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자를 위한 생물학/생화학

[생화학] 13.1 : 당 대사 개론

단세포가 되고파🫠 2025. 3. 25. 23:13
반응형

 

 

 

이번 포스트에서는 구체적인 당 대사 각론에 들어가기 이전에 우선 개론적인 내용을 먼저 다루어보고자 함.

 

 

 

 

 

위 그림에는 glycolysis, fatty acid synthesis, pentose phosphate pathway(PPP) 등의 생화학반응이 나타나 있음. 참고로 이 때 PPP의 경우 cytosol에서 일어나는 반응이며 핵산 주원료인 C5의 화합물을 생성시킴과 동시에 NADPH도 생성시킴. 이렇게 생성된 NADPH는 대사과정에서 쓰이거나, 혹은 oxidative stress를 완화시키는데 쓰임.

 

 

 

 

생화학 쳅터 6에서 당에 대해 알아봤었음. 위 그림과 같이 3개의 탄소를 가진 당을 triose, 4개를 가진 당을 tetrose, 5개를 가진 당을 pentose, 6개를 가진 당을 hexose로 명명함. 한편 이들의 linear한 구조를 그릴 때는 aldehyde, 혹은 ketone group은 위에 가게, primary C에 붙은 OH는 아래에 가게 그리게 됨. 그리고 이 때 아래에서 두번째에 붙은 chiral carbon에 붙은 OH의 대치에 따라서 D, L form 중 어느 것이 될지가 결정됨. 일반적으로 자연상태에서 발견되는 당의 대부분은 D form임.

 

 

 

 

위 그림에는 각종 당의 분류와 세부종류가 나타나 있으므로 참고할 것.

 

 

 

 

 

한편 glucose는 위와 같이 ring structure를 형성할 수 있음. 이 때 형성 가능한 form이 2가지인데, α form과 β form이 바로 그것임. 이 때 이 두 form 사이의 관계를 epimer라고 함. 그리고 위 그림에서도 나타나 있는 것처럼 1번 C가 5번 C에 붙은 OH의 O에 의해 공격받아서 ring formation이 일어나게 됨.

 

 

 

glucose가 완전히 산화될 시 -2840kJ/mol의 에너지가 만들어질 수 있음. 따라서 glucose는 좋은 fuel로 작용 가능함. 그 밖에, glucose는 polymeric form으로 저장될수도 있으며, amino acid, membrane lipid, nucleotide, cofactor, NADPH, pentose 등의 합성원료로 사용될수도 있음. 마지막으로 glucose는 structural carbohydrate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음.

 

 

 

 

위 그림에는 glucose의 세포 내에서 다양한 이용방식들이 나타나 있으므로 참고할 것.

 

 

 

다음 포스트부터는 본격적으로 해당(glycolysis)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