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트에는 주로 initiation 과정에 대해 살펴봤고, 그 중에서도 sigma factor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특히 중점적으로 살펴보았음. 지금부터는 sigma factor 그 자체의 구조에 대해 조금 더 살펴보자. 위 그림은 각종 sigma factor의 amino acid sequence를 나타내고 있음. 이 때 이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특징적인 region이 있어서 각각 1, 2, 3, 4로 이름붙임. 그 중에서도 2, 4는 대부분의 sigma factor에서 보존되어 있음을 확인 가능함. (2, 4 region이 대부분의 sigma factor에서 conserve되어 있다는 것은, 이 region이 그만큼 핵심적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것을 암시함) 지금부터 E. coli가 가지고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