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포스트에서는 지금까지 알아봤던 glucose 이외에, 다른 monosaccharide, oligosaccharide, polysaccharide들이 glycolysis로 유입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위 그림에는 intracellular glycogen이 분해되는 반응이 나타나 있음. 보면 glycogen의 nonreducing end 쪽 glucose가 inorganic phosphate를 공격하게 되고 그 결과 위 그림 아래와 같이 한 단위가 짧아진 glycogen과 함께 glucose 1-phosphate가 생성됨. 한편 이후 G1P는 mutase에 의해 G6P로 바뀌게 되고, 이렇게 해서 생성된 G6P는 glycolysis로 들어가게 됨. 참고로 이 과정을 생각해보면 일반적으로 glucose 한분자가 glycolysis를 통해 분해될 때에 비해 한 분자의 ATP가 더 생기는 꼴임. (ATP 한 분자의 분해 대신 inorganic phosphate에 의해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 즉, glycogen으로부터 떨어져나온 glucose에 의해 생성되는 알짜 ATP는 3개임.

한편 위 그림에는 galactose가 glycolysis로 들어가기 위해 일어나는 변환과정이 나타나 있음. 보면 galactose가 ATP의 분해에 의해 galactose 1-phosphate가 되고, 이후 UDP-glucose가 glucose 1-phosphate로 바뀌면서 UDP가 galactose로 옮겨가 UDP-galactose가 됨. 이 때 나온 glucose 1-phosphate는 G6P가 되고 이어서 glycolysis로 들어감. 한편 UDP-galactose는 epimerase에 의해서 변환되고, 이후 한번더 변환되며 결과적으로 UDP glucose가 됨. 이렇게 만들어진 UDP-glucose는 다시 앞서의 반응에 쓰이게 됨.

위 그림에는 그 밖에 sucrose, lactose, trehalose 등의 물질들이 glycolysis로 들어가는 경로가 나타나 있음. (이 때 center에 위치해 있는 것이 glycolysis) 우선 sucrose에 대해 살펴보면 이 경우 우선 sucrase에 의해 glucose와 fructose로 분해된 다음 glucose는 곧바로 glycolysis로 들어가는 반면 fructose는 hexokinase에 의해 인산기가 달려 F6P로 들어가거나, 혹은 fructokinase에 의해 F1P가 된 후 F1P aldolase에 의해 glyceraldehyde와 dihydroxyacetone phosphate로 분해될 수도 있음. 이 때 분해되어 생성된 DHAP는 바로 glycolysis로 들어가고, glyceraldehyde의 경우 triose kinase에 의해 인산기가 하나 더 첨가된 상태로 G3P가 되어 glycolysis로 들어가게 됨.
그 밖에, glycogen 중 dietary glycogen은 침, 소화기관 내에 존재하는 \alpha-amylase에 의해 glucose로 분해된 후 세포로 흡수되어서 결과적으로 세포 내로 들어온 glucose가 glycolysis를 통해 분해되게 됨.
다음 포스트부터는 발효(fermentation)에 대해 알아보자.
[생화학] 13.2 : 해당과정(glycolysis) - 3
'전공자를 위한 생물학 > 생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화학] 13.3 : 발효(fermentation) - 2 (0) | 2025.03.25 |
---|---|
[생화학] 13.3 : 발효(fermentation) - 1 (0) | 2025.03.25 |
[생화학] 13.2 : 해당과정(glycolysis) - 4 (0) | 2025.03.25 |
[생화학] 13.2 : 해당과정(glycolysis) - 3 (0) | 2025.03.25 |
[생화학] 13.2 : 해당과정(glycolysis) - 2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