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3/28 15

[항체] 4편 : 항체의 응용 – Western Blot, 면역형광(IF), 유세포 분석(FACS)에서는 어떻게 쓰일까요?

연구 현장에서 항체는 다양한 실험 기법에 활용돼요. 그중에서도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면역형광(Immunofluorescence, IF), 그리고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 FACS)은 항체를 이용한 대표적인 응용 분야죠. 이번 글에서는 이 세 가지 기법에서 항체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쓰이는지, 그리고 각 기법마다 항체 사용에 어떤 특징이 있는지 살펴볼게요. 실험에 익숙하지 않은 초심자도 이해하기 쉽게 하나씩 설명해볼게요.   Western blot에서 항체 사용하기 웨스턴 블롯은 단백질 혼합물에서 특정 단백질을 검출하는 데 널리 쓰이는 실험기법이에요. 먼저 샘플에 들어있는 단백질들을 겔 전기영동으로 크기별로 분리하고, 그걸 막(memebrane)에 전사(블롯)한 다음, 표적..

[항체] 3편 : 단일클론 항체 vs 폴리클론 항체 –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1, 2편에서 항체의 기본과 1차/2차 항체에 대해 배웠어요. 이번에는 항체의 또 다른 분류인 단일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와 폴리클론 항체(polyclonal antibody)에 대해 깊이 알아볼게요.   이 둘은 항체를 만드는 방식과 특성에서 큰 차이가 있으며, 연구나 진단에 각각 장단점이 있어요. 언제 단일클론을 쓰고 언제 폴리클론을 써야 할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   단일클론 항체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단일클론 항체(단클론 항체)는 말 그대로 한 개의 B 세포 클론에서 유래한 항체예요​. 자연 상태에서는 항원을 넣으면 여러 B세포가 반응하여 다양한 항체가 나오지만, 단일클론 항체를 얻으려면 한 종류의 B세포만 분리하여 키워야 하죠​. 이를 가능하게 한 것이 바로..

[항체] 2편 : 1차 항체와 2차 항체는 무엇이며 언제 사용하나요?

앞서 1편에서 앞서 항체의 기본 구조와 기능을 살펴보았는데요. 실험실에서는 흔히 “1차 항체(primary antibody)”와 “2차 항체(secondary antibody)”라는 용어를 접하게 되죠. 처음 듣는 분들은 “항체에 1차, 2차가 있다니 무슨 뜻이지?” 궁금할 거예요. 이번 글에서는 1차/2차 항체의 개념과 그 차이, 그리고 각각을 언제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볼게요.   1차 항체란?    1차 항체(primary antibody)는 말 그대로 표적이 되는 항원에 직접 결합하는 항체를 뜻해요​. 예를 들어 세포 속 특정 단백질 A를 검출하려 할 때, 그 단백질 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가 1차 항체이죠. 연구자들은 보통 쥐(mouse), 토끼(rabbit), 염소(goat) 등의 동물을..

[항체] 1편 : 항체란 무엇일까요? 구조와 기능 알아보기

생물학에서 항체(antibody)란 우리 몸의 면역계가 만들어내는 특이적인 단백질로, 침입한 병원체나 이물질(항원)에 결합해 이를 무력화하거나 제거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요​      . 쉽게 말해, 항체는 병균을 찾아내 붙잡는 Y자 모양의 경비라고 할 수 있죠. 이번 글에서는 항체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기본 개념을 살펴보도록 해요.    항체의 기본 구조: Y자 형태의 단백질   항체 분자는 알파벳 Y 모양으로 생겼고, 두 개의 무거운 사슬(중쇄, Heavy chain)과 두 개의 가벼운 사슬(경쇄, Light chain)로 구성되어 있어요​. 중쇄와 경쇄는 각각 서로 한 쌍씩 동일한 구조를 이루고, 총 네 개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이 이황화 결합으로 연결되어 Y자를 형성하죠​.   Y자의 팔 부분 끝에..

[생화학] 16.3 : fatty acid oxidation의 조절

이번 포스트에서는 fatty acid oxidation의 조절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dietary carbohydrate를 많이 섭취했을 때를 생각해보자. 이 경우 glucose의 양이 많을 것이고 이 녀석이 glycolysis, pyruvate dehydrogenase complex에 의해서 acetyl-CoA로 많이 변환될 것임. 한편 이 acetyl-CoA는 ACC(acetyl-CoA carboxylase)에 의해서 carboxylation되면서 malonyl-CoA로 변할 수 있는데, Malonyl-CoA는 fatty acid synthesis에 있어 매우 중요한 regulatory molecule로 작용해 결과적으로 fatty acid 합성이 촉진되게 됨. 그리고 ACC 자체의 활성은 ho..

