안정성이 높아 배지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아요. 따라서 장기간 배양이 필요한 실험에 적합해요.
3.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작용 기전: 클로람페니콜은 리보솜의 50S 소단위체에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을 저해해요.
저항성 유전자: CmR 유전자는 클로람페니콜 아세틸트랜스퍼라제(CAT) 효소를 생성하여 클로람페니콜을 비활성화시켜요.
특징: 클로람페니콜은 정지 상태의 세포에도 작용하므로, 세포 분열 여부와 관계없이 효과적이에요. 하지만 사람에게 독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해요.
4.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작용 기전: 테트라사이클린은 리보솜의 30S 소단위체에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을 방해해요.
저항성 유전자: TetR 유전자는 세포막 단백질을 생성하여 테트라사이클린의 세포 내 유입을 차단하거나 배출해요.
특징: 테트라사이클린은 광과 산소에 의해 분해되기 쉬우므로, 보관과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해요.
항생제 선택 시 고려사항

실험 목적
형질전환 후 빠른 선별이 필요한 경우 암피실린을, 장기간 배양이 필요한 경우 카나마이신을 선택하는 등 실험의 특성에 맞는 항생제를 선택해야 해요.
세포 독성
일부 항생제는 세포에 독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세포 생존율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해요.
환경 안정성
항생제의 안정성은 배지에서의 분해 속도와 관련이 있으므로, 실험 조건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해야 해요.
다중 플라스미드 사용 시 호환성
여러 개의 플라스미드를 동시에 사용해야 하는 경우, 각 플라스미드에 부여된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가 서로 다른 항생제에 대응하도록 설계해야 해요.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의 선택은 실험의 성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요. 각 항생제와 그에 대응하는 저항성 유전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실험 목적과 조건에 맞게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거예요.
'전공자를 위한 생물학 > 대학원생을 위한 필수 생물학 개념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백질 태그] 1편 : 단백질 태그(Tag)의 개념, 안정성/정제 태그 (0) | 2025.04.08 |
---|---|
스크리닝(screening)과 셀렉션(selection)의 특징, 차이, 주의사항 (0) | 2025.04.07 |
[형광단백질] 3편 : 형광단백질 개발의 역사 (1) | 2025.04.06 |
[형광단백질] 2편 : 형광 단백질 삽입, 과발현, 기능 확인, 최적화 (0) | 2025.04.06 |
[형광단백질] 1편 : GFP, 링커, 퓨전 위치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