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트부터는 산화적 인산화(oxidative phosphorylation)에 대해 알아보자. 앞서 위 그림상에서 stage 2까지의 반응들을 살펴봤었음. 그 결과 생성된 NADH, FADH2로부터 공급되는 e는 결국 oxidative phosphorylation을 통해 ATP를 만드는데 사용되게 됨. 다만 이 때 ATP가 만들어지는 과정이 high-energy phosphate carrier로부터 ADP에 직접 phosphate가 전달되는 것은 아니고, electron transport chain을 통해 전자가 이동하면서 생기는 proton의 electrochemical gradient를 이용해 ATP가 합성되게 됨. (이것이 chemiosmotic theory임) 방금 언급한 pro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