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자를 위한 생물학/신경과학 (뇌과학)

[신경과학] 23.2 : declarative memory, 기억상실증(amnesia)

단세포가 되고파🫠 2025. 4. 18. 23:42
반응형

 

 

 

declarative memory는 다시금 working memory, short-term memory, long-term memory로 나누어질 수 있음. working memory는 event 이후 몇초동안 지속되는 temporary한 storage memory임. 대표적인 예로 우리가 누군가의 핸드폰 번호를 들은 후 잠시동안 기억하는 것 등이 이에 해당됨. 한편 short-term memory는 짧은 term으로 저장되는 fact, event 등에 대한 memory임. (사실 working memory와 short-term memory 사이의 경계는 모호함)

 

이 때 short-term memory는 disruption되기 쉬우며, 이들 중 일부 기억은 memory consolidation을 통해 long-term memory로 전환되게 됨. (short-term, long-term memory의 경우 형성 process도 다름) 참고로 memory는 뇌 전반에 걸쳐 분산적으로 저장되는데, 그렇기에 일부 neuron이 죽어도 기억에 큰 문제가 생기지는 않는 것임.

 

 

 

 

 

 

위 그림에는 working memory, short-term memory, long-term memory와 관련된 모식도가 나타나 있으므로 참고할 것. (다만 주의해야할 것이 있는데, 이 그림에서는 working memory와 short-term memory를 별개의 것으로 표현해뒀으나 실제로는 working memory도 당연히 short-term memory로 전환될 수 있음)

 

 

 

Amnesia

 

다음으로 Amnesia에 대해 알아보자.

 

 

amnesia는 기억상실증을 의미함. 조금 더 정확하게는, memory의 serious한 loss와 함께 learn을 할 수 있는 ability 또한 loss되는 증상을 의미함. amnesia의 발생 원인은 다양한데, concussion, chronic alcoholism, encephalitis, brain tumor, stroke 등이 있음.

 

amnesia는 trauma에 의해 발생하는 limited amnesia(이것이 아주 흔함)와 별다른 cognitive deficit 없이 발생하는 dissociated amnesia로 나누어질 수도 있고, 그 밖에 retrograde amnesia와 anterograde amnesia로 나누어질 수도 있음. retrograde amnesia의 경우 stored memory가 서서히 사라지는 증상을 보이는 한편, anterograde amnesia는 새로운 정보에 대한 learning이 안되는 증상을 보임.

 

 

 

 

위 그림의 왼쪽은 retrograde amnesia를, 오른쪽은 anterograde amnesia를 나타내 보여주고 있으므로 참고할 것. 이 때 retrograde amnesia적인 증상을 보이는 대표적인 질병이 치매이며, anterograde amnesia적인 증상을 보이는 대표적인 경우가 만취에 의해 필름이 끊기는 것임. (다만 치매의 경우 흥미롭게도 최근의 기억부터 지워지는데, 왜 그런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잘 모름)

 

 

 

 

다음 포스트부터는 기억의 형성과정에 대해 본격적으로 알아보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