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11/15 7

[생화학] 10.1 : 세포막(cell membrane) - 2

이번 포스트에서는 세포막의 조성에 대해 알아보자.  사실 이 조성은 organism의 종류, tissue의 종류, organelle의 종류에 따라 다 다름. 당연히 종에 따라 phospholipid도 다양하며, 그 밖에 sterol의 종류도 다양함. 실제로 앞서 살펴봤던 것처럼 원핵생물에서는 기본적으로 거의 sterol이 막에서 관찰되지 않음. 한편 반대로 cardiolipin이라는 lipid의 경우에는 bacteria에는 많은 반면 eukaryote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음. 다음으로 cholesterol은 plasma membrane에는 많지만 mitochondria에는 거의 없음. (이는 mitochondria가 bacteria로부터 유래했기 때문임) 그 밖에 galactolipid는 plant c..

[생화학] 10.1 : 세포막(cell membrane) - 1

이번 포스트부터는 세포막에 대해 알아보자.  lipid는 물 내에서 aggregate되어서 크게 3가지 structure를 형성할 수 있음. 3가지는 각각 micelle, bilayer, liposome임. lipid가 가지고 있는 hydrophobic한 특징에 의해 수용액 환경에서 이런 구조들이 형성될 수 있음. 이런 구조들은 일반적으로 lipid의 type, 그리고 lipid의 concentration에 따라 dependent하게 형성될 수 있음. 우선 micelle(미셸)에 대해 알아보자.    micelle은 위와 같은 구조를 의미함. 이런 구조 형성을 위해서는 amphipathic한 성질을 가진 분자가 존재해야 하는데, 이 때 amphipathic이란 양친매성을 의미함. 실제로 이런 구조를 이룰..

[랩미팅] 2 : 저널클럽(journal club)을 잘 준비하는 방법

이번 포스트에서는 특별히 저널클럽(journal club)을 잘 준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저널 클럽은 연구자들이 모여 학술지에 실린 논문을 읽고 토론하는 자리예요. 이러한 모임은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비판적 사고를 연습하며, 발표와 토론 능력을 키우는 데 도움을 줘요.저널 클럽의 형식은 참가자와 주최자의 선호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어요. 최근에는 Zoom, Google Meets, Webex 같은 가상 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온라인 저널 클럽이 연구실이나 기관에서 점점 인기를 얻고 있어요.  잘 운영되는 저널 클럽에서는 활발한 논의가 이뤄지고, 논문의 강점과 약점을 비판적이고 솔직하게 평가해요. 참가자들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들의 연구에 참고할 만한 통찰을 얻거나, ..

[생화학] 9.4 : 막지질(membrane lipid)과 신호지질(signaling lipid) - 3

이번 포스트에서는 스테롤(sterol)에 대해 알아보자.    위 그림은 sterol의 구조를 나타내주고 있음. 보면 한쪽 끝에 polar head group이 있고, 가운데에 거의 planar한 형태의 tetracycle 구조가 존재하고 있으며, 그 뒤에 hydrophobic한 alkyl side chain이 연결되어 있음. 참고로 이 때 polar head에 있는 OH는 다른 fatty acid와 연결된 채로 존재하게 될 수도 있음. sterol의 일종인 cholesterol은 대부분의 eukaryote에서 발견됨. (다만 bacterial의 경우 발견되지 않음. 즉, bacteria의 막에는 cholesterol이 없음) 한편 mammal들은 food로부터 cholesterol을 얻거나, 혹은 li..

[생화학] 9.4 : 막지질(membrane lipid)과 신호지질(signaling lipid) - 2

이번 포스트에서는 스핑고지질(sphingolipid)에 대해 알아보자.   sphingolipid의 경우 backbone이 sphingosine임.    위 그림에 sphingolipid의 구조가 나타나 있음. 보면 이 경우 흥미롭게도 sphingosine 자체가 하나의 fatty acid 역할을 하고 있음. 그러다 보니 이 분자에는 추가적으로 하나의 fatty acid만 더 첨가될 수 있음. 이 때 첨가되는 하나의 fatty acid도 sphingosine의 N과 연결되는데, 그렇기에 이 linkage를 amide linkage라 함. (참고로 sphingosine 내부에 있는 alcohol과 amino group이 인접해 있는 moiety를 amino alcohol이라 부를 수 있음)   한편 sph..

[생화학] 9.4 : 막지질(membrane lipid)과 신호지질(signaling lipid) - 1

이번 포스트부터는 막지질(membrane lipid)과 신호지질(signaling lipid)에 대해 알아보자.  membrane을 이루는 structural lipid는 polar head와 nonpolar tail(주로 polar head에 붙은 fatty acid)로 구성되어 있음. 이 때 polar head의 backbone 종류에 따라 membrane lipid의 종류가 나뉘어짐. 그리고 membrane lipid의 composition은 organism에 따라, 그리고 tissue에 따라서도 다 달라지게 됨.  우선 backbone이 glycerol인 glycerophospholipid에 대해 알아보자. (참고로 glycerophospholipid는 fatty acid를 포함한 개념임)    ..

[생화학] 9.3 : 저장지질(storage lipid)의 구조

이번 포스트에서는 저장지질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storage lipid는 triacylglycerol로 대표될 수 있음. 이 때 solid한 형태는 그냥 fat으로, liquid한 형태는 oil로 부르게 됨.    위 그림에는 triacylglycerol이 나타나 있음. 보면 glycerol의 각각의 탄소에 fatty acid가 붙음. 이 때 만약 위 그림과 같이 3개의 glycerol C에 3개의 서로 다른 fatty acid가 붙는다면, glycerol의 가운데 C(2번 C)는 원래는 chiral하지 않았지만 fatty acid와의 결합에 의해 chiral해지게 됨.  fat은 fuel storage에 있어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 일단 이들의 구성요소인 fatty acid는 상당히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