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자를 위한 생물학/신경과학 (뇌과학)

[신경과학] 1.2 : 뇌의 기본적인 특징들

단세포가 되고파 2024. 8. 9. 16:58
반응형

 

 

이번 포스트에서는 glia, 즉 신경교세포와 neuron, 그리고 뇌에 대해 대략적으로 살펴보도록 하자.

 

 

glial cell은 크게 microglia와 macroglia로 나뉘어짐. 이 중 microglia는 phagocyte로부터 유래했으며, neuroinflammatory reaction을 수행함. 한편 macroglia는 다시 oligodendrocyte, schwann cell, astrocyte로 나뉘어짐. 이 중 oligodendrocyte는 CNS에서만 발견되고 schwann cell은 PNS에서만 발견됨. 이 둘은 각각 CNS, PNS에서 axon을 insulate해줌.

 

 

 

이제 다음으로 brain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자.

 

 

 

 

일단 1번 위치는 척수(spinal cord), 2번 위치는 연수(medulla oblongata), 3번 위치는 교뇌(pons), 4번 위치는 소뇌(cerebellum), 5번 위치는 중뇌(midbrain), 6번 위치는 간뇌(diencephalon), 7번 위치는 대뇌반구(cerebral hemisphere)임.

 

 

 

그 밖에 기저핵은 영어로 basal ganglia이며, midbrain, pons, medulla oblongata를 합쳐서 뇌간, 혹은 뇌줄기(brain stem)라고 함. 이 밖에 척추 중 뇌에 가까운 순으로 경추(cervical), 흉추(thoracic), 요추(lumber), 천골(sacral)임.

 

 

또 대뇌반구의 경우 다시 맨 앞쪽 부위인 전두엽(frontal lobe), 위쪽 부위인 두정엽(parietal lobe), 옆쪽 부위인 측두엽(temporal lobe), 뒤쪽 부위인 후두엽(occipital lobe)으로 나눠짐.

 

 

한편 대뇌반구 중 움푹 들어간 부분을 고랑(sulcus), 밖으로 튀어나와있는 부분을 이랑(gyrus)이라고 하므로 참고할 것.

 

 

 

이러 용어들은 가급적 잘 숙지해두는 것이 좋음.

 

 

 

 

 

한편 Pierre Paul Broca와 Karl Wernicke는 cognitive function을 하는 뇌 부위가 cortex에 있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이는 실어증(aphasia) 연구 과정에서 Paul Broca는 죽은 실어증 환자의 뇌 중 표시된 Broca's area가 손상되어있다는 것을 발견했고, Karl Wernicke는 마찬가지로 죽은 실어증 환자의 뇌 중에서 Wernicke's area가 손상되어 있음을 발견함.

 

 

결과적으로는, 위 그림 아래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우리가 일단 primary auditory cortex를 통해 소리를 인식하고, 이 신경흥분이 angular gyrus를 거쳐서 Wernicke's area, 그리고 마지막으로 Broca's area에 도달해서 말을 하게 되는 것임. 그런데 이 중 Wernicke's area, 혹은 Broca's area의 세포가 죽을 시 이 pathway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말을 못하게 되는 것임. 참고로 일련의 말과 관련된 이 경로를 Arcuate fasciculus라고 부름.

 

 

참고로 위 그림 아래에 나타난 vocalization region of motor area는 입을 움직여 목소리를 내는 것과 관련된 뇌 부위임.

 

 

 

 

한편 위 그림의 위쪽에 나타난 그림에 주목해보자. 보면 parietal lobe의 중간 sulcus를 기준으로 frontal lobe 쪽에는 motor cortex가 있는 반면 occipital lobe 쪽에는 somatic sensory cortex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일단 dentrite(수상돌기)는 위와 같이 세포핵에서부터 뻗어나온 짧은 가지들을 의미함. 한편 neuron의 기다란 부분은 축삭돌기(axon)이며 이 부분을 감싸주는 절연체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oligodendrocyte임. 참고로 위 그림의 dendtite 끝부분에 나타나 있는 bulge 부분을 수상돌기 가지(dendrite spine)라고 함. 그 밖에 위 그림상에서 별 모양처럼 나타나 있으면서 혈관부와 접해있는 별아교세포(별교세포, astrocyte), 식세포 작용을 수행하는 미세아교세포(미세교세포, microglia) 등의 glial cell들도 있음.

 

 

 

한편 Korbinian Brodmann은 대뇌피질을 염색을 통해 총 50개로 나누었고, 이들 각각이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밝힘. 이에 더해 그는 위와 같은 Brodmann map을 그림. 이 중에서 1, 2, 5번 부분은 sensory cortex이고, 4번은 motor cortex임. 이 밖에 visual cortex는 17번, auditory cortex는 41, 42번임.

 

 

 

다음 포스트부터는 neuron(신경세포)와 glia(신경교세포)의 특징에 대해 본격적으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