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3/31 15

[신경과학] 19.1 : 언어의 뇌과학 - 1

이번 포스트부터는 언어와 관련된 뇌과학적 내용들에 대해 알아보자.  language는 '언어'라는 뜻을 가지고 있음. language를 조금 더 엄밀히 정의하자면 communication을 위해 사용되는 sound, symbol, gesture 모두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음. (이 정의에 따르면 body language, 이모티콘도 language가 될 수 있음) 이 때 핵심은 communication, 즉 의사소통인데, 의사소통이 가능해야 비로소 language라 할 수 있는 것임.   위 그림에는 language가 내재적으로 포함하는 의미교환에 대한 모식도가 나타나 있으므로 참고할 것.    위 그림은 spectogram(스펙토그램)인데, 보면 sound에 대한 정보가 묘사되어 있음.    한편, 흥..

[신경과학] 18.3 : 일주기리듬(circadian rhythms) - 2

생물체의 period와 관련된, 시간생물학을 통틀어 chronobiology라고 함.     위 그림상에 나타나 있는 두 분의 과학자들은 chronobiology의 선구자들임.    한편 위 그림상에 나타나 있는 Seymour Benzer와 그의 포닥 제자 Ronald J. Konopka는 초파리에서 Period mutant를 관찰해본 결과 clock이 망가져 행동에 이상이 생긴다는 것을 확인함.    위 그림상에 나타나 있는 Jeffrey C. Hall, Michael Rosbash, Michael W. Young은 circadian rhythm을 control하는 분자적인 기전에 대해 밝힌 공로로 2017년에 노벨상을 받음.     위 그림에는 당시 제시되었던 2가지 model들이 나타나 있음. 우선..

[신경과학] 18.3 : 일주기리듬(circadian rhythms) - 1

이번 포스트부터는 일주기리듬(circadian rhythm)에 대해 알아보자.  circadian rhythm은 하루를 주기로 해서 돌아가는 biorhythm임. 이는 지구상 동식물 전반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rhythm임. 그런데 사람들 중 Jet-lag, night-shift worker 등의 경우 이 rhythm이 교란되어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함. 참고로 circadian rhythm에 영향을 주는 light, food와 같은 environmental time cue들을 Zeitgeber(time-giver)라 통칭해서 부름.    실제로 circadian rhythm을 가지는 pattern은 다양함. 보면 alertness의 경우 당연히 awake 상태에서 높다가 잘 때가 되면 낮아지게 되고, t..

[MSG] 3편 : MSG, 안전하게 맛있게 – 활용법과 팩트 체크

앞선 편에서 MSG의 정체와 오해에 대해 알아보았죠. 그렇다면 이제 실제로 MSG를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그리고 여전히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질문들에 대한 진실을 짚어볼 시간이에요. MSG, 얼마나 넣는 게 적당할까요?  MSG는 정말 강력한 감칠맛을 지닌 조미료예요. 하지만 많이 넣는다고 더 맛있어지는 건 아니고, 오히려 과하면 쓴맛이나 텁텁한 맛이 날 수도 있어요.  그래서 MSG는 소금처럼 소량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요리 1인분 기준 0.5g에서 1g 정도면 충분한 감칠맛을 낼 수 있어요. 눈으로 보기에는 한 꼬집 정도, 혹은 1/4 작은술 정도죠. 너무 많이 넣으면 감칠맛이 오히려 둔해지거나 재료 고유의 맛을 덮을 수 있어요.   한 가지 팁을 드리자면, MSG는 소금과 함..

[MSG] 2편 : “중국 음식 증후군” – MSG, 억울하게 누명을 쓰다?

오늘날 MSG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막연한 불안감을 갖고 있는 이유는 과학적 사실보다 오해와 편견이 먼저 퍼졌기 때문이에요.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1968년에 처음 언급된 “중국 음식점 증후군(Chinese Restaurant Syndrome)”이에요.  당시 미국의 한 의사가 유명한 의학 학술지에 편지를 보냈어요. 그는 “중국 음식점에서 식사한 후 목이 뻣뻣해지고, 두통과 심계항진(가슴 두근거림)을 느꼈다”고 설명했죠. 그리고 그 원인으로 간장, 술, MSG 중 하나일 수 있다고 추측했어요. 중요한 건, ‘확정’이 아닌 ‘추측’이었다는 거예요.  하지만 이 단순한 편지는 이후 언론과 대중에게 크게 주목받았고, 마치 MSG가 반드시 이런 증상을 일으킨다는 것처럼 퍼지게 됐어요. 특히 MSG는 당시 중..

