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공자를 위한 생물학/분자생물학 133

[분자생물학] 2.2 : DNA의 구조, DNA의 특징

이번 포스트에서는 DNA의 구조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DNA는 앞서서도 살펴본 것처럼 double helix(이중나선) 구조임. 이 때 chargaff의 실험을 통해 purine의 양과 pyrimidine의 양이 거의 동일함이 확인되면서 결국 A-T, G-C간의 결합이 이루어짐이 확인됨. (이 때 A-T끼리는 2개의 수소결합, G-C끼리는 3개의 수소결합으로 연결됨) 이 그림에서 중요한 것은 두 가닥의 DNA strand가 서로 antiparallel한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는 것임. (또한 위 그림과 같이 double-helix가 한 바퀴 돌 때 10.5개의 base pair가 필요하다는 사실도 기억해두자) 참고로 위 그림은 Rosalind Franklin이 찍은 DNA의 x-ray diffr..

[분자생물학] 2.1 : gene(유전자)의 분자적 특성 - 그리피스, 에이버리, 허쉬-체이스의 실험, DNA, RNA의 구성성분

본 포스트에서는 분자생물학에서 반복적으로 다루게 되는 gene(유전자)라는 개념의 분자적인 정의와 특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유전자와 관련된 핵심적인 실험 중 하나가 1928년에 Frederick Griffith에 의해 수행됨. (그리피스의 실험) 이 실험에는 Streptococcus pneumoniae가 사용되었으며 이 종에는 avirulent (R) rough colony(capsule을 가지고 있지 않은 세균)와 virulent (S) smooth colony(capsule을 가진 세균)의 두 종류가 있었음. 이 때 S colony의 경우 숙주에 감염시킬 시 매우 치명적이었지만 R colony의 경우 숙주에 감염되어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 이 때 신기하게도 S colony를 가열한 후 쥐에..

[분자생물학] 1.1 : 분자생물학의 기초

이번 포스트를 시작으로 분자생물학이라는 과목에 대해 알아보자. (본 내용은 대학교 2-3학년의 생물학 전공수업 내용을 기반으로 정리된 것이니, 내용이 너무 어렵거나 이해가 힘든 경우 일반생물학 내용을 먼저 복습하고 오시기를 추천드려요!) 분자생물학이란 어떤 과목일까. 분자생물학, 즉 molecular biology는 생물학적인 현상을 '분자'의 시점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분야임. 주로 유전자의 구조와 기능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는 학문이라고도 볼 수 있음. 멘델의 법칙이 제안된 이래로, transmission genetics라는 개념이 사용되기 시작함. transmission genetics는 전달유전학이라고도 번역되며. 간단히 말하자면 특징적인 표현형이 부모에서 자손으로 전달되는 것에 관한 학문임. 그렇..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