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3/26 15

[신경과학] 17.2 : 감정의 뇌과학 - 최신 관점 - 1

이번 포스트에서는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emotion과 관련된 theory들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basic emotional theory에 대해 알아보자. 이 theory에 따르면 생물에게는 anger, disgust, fear, happiness, sadness, surprise 등의 기본적인 감정이 존재하며, 이들 각각의 감정상태에 따라서 뇌의 특정 부분이 다르게 activation된다는 것임. (실제로 fMRI를 이용해 이를 확인할 수 있음) 그런데 실제로는 brain의 single area가 아니라 여러 area들의 activity pattern에 의해서 emotion이 유발된다고 보는 것이 맞음.  한편 이 이론에서 한발 더 나아간 것이 바로 dimension emotion theory임...

[신경과학] 17.1 : 감정의 뇌과학 - 고전적 관점

이번 포스트부터는 감정, 혹은 정서와 관련된 뇌과학에 대해 알아보자.  정서와 관련된 neuroscience를 affective neuroscience라 부름. 이런 분야에서는 기본적으로 emotion에 대해서 탐구해야 하는데, 이 때 emotion 자체를 본다기보다는 내면의 emotion에 따라 나타나는 행동들을 관찰하는 경우가 많음. 따라서 흔히 동물행동실험을 하면서 그 동물의 emotion을 추정하게 되는 것임.   emotion의 brain mechanism을 밝혀내기 위해서 animal model을 사용하기도 하고, human study도 수행하며, 그 밖에 brain에 생긴 lesion의 위치와 증상 간의 상관관계를 통해 뇌의 어떤 부분이 어떤 emotion과 연관되어 있는지 등을 확인해볼 수..

포닥(포스트닥터, postdoc)이란 무엇일까?

박사과정을 마치고 나면, 많은 분들이 고민하게 되는 게 바로 포닥(Postdoctoral researcher)이에요. 보통은 박사후연구원이나 연구조교수, 연구원 같은 이름으로 불리죠. 포닥은 학문적 경력을 이어가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자, 본격적인 연구자로서의 길을 준비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포닥이 무엇인지, 그리고 누구에게 필요한 과정인지 함께 알아보도록 할게요.   1. 포닥(Postdoc)이란 무엇인가?  포닥은 박사학위 취득 이후 일정 기간 동안 진행되는 연구직이에요. 주로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 근무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외부 연구 재단(예: 한국연구재단, UKRI Research Councils 등)이나 학교 자체 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급여를 받으며 일하게 돼요. 포닥은 ..

논문을 제대로 읽는 법 - 연구자가 되기 위한 첫걸음

대학원에 가면 제일 먼저 배우게 되는 것이 있어요.     바로 논문 읽는 법이에요. 사실 대학원 입학 전에 미리 익혀두면 더 좋고요. 그런데 생각보다 쉽지 않다는 걸 금방 알게 돼요. 저도 첫 논문을 읽었을 때를 아직도 기억해요. 단어 하나하나, 문장 하나하나를 놓치지 않으려고 읽었는데, 용어도 낯설고 수식도 복잡해서 금세 압도되었죠.논문을 많이 읽다 보면 조금씩 익숙해지지만, 무작정 많이 읽는 게 능사는 아니에요. 논문을 효율적으로 읽는 데는 분명한 요령이 있어요. 지금부터 그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1. 초록(Abstract)부터 읽자!     논문 초록에는 보통 세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이 담겨 있어요. 어떤 문제를 다루고 있는지,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려고 하는지,제안한 방법의 성능은 어떤지.초..

[생화학] 14.4 : glycogen 대사 조절 - 2

지난 포스트에 이어서 glycogen 대사 조절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앞서 포스트들을 통해 지금까지 배운 것을 총정리한 그림이 위와 같음.  우선 well-fed state(주황색)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잘 먹게 되면 혈중 glucose의 양이 증가할 것이고 우선 이 것이 GLUT2를 통해 세포 내로 들어와서 glycolysis는 촉진시키고 glycogen synthesis는 억제시키게 됨. 한편 혈당량이 높아지면 insulin 분비도 촉진되는데, insulin 양이 많아질 시 우선 insulin-sensitive protein kinase가 활성화되고, 그 결과 PP1이 인산화되어 activation됨. 그럴 시 PP1에 의해 phoshporylase kinase의 dephos..

