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트에 이어 Broca's Aphasia에 대해 생각해보자.
위 그림에서 붉은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이 Broca's area이며, 이곳이 손상될 시 Broca's Aphasia가 발생할 수 있음. Broca's Aphasia가 발생할 시 speech가 유창하지 않으며, 문법적으로도 맞지 않게 됨. 조금 더 자세히 말하자면 이들은 말하는 것을 힘들어하지만 language를 듣고 읽는데는 문제가 없음. 그리고 이들에게 paraphasic error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즉 발음이 잘 꼬이게 됨. 그 밖에 다른 사람이 한 말에 대한 repetition에 어려움을 겪으며 anomia도 관찰됨. (Anomia란 특정 대상에 해당하는 단어를 제대로 말하지 못하고 이것, 저것과 같은 식으로 얘기하는 증상을 의미함)
다만 이 때 주의해야 할 점은 Broca's area가 망가진다고 해서 무조건 Aphasia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임. (그리고 Broca's area가 망가지지 않아도 Broca's Aphasia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음)
다음으로 Wernicke's Aphasia에 대해 알아보자.
Wernicke's Aphasia인 환자의 경우 매우 유창한 speech를 하지만 comprehension이 매우 poor하고, 위 그림과 같이 의미없는 문장들을 유창하게 말하는 증상을 보임. (즉, 의미없는 단어들이 버무러진 word salad가 관찰됨)
한편 language brain과 관련해 1960년대에 위와 같은 Wernicke-Geschwind model이 제안되기도 했음. 그러나 이 model이 정답이라 보기는 어려움.
최근에는 위 그림과 같은 parallel language pathway가 많이 밝혀지기도 함. 보면 특정 영역들 뿐만 아니라 각 영역들을 이어주는 white matter도 매우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음. 이 중 sound to motor mapping projection은 소리를 바탕으로 행동이 일어날 수 있게 해주는 데 중요하며 complex syntactic structure는 복잡한 구문을 이해하는데 중요하고 local structure building은 짧은 단어들을 모아주는 기능을 하고, semantic network는 의미를 전달하는데 중요함.
한편, Broca's Aphasia, Wernicke's Aphasia 외에 conduction Aphasia도 있음.
이 경우 위 그림에도 나타나 있는 것처럼 arcuate fasciculus가 손상을 입어 끊어질 시 발생하는 Aphasia임. arcuate fasciculus는 temporal lobe와 frontral lobe를 이어주는 white matter이며, 이 부분이 고장날 시 들은 것을 repetition하는 데 문제가 생기게 됨. 따라서 conduction Aphasia 환자의 경우 comprehension도 잘 하고 유창하게 말하지만, word를 repeating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음.
다음으로 bilingual에 대해 생각해보자. 흥미롭게도, bilingual인 사람조차도 모국어를 말할 때와 second language를 말할 때에 활성화되는 부위가 다른 경우도 있음. (물론 두 언어 다 너무나 유창하게 구사하는 경우에는 같은 부분이 활성화되기도 함) 다만 bilingual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기는 매우 어려운데, 그도 그럴 것이 사람들마다 자라온 환경이 각기 다를 것이므로 control을 하기가 매우 힘들 것이기 때문임.
한편 위 그림에도 나타나 있는 것처럼 sign language(수화)를 구사하는 사람에 대해서도 Aphasia가 발생할 수 있음. 이 Aphasia는 speech aphasia와 상당히 유사한 부분이 많으며,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위 그림에 있는 것처럼 handshape error가 관찰되거나, 혹은 hand location error가 발생함.
그 밖에 2015년에 Newman 등의 연구진이 연구한 바에 따르면 손짓, 모양, 위치 등을 고려하며 수화를 할 때 left-lateralized frontal-temporal network이 활성화되는데, 이 영역은 말할 때 활성화되는 부분과 같은 부분이라는 사실도 매우 흥미로움. 즉, speech와는 속성적으로 다를 것 같은 수화도 결국 뇌의 같은 부위 활성화를 유발하는 것임.
다음 포스트부터는 사람 뇌에서 일어나는 언어 processing 과정에 대해 살펴보자.
'전공자를 위한 생물학 > 신경과학 (뇌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과학] 19.2 : 언어의 처리과정 - 2 (0) | 2025.04.01 |
---|---|
[신경과학] 19.2 : 언어의 처리과정 - 1 (0) | 2025.04.01 |
[신경과학] 19.1 : 언어의 뇌과학 - 2 (0) | 2025.04.01 |
[신경과학] 19.1 : 언어의 뇌과학 - 1 (0) | 2025.03.31 |
[신경과학] 18.3 : 일주기리듬(circadian rhythms) - 2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