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트에서는 지난 포스트에서 간단히 살펴본 각각의 DNA repair 기작들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BER(base excision repair) 일반적인 BER의 과정이 위 그림에 나타나 있음. 하나하나 살펴보자. 위 그림의 좌측에는 ROS, methylation, deamination 등에 의해 염기 중 한 부분이 이중결합을 형성하지 못한 채 붕 떠서 bulge가 만들어졌을 때의 repair 과정이 나타나 있음. 이 경우에는 우선 bulge를 인지하는 단백질들이 필요한데, 예를 들어 8-oxo G가 만들어져 있는 경우에는 OGG1(8-oxoguanine glycosylase)이 8-oxo G에 결합함. (참고로 잘못 끼어들어간 U의 경우 UNG에 의해 인식됨) 이 때 결합한 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