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공자를 위한 생물학/세포생물학 65

[세포생물학] 7.3 : RTK(receptor tyrosine kinase) - Ras-MAPK pathway, PI3K-Akt pathway

이번 포스트부터는 enzyme-coupled receptor에 대해 알아볼게요. 위 그림은 enzyme-coupled receptor의 2가지 종류를 나타내 보여주고 있어요. 왼쪽에 나타나 있는 경우는 signal molecule이 receptor와 붙으면 receptor 자신이 효소 활성을 띄는 경우에 해당해요. 한편 오른쪽에 나타나 있는 것은 signal molecule이 와서 receptor와 붙으면 receptor에 별도의 효소가 와서 붙어 작용하는 경우에 해당해요. 다음으로 enzyme-coupled receptor 중에서도 대표적인 예인 receptor tyrosine kinase(RTK)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아볼게요. (RTK는 위 그림상에서 왼쪽에 해당한다 볼 수 있어요) 위 표에..

[세포생물학] 7.2 : GPCR(G-protein coupled receptor) 신호전달 - secondary messenger(이차신호전달자), GPCR의 둔감화

지난 포스트들에 이어 이번 포스트에서는 신호전달의 핵심요소 중 하나인 secondary messenger(이차신호전달자)에 대해 알아볼게요. secondary messenger는 수명이 짧은 세포 내의 신호전달분자에요. 일반적으로 secondary messenger는 크기가 작으며, 그러다 보니 세포질 사이를 잘 확산하며 전파될 수 있어요. (세포질은 점성이 크기에 큰 분자들은 저항을 받아서 빨리 가지 못해요) secondary messenger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cAMP, cGMP 등의 cyclic nucleotide(고리형 뉴클레오타이드)들, DAG, IP3 등의 막지질 유도체들, 혹은 Ca2+와 같은 ion, 그 밖에 nitric oxide(NO), carbon monoxide(CO)와..

[세포생물학] 7.2 : GPCR(G-protein coupled receptor) 신호전달 - phospholipid, ion channel 매개 신호전달

2023.04.15 - [전공자를 위한 생물학/세포생물학] - [세포생물학] 7.2 : GPCR(G protein coupled receptors) 신호전달 - cAMP 기반 신호전달 [세포생물학] 7.2 : GPCR(G protein coupled receptors) 신호전달 - cAMP 기반 신호전달 이제 앞서 배운 기본적인 세포 신호전달 기작을 바탕으로, 수용체 매개 신호전달의 거대한 축을 담당하는 GPCR 신호전달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볼게요. 위 그림에 GPCR signaling의 과정이 대략적으 unicellular.tistory.com 바로 이전 글에 이어서 이번에는 cAMP가 아닌 다른 방식을 통한 GPCR 신호전달 과정에 대해 알아볼게요. phospholipid(인지질) 매개 신호전달 우..

[세포생물학] 7.2 : GPCR(G-protein coupled receptors) 신호전달 - cAMP 기반 신호전달

이제 앞서 배운 기본적인 세포 신호전달 기작을 바탕으로, 수용체 매개 신호전달의 거대한 축을 담당하는 GPCR 신호전달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볼게요. 위 그림에 GPCR signaling의 과정이 대략적으로 나타나 있어요. 보면 신호가 오기 전에는 inactive GPCR, inactive G protein이 따로 존재하다가 신호 분자가 오면 신호분자의 결합에 의해 GPCR 수용체가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GPCR과 G protein이 만나서 G protein이 활성화되는데 이어서, 이후 연쇄적인 반응이 일어나요. G protein은 위 그림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3개의 subunit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이 때문에 trimeric, 즉 삼량체 구조라고 많이 언급되죠!) 우선 α subunit은 Ra..

[세포생물학] 7.1 : 세포 신호전달(cell signaling)의 원리 - 2

저번 포스트에 이어서 이번에는 세포 신호전달의 일반적인 원리들에 대해 조금 더 살펴볼게요. 우선 신호전달 과정에서 형성되는 각종 신호전달 복합체(signaling complex)에 대해 알아볼게요. 첫 번째로, 위 그림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scaffold protein(일종의 틀을 잡아주는 단백질)에 의해서 complex가 형성될 수 있어요. 실제로 이 경우 scaffold protein이 서로 연계적으로 관여하는 단백질들을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도록 결합시킨 후 최종적으로 세포막의 receptor에 직, 간접적으로 붙어 연계반응이 매우 빠르게 일어나게 해줘요. 두 번째로, 위 그림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receptor를 중심축으로 곧바로 complex가 형성될 수 있어요. 실제로 ligand가 ..

