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11/09 15

[생화학] 8.3 : 형광단백질

이번 포스트에서는 형광단백질을 단백질에 붙여 단백질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in vivo상에서 protein의 location을 확인하기 위해 immunofluorescence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가장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 중 하나는 GFP(green fluorescent protein)임.    실제로 GFP는 해파리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위 그림 (b)와 같이 생김. 이 녀석을 tagging한 protein의 경우 green을 띄기 때문에 실제로 imaging을 통해 이 녀석의 위치를 localization하는 것이 가능함. 특히나 위 그림 (d)와 같이 다양한 색을 낼 수 있는 GFP variant들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제 이 방법을 이용할 시 multi-lab..

[생화학] 8.2 : PCR - 2

이번 포스트에서는 지난 포스트에 이어 PCR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qPCR에 대해 알아보자.    위 그림은 qPCR과 관련된 모식도를 보여주고 있음.   실제로 qPCR을 하게 되면 위 그림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음. 이 때 signal이 특정한 threshold보다 더 높아지기까지 필요한 cycle의 수를 바탕으로 시작할 때의 nucleotide 양을 quantify할 수 있음. (실제로 cycle마다 대략 2배씩 증폭되므로 cycle을 계속하면 결국에는 threshold에 도달될 수 있음) 이를 위해 크게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 우선 1a의 경우 SYBR green과 같은 dye를 사용해서 DNA에 incorporate되는 정도를 측정하고, 결과적으로 DNA 양을 quantify할..

[생화학] 8.2 : PCR - 1

이번 포스트부터는 PCR에 대해 알아보자.  PCR는 linear DNA 중 일부 부위를 amplify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음. 혹은 더 나아가서 완전한 circular plasmid를 amplify하고자 할 때도 사용할 수 있음. 이 PCR은 cloning을 하기 위해 필요한 gene of interest를 증폭하는 과정으로도 많이 사용됨.  PCR을 위해서는 target DNA, primer(oligonucleotides complementary to target), nucleotide(dATP, dCTP, dGTP, dTTP), thermostable DNA polymerase를 mix해주어야 함. 이 mix는 다음으로 thermocycler로 들어가게 되며, 우선 95도로 DNA를 melting..

[생화학] 8.1 : DNA 클로닝(cloning) - 3

지난 포스트에 이어서 클로닝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자.  이제 cloning vector에 대해 알아보자. 일단 대표적인 cloning vector에는 plasmid가 있음. plasmid는 circular한 DNA이며 일반적으로 negative supercoil을 가지는 intact한 form으로 존재함. 이 녀석은 원래 bacterial genomic DNA의 일부로 존재했는데, 이를 separate해서 사용하게 된 것임.  이들은 origin of replication을 가지기 때문에 host cell에 들어갈 시 자체적으로 replicate하는 것이 가능하며, 보통은 selection을 위해 antibiotic resistance gene을 가지고 있음. 이들의 경우 보통 15,000bp정도 si..

[생화학] 8.1 : DNA 클로닝(cloning) - 2

지난 포스트에 이어 이번 포스트에서 DNA cloning에 대해 더 알아보자.   DNA ligase에 대해 알아보자. DNA ligase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조효소가 필요함. 이 녀석은 두 개의 DNA fragment 사이를 phosphodiester bond로 연결해서 중합체를 만들어주는 효소임. 이 녀석은 보통은 DNA repair에 쓰임. (참고로 human DNA ligase는 ATP를 조효소로 사용하고 bacterial DNA ligase는 NAD를 조효소로 사용함)    실제로는 위 그림과 같이 dsDNA를 연결할 때 ligase가 사용될 수 있으며 nicked DNA/RNA를 연결하는 과정에서도 ligase가 사용될 수 있음.  위 그림 오른쪽에 나타나 있는 T4 DNA ligase는 ty..