[MSG] 1편 : MSG와 감칠맛 – 그 비밀은 글루탐산

우리는 음식에서 단맛, 짠맛, 신맛, 쓴맛의 네 가지 기본 맛을 오래도록 알고 있었어요.   그런데 여기에 '다섯 번째 맛', 바로 감칠맛(Umami)이라는 맛이 더해졌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감칠맛은 쉽게 말하면 고기 국물 같은 깊고 진한 맛이에요. 우리가 국이나 찌개를 먹을 때 느끼는 구수하고 풍부한 맛, 혹은 치즈나 토마토소스에서 나는 은은한 감칠맛이 바로 그것이죠.     이 감칠맛을 과학적으로 처음 밝혀낸 사람은 1908년 일본의 화학자 이케다 기쿠나에(Kikunae Ikeda) 박사였어요. 그는 다시마 국물의 맛을 분석하다가 글루탐산(Glutamic acid)이라는 아미노산이 주된 감칠맛 성분이라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그 후, 이 글루탐산에 나트륨(Na+)을 결합시켜 보다 안정적이고 사용하..

[내장지방] 2편 : 내장지방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다행히도 내장지방은 피하지방보다 빨리 빠질 수 있는 지방이에요. 즉, 올바른 생활 습관을 실천하면 효과를 비교적 빠르게 확인할 수 있죠. 그럼,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내장지방 줄이기 실전 방법   운동은 필수!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함께 하면 효과가 좋아요. 특히 고강도 인터벌 운동(HIIT)이 내장지방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가 많아요.  일주일에 최소 150분 이상, 매일 30분 정도 꾸준히 움직이는 게 좋아요.   식단 조절은 기본 가공식품, 트랜스지방, 정제 탄수화물(설탕, 흰빵 등)은 줄이고, 채소, 통곡물, 견과류, 건강한 지방(올리브유, 생선 등) 중심의 식사를 해보세요. 저탄고지 식단(예: 케토제닉)이나 지중해식 식단도 내장지방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어요.   간헐적 ..

[내장지방] 1편 : 내장지방, 도대체 왜 위험한 걸까?

우리가 흔히 “뱃살”이라고 부르는 지방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어요.    하나는 피부 바로 아래에 있는 피하지방(subcutaneous fat)이고, 또 하나는 우리 몸 속 장기 사이 깊숙이 숨어 있는 내장지방(visceral fat)이에요. 피하지방은 손으로 잡히는 살처럼 겉에서 보이고 만져지지만, 내장지방은 복부 근육 안쪽, 위, 간, 장, 췌장 같은 장기 사이에 끼어 있어서 겉으로는 잘 보이지 않아요.  그래서 더 조용히, 더 위험하게 우리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지방이죠.   내장지방은 왜 생기나요?   사실 내장지방은 완전히 나쁜 것만은 아니에요. 우리 몸의 장기를 보호해주고, 충격을 흡수하거나 면역 작용에도 일부 관여하니까요. 하지만 양이 많아지면 문제가 되기 시작해요.   내장지방의 증가는 ..

[생화학] 18.4 : 미토콘드리아의 다양한 기능

이번 포스트에서는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의 여타 다른 기능들에 대해 알아보자.    위 그림에 나타나 있는 것은 apoptosis의 기작임. 그런데 apoptosis가 일어나는데 있어 intermembrane space에 존재하고 있는 cytochrome c의 cytosol로의 release가 상당히 중요하게 작용함. 일단 이 release가 일어나고 나면 Apaf-1과 cytochrome c가 결합하게 되고 그 결과 apoptosome이 형성됨. 이어서 apoptosome에 의해 procaspase-9이 dimerize되어서 activation되고 이후 procaspase-3, procaspase-7 등이 caspase-9에 의해 truncation되면서 activation되어서 본격적인..

[생화학] 18.3 : 산화적 인산화를 통한 ATP 합성 - 4

이전 포스트에 이어서 살펴보자.  glucose의 oxidation에 의해 생산되는 net ATP의 양은 종에 따라, 상황에 따라 vary할 수 있음. 일단 prokaryotic system의 경우 별도의 추가적인 organelle이 없으므로 생성된 NADH, FADH2 등은 곧바로 electron transport chain에 투입될 수 있음. 한편 eukaryotic system의 경우 organellar segregation이 있기에 cytosol에서 생성된 NADH는 별도의 수송 기작을 통해 mitochodria 내부로 수송되어야 함. 이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2개의 shuttle이 있는데, malate-aspartate shuttle과 glycerol-3-phosphate shuttle이 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