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3/26 15

[생화학] 14.2 : glucose 대사 조절 - 2

지난 포스트에 이어서 당 대사의 조절과정에 대해 살펴보자.    한편 위 그림에는 myocyte에서 일어나는 glycogen synthesis 반응이 나타나 있음. 결국 이 반응은 insulin에 의해 촉진되는데, 이 때 촉진되는 step들이 다양함. 보면 GLUT4를 통해 세포 내로 들어오는 glucose의 양이 insulin에 의해 촉진되고(구체적으로는 GLUT4를 세포막에 더 많이 분포되게 하고), glucose가 hexokinase에 의해 G6P로 바뀌는 반응도 insulin에 의해 촉진되고(구체적으로는 hexokinase의 expression 양을 늘리고), 마지막으로 UDP-glucose가 glycogen이 되는 반응에 관여하는 glycogen synthase라는 효소가 insulin에 의해 ..

[생화학] 14.2 : glucose 대사 조절 - 1

이번 포스트부터는 당 대사의 조절 과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자.   이전에 살펴봤던 것처럼 ATP, AMP는 매우 중요한 cellular regulator로 작용함.    이 때 특히나, ATP는 매우 abundant한 반면 AMP는 매우 적게 존재함. 따라서 위 표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ATP의 양이 10%만 줄어들어도 AMP는 600% 늘어나게 됨. 따라서 이처럼 매우 dramatic하게 변화하는 AMP는 regulation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  그렇다면 AMP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pathway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AMP가 결합하는 대표적인 단백질은 AMP-activated protein kinase(AMPK)임. 이 단백질에 AMP가 allosteric하게 결합할 시 ..

[생화학] 14.1 : 대사 조절 개론

이번 포스트부터는 앞서 배운 당 대사들이 어떤 식으로 우리 몸에서 조절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metabolic pathway들은 각각의 의의와 역할이 있는데, 어떤 반응은 energy를 extract하는 목적을, 다른 반응은 fuel을 저장하는 목적을, 그 밖에 building block을 합성하는 목적을, 그 밖에 waste material을 제거하는 목적을 바탕으로 작동하는 반응들도 있음.    metabolic pathway는 위 그림에도 나타나 있는 것처럼 서로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 (즉, 각각의 pathway가 나머지와 independent하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  metabolic pathway의 regulation에 있어서는 feedback ..

[생화학] 13.5 : pentose phosphate pathway(PPP) - 2

이전 포스트에 이어서 pentose phosphate pathway(PPP)에 대해 살펴보자.    흥미롭게도, PPP의 결과 생긴 NADPH는 위 그림에서와 같이 PPP의 첫 번째 반응을 block하는 역할을 해 negative feedback을 형성할 수 있음. 그 결과 glycolysis가 더 많이 일어나게 됨. (참고로 실제로는 NADP+가 PPP 첫 반응의 allosteric activator로 작용하므로, NADPH가 생성될 시 이 activation 효과가 덜해져서 PPP의 첫 반응이 잘 안일어나게 되는 것임)     위 그림에는 생성된 NADPH가 어떻게 oxidative stress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해줄 수 있는지에 대해 묘사되어 있음. 보면 mitochondrial respirati..

[생화학] 13.5 : pentose phosphate pathway(PPP) - 1

이번 포스트부터는 pentose phosphate pathway(PPP)에 대해 알아보자.     위 그림에는 PPP가 나타나 있음. PPP의 시작물질은 G6P이며, 이 녀석이 6-phosphogluconate가 되면서 NADPH가 생성되고, 여기서 CO2가 빠지며 ribulose 5-phosphate가 되는 과정에서 NADPH가 한 분자 더 생성되고, 이 녀석이 다시금 ribose 5-phosphate가 되게 될 시 이렇게 만들어진 ribose 5-phosphate는 nucleotide, coenzyme, DNA, RNA 등의 합성원료로 쓰이게 됨. 이런 과정을 PPP의 oxidative phase라 함. 한편 ribulose 5-phosphate는 다시금 transketolase, transaldol..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