[생화학] 14.4 : glycogen 대사 조절 - 1

이번 포스트부터는 glycogen의 합성, 분해에 대한 regulation 과정에 대해 살펴보자.    위 그림에는 glycogen으로부터 glucose를 때줄 때 관여하는 glycogen phosphorylase의 regulation과 관련된 모식도가 표현되어 있음. 이 때 active한 form은 내부의 Ser residue에 phosphate 2개가 붙어있는 형태이며, 이 때의 형태를 phosphorylase a라고 부름. 한편 inactive한 form은 Ser residue에 있던 phosphate 2개가 떨어진 형태이며, 이 때의 형태를 phosphorylase b라고 부름. phosphorylase b에 인산기를 붙여서 phosphorylase a로 만들어주는 효소가 phosphorylase..

[생화학] 14.3 : glycogen 대사 - 2

이번 포스트부터는 glucose로부터 glycogen이 합성되는 반응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자.  glycogen synthesis는 liver와 skeletal muscle에서 주로 일어남. 이 경우 우선 G6P가 G1P로 바뀌고, 이후에 G1P가 UTP와 반응해 UDP-glucose가 만들어지게 됨. 이 과정에서 ppi가 생기게 되는데, 이 녀석은 2개의 phosphate로 다시금 분해되어서 UDP-glucose의 생성 반응을 정방향으로 잘 일어나게끔 도와주게 됨.  우선 G6P가 G1P로 바뀌는 과정을 생각해보면, 이는 앞서 phosphoglucomutase에 의해 일어났던 반응의 정확히 역반응에 해당하며, 동일한 효소, 동일한 mechanism에 의해 일어나게 됨.    다음으로, glucose ..

[생화학] 14.3 : glycogen 대사 - 1

지금까지는 glucose가 만들어지고 분해되는 반응들에 대해서 살펴봤었음. 지금부터는 glycogen이 만들어지고 분해되는 반응들에 대해 살펴보자.  glycogen은 liver 전체 질량의 10%를 차지하고 있으며(이는 12-24시간만에 다 deplete될 수 있음) muscle 전체 질량의 2%를 차지하고 있음(이는 vigorous activity 시 1시간 이내에 다 exhaust될 수 있음). 이 녀석은 glucose가 \alpha(1→4) linkage에 의해 일렬로 연결되고, 중간중간에 \alpha(1→6) linkage에 의해 branching되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음. (보통 branching은 12-14개의 glucose unit마다 한 번씩 일어남)      위 그림에는 hepatocy..

[생화학] 14.2 : glucose 대사 조절 - 4

지난 포스트까지는 allosteric regulation, regulator protein, phoshporylation 등에 의한 acute regulation 기작에 대해 주로 살펴봤었음. 지금부터는 enzyme의 양 자체를 조절해 전체 반응을 조절하는 기작에 대해 살펴보자.    위 표에는 insulin에 의해 조절되는 각종 enzyme들이 나타나 있음. 실제로 insulin에 의해 150여개 gene이 regulation된다고 함.  보면 glycolysis, PPP, fatty acid synthesis 등에 관여하는 enzyme들은 insulin에 의해 activation되고, 그 결과 glucose의 양이 줄어들게 됨. 동시에 gluconeogenesis에 관여하는 PEP carboxykin..

[생화학] 14.2 : glucose 대사 조절 - 3

지난 포스트에 이어서 알아보자.  이전 포스트에서는 Fructose-2,6-bisphosphate(F2,6BP)에 대해 잠시 언급되었음. 이 녀석은 도대체 어떤 녀석일까.    위 그림의 왼쪽에 나타나 있는 것이 F2,6BP의 구조임. 오른쪽의 F1,6BP 구조와 비교해보면, 한 인산기의 위치가 1번탄소가 아닌 2번탄소임을 알 수 있음. F2,6BP는 어떤 대사과정의 중간체로 작용하지 않으며, 오로지 regulation하는 역할만을 수행함.    위 graph를 보면 알 수 있는 것처럼, 실제로 F2,6BP는 PFK-1에 대해서는 activator로 작용하고, FBPase-1에 대해서는 inhibitor로 작용함. 결과적으로 F2,6BP가 많을 시 glycolysis가 촉진됨.     한편 F2,6BP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