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트에서는 이당류에 대해 알아보자. glycosidic bonding은 위와 같이 일어남. 보면 ring의 hemiacetal과 나머지 단당류의 alcohol이 다시 반응해서 acetal이 형성되면서 O-glycosidic bond가 형성되게 됨. (이것 말고 사실 N-glycosidic bond도 존재함) 이 때 위 경우에는 사이 부분의 경우 acetal이지만 오른쪽 부분은 여전히 hemiacetal이므로 결국 이 녀석도 아직 reducing power를 가지고 있음. 그렇기에 위와 같이 오른쪽 부분 end를 reducing end라 부름. 실제로 이당류의 종류는 위와 같음. 보면 lactose, sucrose, trehalose 등이 있음. 이 때 특히 sucrose는 he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