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자를 위한 생물학/세포생물학

[세포생물학] 5.3 : transmembrane transport 2 - 엽록체 수송(chloroplast transport)

단세포가 되고파 2022. 3. 27. 01:08
반응형

이번에는 엽록체로 단백질이 수송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볼게요.

 

 

사실 엽록체로 단백질이 수송돠는 과정은 미토콘드리아로 단백질이 수송되는 과정과 많은 공통점이 있어요.

 

 

1) 둘 다 post-translational한 translocation이다.

 

 

2) 내막, 외막이 다른 translocation complex를 이용한다. 

 

 

3) 에너지가 필요하다.

 

 

크게 위와 같은 공통점들이 있어요. 우선 post-translational하다는 것은, 일단 리보솜(ribosome)에서 번역(translation)이 완전히 다 일어나고 난 뒤에, 이렇게 만들어진 단백질이 미토콘드리아, 혹은 엽록체로 수송된다는 것을 의미해요. (반면 나중에 살펴볼 ER(소포체)로의 수송과정은 co-translational, 즉 리보솜에서의 번역과 ER로의 수송이 동시에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요)

 

그리고 내막과 외막이 다른 translocation complex를 이용하는것도 공통점인데요. 미토콘드리아에서는 TIM-TOM complex가 사용되었다면 엽록체에서는 TIC-TOC complex가 사용돼요.

 

마지막으로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것 또한 두 수송의 공통점이에요. 다만 미토콘드리아로의 단백질 수송 과정에서는 ATP를 통해 에너지가 공급되었다면 엽록체로의 단백질 수송 과정에서는 GTP를 통해 에너지가 공급된다는 것이 또 다른 차이점이에요.

 

 

 

이제 일반적인 엽록체로의 단백질 수송 과정에 대해 알아볼게요.

 

 

 

위 그림상에 전체 과정이 간략히 나타나 있어요. 하나하나 살펴볼게요.

 

 

우선 단백질 내에 chloroplast signal peptide(엽록체로 가게끔 하는 신호 서열)과 thylakoid signal sequence(엽록체 내의 틸라코이드로 가게끔 하는 신호 서열)이 있다면, 이 단백질은 염록체의 외막(outer membrane)에 있는 TOC complex에 결합해요.

 

 

이 상태로 단백질-TOC complex는 엽록체의 외막을 부유하다가, TOC complex가 TIC complex와 만나게 되면 부유를 멈춰요. 이후 미토콘들이아에서 TIM-TOM complex를 통해 단백질이 이동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단백질이 엽록체 기질(stroma)로 이동해요.

 

 

단백질이 엽록체 기질 내부로 들어오고 나서는 N terminal에 붙어있던 chloroplast signal sequence이 떨어져요. 만약 단백질이 추가적인 신호 서열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면 그냥 단백질은 기질에서 존재하면서 제기능을 해요. 한편 만약 내부에 thylakoid signal sequence가 추가적으로 있는 경우에는 위 그림상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여러 경로를 통해 thylakoid 막, 혹은 내부로 수송돼요.

 

 

 

위 그림에는 틸라코이드로 단백질이 이동할 때 경유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들이 나타나 있어요. 

 

 

맨 왼쪽에 나타나 있는 겻은 Sec pathway로 불리는데요. 이 경우 Sec protein이라는, 굉장히 유명한 단백질과 유사한 단백질에 의해서 단백질이 틸라코이드 내부로 수송돼요. (이 경우 ATP와 H+ gradient를 모두 이용해서 단백질이 수송돼요) 두 번째로 나타나 있는 것은 TAT pathway로, 이 경우 두 개의 아르지닌(arginine)에 의해서 단백질이 틸라코이드 내부로 수송돼요. (이 경우 H+ gradient를 이용해서 단백질이 수송돼요) 세 번째로 나타나 있는 것은 SRP-like pathway로 불리는데요, 이 경우 나중에 ER로의 단백질 수송 과정에 대해 배울 때 보게 될 SRP라는 단백질과 닮은 녀석에 의해서 단백질 수송이 일어나요. (이 경우 ATP와 H+ gradient를 모두 이용해서 단백질이 수송돼요) 마지막으로 나와있는 것은 spontaneous insertion, 즉 그냥 자발적으로 단백질이 막에 가서 박히는 기작이에요. (이 경우 어떤 에너지도 필요하지 않아요)

 

 


 

 

지금까지 엽록체로 단백질이 수송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봤어요.

 

 

 

다음 포스트에서는 마지막으로 소포체(ER, endoplasmic reticulum)으로 단백질이 수송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볼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