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11/08 15

[생화학] 6.4 : 당포합체(glycoconjugate)

이번 포스트에서는 당포합체(glycoconjugate)들에 대해 알아보자.     위 그림에 다양한 glycoconjugate들이 나타나 있음. glycoprotein은 당이 붙어있는 protein을 의미함. (protein의 비중이 더 높으며 작은 sugar가 붙어있음) 한편 proteoglycan은 큰 덩치의 glucosaminoglycan들이 protein에 붙어있는 형태임. lipid에 sugar가 결합하고, 이에 protein이 붙은 GPI-anchored glycoprotein들도 있으며 그 밖에 lipid에 당이 붙은 glycosphingolipid들이 존재함.  우선 세균의 cell wall을 이루고 있는 peptidoglycan에 대해 알아보자.    peptidoglycan은 위 그림 ..

[생화학] 6.3 : 다당류(polysaccharide) - 2

이번 포스트에서는 지난 포스트에 이어서 다당류에 대해 계속 알아보자.   우선 agar, agarose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agar는 branched heteropolysaccharide이며 이 녀석은 agarose와 agaropectin으로 이루어져 있음. agar는 몇몇 seaweed에서의 cell wall 구성성분이며, agar solution은 bacteria를 배양하는 데 상당히 많이 사용됨. 한편 agarose solution은 DNA를 전기영동으로 분리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gel의 주원료임.    위 그림에는 agarose의 모습이 나타나 있으므로 참고할 것. (이 녀석은 Galactose와 Galactose + SO3-가 연결되어 구성)    한편, agarose gel을 이용해 DN..

[생화학] 6.3 : 다당류(polysaccharide) - 1

이번 포스트부터는 다당류(polysaccharide)에 대해 알아보자.    polysaccharide는 위와 같이 homopolysaccharide와 heteropolysaccharide로 나눌 수 있음. 이 중 homopolysaccharide는 한 종류의 monomer unit으로 이루어진 다당류이고 heteropolysaccharide는 여러 종류의 monomer unit으로 이루어진 다당류임.  polysaccharide의 대표적인 예로는 glycogen, starch 등이 있음. 이들의 경우 매우 variation이 크므로 molecular weight을 define하기 쉽지 않음.     위 그림에는 glucose들이 서로 1-4 α-D glycosidic bond를 통해서 연결되어 만들어진..

[생화학] 6.2 : 이당류(disaccharide)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당류에 대해 알아보자.    glycosidic bonding은 위와 같이 일어남. 보면 ring의 hemiacetal과 나머지 단당류의 alcohol이 다시 반응해서 acetal이 형성되면서 O-glycosidic bond가 형성되게 됨. (이것 말고 사실 N-glycosidic bond도 존재함) 이 때 위 경우에는 사이 부분의 경우 acetal이지만 오른쪽 부분은 여전히 hemiacetal이므로 결국 이 녀석도 아직 reducing power를 가지고 있음.    그렇기에 위와 같이 오른쪽 부분 end를 reducing end라 부름.    실제로 이당류의 종류는 위와 같음. 보면 lactose, sucrose, trehalose 등이 있음. 이 때 특히 sucrose는 hemi..

[생화학] 6.1 : 단당류(monosaccharide) - 2

이번 포스트에서는 지난 포스트에 이어 단당류에 대해 알아보자.   이전 포스트에서 알아본 aldehyde, ketone의 carbon은 electrophilic한 반면 alcohol의 O는 nucleophilic함. 따라서 그 결과 아래와 같이 hemiacetal, hemiketal, acetal, ketal 형성 반응이 일어날 수 있음.    보면 alcohol의 O가 aldehyde, 혹은 ketone의 carbonyl C를 공격해서 hemiacetal, 혹은 hemiketal이 만들어짐. 이후 이들에 또 다른 alcohol이 들어가게 되면 비로소 acetal, 혹은 ketal이 만들어지게 됨.    실제로 이 원리를 이용해 위와 같이 monosaccharide의 cyclization이 일어남. 보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