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자를 위한 생물학/대학원생을 위한 필수 생물학 개념들

[렌티바이러스] 2편 : 2세대 vs 3세대 렌티바이러스 시스템

단세포가 되고파🫠 2025. 4. 10. 22:29
반응형

 

 

렌티바이러스 벡터는 시간이 흐르면서 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진화해왔어요. 그 결과, 현재는 주로 2세대(second-generation)와 3세대(third-generation)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죠.

 

 

실험에 앞서 어떤 시스템이 더 적합한지 판단하려면, 각 세대의 구성과 특징을 잘 이해해야 해요.

 


2세대 시스템, 간단하고 역가 높은 구성

 

 


2세대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3개의 플라스미드로 구성돼요. 하나는 목적 유전자가 들어 있는 전달 플라스미드, 두 번째는 외피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외피 플라스미드, 마지막 하나는 Gag, Pol, Rev, Tat 유전자가 통합되어 있는 패키징 플라스미드예요.

 


이 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은 구성이 단순하고 바이러스 생산 효율이 높다는 점이에요. 실험실에서 많이 쓰는 293T 세포에 트랜스펙션만 하면, 비교적 쉽게 고역가(high titer)의 렌티바이러스 입자를 얻을 수 있어요. 그래서 CRISPR 도입, 안정적 세포주 생성, 단기 감염 실험 등 다양한 연구에 널리 사용돼요.

 


하지만 구조가 단순한 만큼 바이러스가 스스로 복제할 가능성(recombination risk)이 이론적으로 존재해요. 즉, 패키징 플라스미드와 전달 플라스미드 사이에 재조합이 일어나면, 복제 가능한 바이러스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있는 거죠. 물론 실험실 수준에서는 매우 드물지만, 특히 생체 내 실험이나 임상 전 단계 연구에서는 이 점이 걱정될 수 있어요.

 

 

반응형


3세대 시스템, 안전성을 우선으로 설계된 구조

 

 


이런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 개발된 게 바로 3세대 시스템이에요. 3세대는 2세대보다 구성은 좀 더 복잡하지만, 그만큼 바이러스 재조합 가능성을 더욱 줄여 안전성을 높였어요.

 


가장 큰 차이점은 패키징 시스템을 Rev와 Gag/Pol로 나눠서 두 개의 플라스미드로 분리했다는 점이에요. 이렇게 나누면 바이러스가 스스로 복제되려면 더 많은 재조합이 동시에 일어나야 해서, 위험성이 크게 줄어요.

 


또 하나의 중요한 변화는 Tat 유전자가 아예 제거되었다는 점이에요. 대신 Tat이 없어도 작동할 수 있도록 5' LTR 부위에 Tat-independent promoter가 추가됐어요. 이로써 바이러스 생산이 Tat 없이도 가능해졌고, 또 하나의 안정성 장치가 더해졌어요.

 


결과적으로 3세대 시스템은 복제 가능한 바이러스 생성 위험이 극히 낮은 구조로, 생체 내 전달 실험, 바이오의약품 개발, 유전자 치료 전임상 등 고안전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어요.

 

 


효율 vs 안전, 어떤 걸 우선해야 할까요?


2세대 시스템은 효율성 면에서 더 유리해요. 플라스미드 수가 적고, 트랜스펙션이 간단하며, 고역가 바이러스 생산이 용이하거든요. 반면 3세대 시스템은 플라스미드가 4개나 돼서 작업이 다소 번거롭고, 경우에 따라선 바이러스 역가도 조금 낮게 나올 수 있어요. 하지만 안전성 면에서는 확실한 우위가 있어요.

 


그래서 실험 목적에 따라 적절한 시스템을 선택하는 게 중요해요. 단순한 in vitro 감염 실험이라면 2세대로도 충분하지만, 생체 내 감염, 장기 유전자 발현, 임상 응용을 염두에 둔다면 3세대 시스템이 훨씬 적합해요.

 

 


다음 편에서는 이렇게 진화한 렌티바이러스 벡터가 실험실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임상 현장에서는 어떤 성과를 거두고 있는지 실전 중심으로 소개해드릴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