[세포생물학] 7.1 : 세포 신호전달(cell signaling)의 원리 - 1

이번 포스트부터는 세포 신호전달(cell signaling)에 대해 알아볼게요. signal transduction, 즉 신호 전달은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세포 내에서 전달, 발현시키는 과정이에요. 위 그림상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신호 전달에서의 구성 요소로는 ligand(signal molecule, 즉 신호를 초기에 전달하는 물질), receptor, intracellular signaling protein, effector protein 등이 있어요. cell signaling은 단계상으로는 위 그림에도 나타나 있는 것처럼 1) signal perception(신호 인식), 2) 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세포 내 신호 전달), 3) cellular respo..

[세포생물학] 6.2 : exocytosis(세포외유출), endocytosis(세포내유입)

이번 포스트에서는 exocytosis(세포외유출)와 endocytosis(세포내유입)에 대해 알아볼게요. exocytosis는 다시 위와 같이 2개 종류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constitutive secretory pathway와 regulated secretory pathway가 바로 그것이에요. 이 중 constitutive secretory pathway는 vesicle이 형성되면 바로 외부로 분비되는 경로이고, regulated secretory pathway는 vesicle이 형성된 후 특정 신호, 혹은 자극이 왔을 때 비로소 욉로 분비되는 pathway임. regulated secretory pathway에 의해 분비되는 대표적인 물질이 바로 neurotransmitter(신경전달물질)이죠..

[세포생물학] 6.1 : vesicular transport(소포수송) - Golgi to lysosome

지난 포스트에서는 ER로부터 출발한 단백질이 Golgi로 수송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봤어요. 지금부터 Golgi에서 출발한 단백질이 어떤 경로로 수송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볼게요. 이들이 경유할 수 있는 경로는 위 그림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3가지인데, 각각 signal-mediated diversion to lysosome(endosome을 거쳐 lysosome으로 이동하는 경로), signal-mediated diversion to secretory vesicle (특정 상황에서만 분비되는 단백질들이 경유하는 경로), constitutive secretory pathway(항상 지속적으로 분비되는 단백질들이 경유하는 경로)에요. 그 중에서도 우선 Golgi에서 lysosome(라이소좀)으로 단백질..

[세포생물학] 6.1 : vesicular transport (소포수송) - ER to Golgi, Golgi에서의 당화(glycosylation)

이번 포스트에서는 단백질이 ER에서 Golgi로 수송되는 전체 과정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볼게요. ER에서 golgi로 가고자 하는, 이미 접힘이 완료된 protein들은 exit signal(일종의 ER을 벗어나고자 하는 신호 서열)을 가지고 있어요. 위와 같이 ER 막에 있는 cargo receptor가 exit signal을 인지하면 이전 포스트에서 살펴본 COPII-coated vesicle이 형성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coat protein이 떨어진 채로 온전한 지질성분의 vesicle만 남게 되는거죠. (이전 포스트 참고) 그런데 흥미롭게도, vesicle이 motor protein(운동 단백질)에 의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자기들끼리 서로 합쳐져서 불규칙한 모양의 vesicular tu..

[세포생물학] 6.1 : vesicular transport(소포수송) - PIP, SNARE, Rab

저번 포스트에서는 vesicular transport에 관여하는 각종 coat protein들에 대해 알아봤어요. 그렇다면 앞서 배운 budding에 이은 vesicle 형성 과정이 막의 아무 곳에서나 일어나는 것일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렇지 않아요. 실제로는 위 그림에 나타나 있는 phosphoinositide(phosphatidyl inositol phosphoates, PIPs)들의 조성이 세포소기관 막마다 다 다르고, 이것이 일종의 docking site(도킹부위)로 기능해요. 이들의 구조를 보면 지방산 2개에 glycerol(글리세롤), phosphate(인산)가 붙어있고, 그 위에 inositol(이노시톨)이 붙어있는 형태인데요. 이 inositol의 몇 번 탄소에 인산화가 일어나는지에 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