[생화학] 16.2 : 지방 및 지질의 catabolism - 5

이전 포스트에 이어서 살펴보자.   많은 plant와 일부 marine organism들은 odd-number의 fatty acid를 합성하기도 함. 이럴 경우 β oxidation이 일어나고 나면 결과적으로 acetyl CoA 대신 탄소 3개짜리 propionyl-CoA가 남게 됨.    이렇게 생산된 propionyl-CoA는 위와 같은 반응에 의해 succinyl-CoA로 바뀌어 citric acid cycle로 들어갈 수 있음. 하나하나 살펴보자.  우선 propionyl-CoA에 propionyl-CoA carboxylase가 작용해서 2번 탄소에 carboxyl group이 첨가되고 D-methylmalonyl-CoA가 만들어지게 됨. 이 과정에서 HCO3-, ATP, biotin이 사용되며 ..

[생화학] 16.2 : 지방 및 지질의 catabolism - 4

지난 포스트까지 펴봤던 반응은 saturated fatty acid에 대한 β-oxidation 반응이었음. 그렇다면 unsaturated fatty acid는 어떻게 β-oxidation될까.  일단 unsaturated fatty acid 내에는 cis double bond가 포함되어 있음. 따라서 이 녀석은 enoyl-CoA hydratase의 substrate가 될 수 없음. (앞서 enoyl-CoA hydratase는 trans double bond specific하게 H2O를 추가할 수 있다고 말했었음) 따라서 이런 unsaturated fatty acid의 산화를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isomerase, reductase가 더 필요함. 더 정확히 말하자면 monounsaturated fatty..

[생화학] 16.2 : 지방 및 지질의 catabolism - 3

이번 포스트부터는 이전 포스트에서 살펴본 반응 각각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자.  우선 첫 step에서는 alkane이 alkene으로 dehydrogenation되는 반응이 일어나게 됨. 이 때 작용하는 효소는 acyl-CoA dehydrogenase(AD)이며, 이 효소는 inner mitochondrial membrane에 위치하고 있음. 흥미롭게도 AD에는 다양한 isoform이 있는데, 12-18개 탄소 길이의 fatty acid를 substrate로 받는 very-long-chain AD, 4-14개 탄소 길이의 fatty acid를 substrate로 받는 medium-chain AD, 4-8개 탄소 길이의 fatty acid를 substrate로 받는 short-chain AD가 바로..

[신약개발] 5편 : FDA 승인, 어떻게 준비하고 통과할 수 있을까?

이전 글에서는 FDA 승인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알아봤어요.  2025.03.28 - [생물학 맛보기] - [신약개발] 4편: FDA 승인이란? 신약과 의료기기의 시장 진입을 위한 첫 관문 [신약개발] 4편: FDA 승인이란? 신약과 의료기기의 시장 진입을 위한 첫 관문우리가 병원에서 받는 약이나 치료용 기기들은 단순히 개발되었다고 바로 시장에 나오는 게 아니에요. 미국 시장을 기준으로 한다면, 이 모든 제품은 반드시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unicellular.tistory.com  FDA 승인 절차는 그 자체로도 복잡하지만, 사전 준비를 얼마나 철저히 하느냐에 따라 승인까지 걸리는 시간과 성공률이 크게 달라져요.   이번 글에서는 FDA 승인을 받기 위해 기업이 ..

[신약개발] 4편: FDA 승인이란? 신약과 의료기기의 시장 진입을 위한 첫 관문

우리가 병원에서 받는 약이나 치료용 기기들은 단순히 개발되었다고 바로 시장에 나오는 게 아니에요. 미국 시장을 기준으로 한다면, 이 모든 제품은 반드시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 미국 식품의약국)의 승인을 받아야 해요. FDA는 미국 내에서 유통되는 식품, 의약품, 백신, 의료기기 등이 안전하고 효과적인지를 평가하고 승인하는 가장 중요한 보건당국이에요.    신약을 개발하거나, 의료기기를 출시하려는 기업에게 FDA 승인은 말 그대로 시장 진입을 위한 절대적인 관문이에요.그만큼 승인 절차는 엄격하고 복잡하며, 시간과 자원이 많이 들어요. 하지만 이 과정을 잘 이해하고 준비한다면, 제품을 성공적으로 시장에 내놓고 소비자의 신뢰까지 얻을 수 있죠.  이번 글에서는 FDA 승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