[생화학] 8.1 : DNA 클로닝(cloning) - 1

이번 포스트부터는 DNA 클로닝(cloning)에 대해 알아보자.  recombinant DNA는 자연 상태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준 DNA를 의미함. 이걸 만들기 위해서 사용되는 과정이 바로 molecular cloning임. 한편 cloning된 유전자를 다른 개체에 넣어서 그 개체가 recombinant DNA를 가지고 있게끔 하도록 만들어주게 됨.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transgenic animal을 만들거나, GMO food를 만드는 등의 일을 할 수 있음.    DNA cloning 방식을 처음으로 고안한 분이 바로 위 그림에 표시되어 있는 Paul Berg이며, 그는 이에 대한 공로로 1980년에 노벨화학상을 받음.    Paul Berg는 위와 같은 연구를 함. 보면 vi..

[생화학] 7.10 : DNA 시퀀싱(DNA sequencing) - 3

이번 포스트에서는 지난 포스트에 이어 구체적인 NGS 방식들에 대해 하나하나 알아보자.  우선 pyrosequencing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위 그림은 pyrosequencing의 원리를 나타내주고 있음. pyrosequencing은 Roche에서 2004년에 개발되었으며, 이 때의 상품명을 따 454 pyrosequencing으로도 부름.  보면 특정 종류의 dNTP를 넣었을 때 DNA가 elongation된다면, 이 때 pyrophosphate가 방출됨. 이 때 이 녀석에 ATP sulfrylase와 adenosine이 가해지게 되면 ATP로 바뀌게 됨. 이후 ATP가 input으로 들어가면서 luciferin이 oxyluciferin으로 변화하게 되면서 light이 방출됨. (이 때 lu..

[생화학] 7.10 : DNA 시퀀싱(DNA sequencing) - 2

이번 포스트부터는 각종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NGS를 이용하면 high-throughput으로 whole genome을 sequencing할 수 있음. 이 방법의 경우 short read임에도 massively parallel sequencing을 수행할 수 있음.  typical한 NGS의 workflow는 library preparation→cluster generation→sequencing→data analysis의 순서임. 이 중 library preparation에서는 우선 DNA를 조각조각냄. 이후 5', 3'에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tag를 붙여줌. 그 다음에 cluster generation을 통해서 이들 DNA 조각들을 증폭..

[생화학] 7.10 : DNA 시퀀싱(DNA sequencing) - 1

이번 포스트부터는 DNA 시퀀싱(DNA sequencing)에 대해 알아보자.  DNA sequencing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음. 우선 가장 먼저 개발된 Maxam-Gilbert Sequencing method에 대해 알아보자.   보면 이 경우 G 앞을 끊어주는 reaction, A reaction, T reaction, C reaction 등 condition을 달리해가면서 특정한 염기만 끊어지는 환경을 조성해줌. 이후 gel을 내려주게 되면 위 그림 왼쪽과 같은 결과가 나오고, 이 때 아래에서부터 위 순서로 sequence를 읽어나가게 되면 sequencing을 할 수 있게 됨.  그러나 이 방법의 경우는 보다시피 꽤나 복잡함. 이 때 game changer가 나타남. 그것이 바로 아래..

[생화학] 7.9 : DNA 합성(DNA synthesis)

이번 포스트에서는 DNA 합성(DNA synthesis)에 대해 알아보자.    DNA 합성을 위해서는 최소한 위와 같은 component들이 필요함. 일단 기본적으로 물, nucleotide, template DNA, primer, enzyme, buffer가 필요하며, 이 buffer는 pH를 조절해주는 역할을 함. 그 밖에 Mg2+와 같은 metal ion들도 들어가야 하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polymerization 반응에서 상당히 중요하게 사용되기 때문. (사실 이 녀석은 restriction enzyme이 작용할 시에도 중요함)    위 그림에는 실제로 DNA가 합성되는 과정이 나타나 있음. 보면 3' OH가 incoming α phosphate를 SN2 attack하게 되고 그 결과 β,..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