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는 현대 의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약이에요.
하지만 이 약이 잘못 사용되면 ‘항생제 내성’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불러올 수 있어요. 항생제 내성은 말 그대로 세균이 더 이상 항생제에 죽지 않게 되는 현상을 말해요. 즉, 같은 약을 써도 예전만큼 효과가 없거나 아예 듣지 않게 되는 거죠.
항생제 내성이 생기는 이유
그럼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요? 가장 큰 이유는 항생제를 필요 이상으로 자주, 또는 잘못 사용하는 것 때문이에요. 예를 들어, 감기나 독감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에 항생제를 복용하거나, 의사 지시 없이 예전에 남은 항생제를 임의로 복용하는 행동이 여기에 해당돼요. 이런 습관이 반복되면 세균이 점점 항생제에 적응하게 되고, 결국 그 약이 들어와도 살아남는 돌연변이 세균이 생기게 되는 거예요.
또한 항생제를 복용하다가 중간에 멈추는 것도 위험해요. 처음 며칠은 증상이 좋아지는 것 같지만, 몸 속에 남은 일부 세균은 약물에 노출되다가 내성을 가지게 돼요. 이렇게 살아남은 세균이 증식하면서 내성균이 자리를 잡고, 이후엔 같은 항생제를 써도 효과가 떨어지게 되죠.
이렇게 생긴 내성균은 치료가 훨씬 더 어렵고, 더 독한 항생제를 써야 하거나, 경우에 따라선 치료 자체가 안 될 수도 있어요. 대표적인 예로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가 있어요. 이 균은 병원에서 흔히 전염되는 내성균으로, 상처나 폐렴,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어요. 치료를 위해 강력한 항생제가 필요하고, 입원이 길어지거나 생명에 위협이 되는 경우도 있어요.
또한 다제내성 결핵(MDR-TB)도 문제가 되고 있어요. 기존의 1차 항결핵제에 반응하지 않는 결핵균이 생겨서, 치료 기간이 훨씬 길어지고 약도 독해져요. 이렇게 되면 의료비 부담도 커지고, 사회 전체적으로 공중보건 위기가 발생할 수 있어요.
심지어 항생제 내성 문제는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과 환경에서도 일어나고 있어요. 가축에게 성장 촉진을 위해 항생제를 사료에 섞어주는 일이 오랫동안 이루어졌는데요, 이로 인해 내성균이 농장과 축산물, 심지어 토양과 물에서도 검출되고 있어요. 결국 우리 식탁을 통해 사람에게까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항생제 사용은 정말 조심해야 해요.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그렇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일은 뭘까요? 바로 항생제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습관을 들이는 거예요. 아래 내용을 꼭 기억해 주세요.
의사의 처방 없이는 절대 항생제를 복용하지 않기
항생제는 세균 감염일 때만 필요해요. 감기처럼 바이러스성 질환에는 듣지 않기 때문에, 증상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항생제를 요구하면 안 돼요.
처방된 약은 끝까지 복용하기
증상이 좋아졌다고 중간에 끊으면, 살아남은 세균이 내성을 얻을 수 있어요. 약을 끝까지 복용해야 세균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어요.
남은 약은 다시 쓰지 않기
이전에 처방받고 남은 항생제를 나중에 다시 먹거나, 다른 사람에게 나눠주는 건 위험해요. 증상은 같아 보여도 감염 원인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에요.
항생제 복용 중 이상 증상 있으면 즉시 의사에게 알리기
부작용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의심될 경우, 멈추거나 교체가 필요할 수 있어요. 자기 판단으로 복용을 지속하거나 중단하는 건 위험해요.
예방 목적의 항생제 사용은 신중하게
수술 전후나 특정 위험 상황에서 예방적으로 항생제를 쓰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도 전문의 판단에 따라 제한적으로 사용돼야 해요.
우리는 항생제가 없던 시절의 위험한 질병들을 다시 겪고 싶지 않아요. 항생제가 잘 듣던 시대를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 지금 우리가 항생제를 어떻게 사용하느냐가 정말 중요해요. 올바른 복용 습관은 나 자신뿐 아니라 가족, 그리고 미래 세대의 건강까지 지키는 일이에요.
'생물학 맛보기 > 신약의 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열] 2편 : 열이 잘 내려가지 않을 때 - 증상별 대처법 및 병원, 응급실 (0) | 2025.04.04 |
---|---|
[해열] 1편 : 열이 날 때 무조건 해열제? 집에서 해볼 수 있는 대처법 (0) | 2025.04.04 |
[항생제] 2편 : 항생제에도 부작용이 있나요? – 알레르기부터 장내균 교란까지 (0) | 2025.04.04 |
[항생제] 1편 : 항생제란 무엇인가요? – 종류와 작용 방식 (0) | 2025.04.04 |
[위고비] 2편 : 위고비의 효과와 부작용, 복용 기간, 구매, 가격, 주의사항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