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공자를 위한 생물학/유전학 33

[유전학] 1.2 : 멘델 유전학의 재발견 - 염색체와 멘델의 법칙 & 가계도 & 테이-삭스병(Tay-Sachs disease)

이제 chromosome의 개념을 이용해서 다시금 Mendelian genetics를 설명해보자. 우선 Mendel의 첫 번째 가설, unit factor가 pair로 존재한다는 가설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이는 위와 같이 1st meiotic prophase(감수 1분열 전기) 때 chromosome들이 서로 상동염색체 관계로 쌍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 가능함. (chromosome이 쌍을 이루므로, chromosome 내에 포함되어 있는 gene 또한 쌍을 이룰것임) 다음으로 Mendel의 두 번째 가설, gamete formation 과정에서 unit factor가 분리된다는 것에 대해 생각해보자. 이는 위와 같이 1st meiotic anaphase에 상동염색체끼리의 분리가 일어나는 현상으로 설명할 ..

[유전학] 1.1 : 멘델 유전학(mendelian genetics) - 2 (퍼넷 사각형, 양성잡종교배, 염색체)

2021.09.20 - [전공자를 위한 생물학/유전학] - [유전학] 1.1 : 멘델 유전학(mendelian genetics) -1 (intro, 단성잡종교배) [유전학] 1.1 : 멘델 유전학(mendelian genetics) -1 (intro, 단성잡종교배) mendel(멘델)은 완두콩의 몇 가지 traits를 이용해서 유전학적 패턴을 수학적으로 설명함. 이 수학적 설명은 훗날 다른 많은 유전 작용에도 성립함이 밝혀짐. 그러나 그 당시 사람들은 mendel의 아이 unicellular.tistory.com 저번 글에 이어서 이번에는 유전학에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현법 중 하나인 punnett square(퍼넷 사각형)에 대해 알아볼게요. punnett square란 위 그림 가운데에 나타난..

[유전학] 1.1 : 멘델 유전학(mendelian genetics) -1 (intro, 단성잡종교배)

멘델은 완두콩의 몇 가지 특징를 이용해서 유전학적 패턴을 수학적으로 설명했어요. 이 수학적 설명은 훗날 다른 많은 유전 작용에도 성립함이 밝혀졌는데요. 그러나 그 당시 사람들은 멘델의 아이디어를 인정하지 않았는데, 40년 후 그의 연구가 다시금 재조명받게 돼요. 그 이후에서야 멘델은 유전학의 대부가 될 수 있었죠. 그러면 왜 멘델은 하필 완두콩을 썼을까요? 이는 이 녀석이 자라기 쉽고(한 시즌 안에 성숙) 인공 교배(artificial hydridization)가 자유로우며 2가지의 분명한 표현형이 있기 때문이었어요. 멘델은 특히 아래와 같은 완두콩의 7가지 특징들을 사용했어요. 그리고 특히 멘델은 각 특징마다 'true-breeding strain(순종)'을 사용했는데, 그 이유는 순종을 사용해야 교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