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라겐이라는 단어, 한 번쯤은 들어보셨죠?
피부가 탱탱해진다거나 관절이 튼튼해진다는 광고에서 자주 등장하는 성분이에요. 그런데 콜라겐이 도대체 무엇이고, 정말 건강에 그렇게 중요한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콜라겐의 기본 개념부터 우리 몸 속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왜 나이가 들수록 콜라겐이 주목받는지를 알기 쉽게 정리해볼게요.
콜라겐이란 무엇인가요?
콜라겐은 단백질의 한 종류인데요, 우리 몸에 존재하는 단백질 중 무려 3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매우 중요한 구조 단백질이에요. 특히 피부, 뼈, 연골, 힘줄, 인대 같은 조직의 구조를 지탱하는 역할을 해요.
콜라겐은 글라이신, 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이라는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이 세 가닥으로 꼬인 트리플 헬릭스 구조를 이루면서 강하고 유연한 성질을 만들어내요. 이 구조 덕분에 피부는 탄력을 유지하고, 뼈와 관절은 충격을 견딜 수 있죠.
콜라겐은 총 28가지 이상이 존재하지만, 그 중 제1형 콜라겐(type I)이 전체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어요. 제1형은 피부, 뼈, 힘줄에 주로 존재하고, 제2형(type II)은 관절 연골에서, 제3형(type III)은 혈관과 장기에 많이 포함돼요.
콜라겐이 우리 몸에서 하는 일
콜라겐은 단순히 피부를 탱탱하게 만드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해요. 우리 몸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죠.
피부 탄력과 수분 유지
콜라겐은 피부 진피층의 구조를 유지해 피부가 쳐지지 않고 매끄럽게 보이도록 해줘요.
관절과 연골 보호
연골의 주요 성분이기도 한 콜라겐은 무릎이나 손목 같은 관절이 충격을 흡수하고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도와줘요.
뼈와 근육 강화
뼈 조직의 약 30%는 콜라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뼈의 유연성과 강도를 함께 책임져요.
혈관과 장기 보호
혈관벽, 내장기관, 심장 등에서도 콜라겐은 조직을 단단하게 유지해주는 버팀목 역할을 해요.
상처 치유와 세포 재생
손상된 조직을 회복시키는 과정에서도 콜라겐은 핵심적인 역할을 해요.
이처럼 콜라겐은 단순한 피부 미용 성분이 아니라, 전신 건강에 꼭 필요한 핵심 단백질이에요.
왜 콜라겐이 줄어들면 문제가 될까요?
우리 몸은 원래 자체적으로 콜라겐을 생성할 수 있어요. 하지만 20대 중반부터 콜라겐 생성 능력이 점점 떨어지기 시작하고, 40대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해요. 여기에 흡연, 자외선, 스트레스, 당분이 많은 식습관 같은 외부 요인까지 겹치면 콜라겐이 빠르게 파괴되고 재생이 늦어지게 돼요.
그 결과, 피부는 점점 얇아지고 주름이 생기며, 관절은 뻣뻣해지고 연골이 닳기 쉬운 상태가 되죠. 이런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콜라겐 보충제나 음식 등을 통해 콜라겐을 보충하려고 해요. 하지만 정말로 그런 보충이 효과적인지는 다음 편에서 과학적으로 따져볼 예정이에요.
'생물학 맛보기 > 생물학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라겐] 3편 : 음식과 생활 습관으로 지키는 피부와 관절 건강 (0) | 2025.07.07 |
---|---|
[콜라겐] 2편 : 콜라겐 보충제, 정말 효과 있을까? (0) | 2025.07.07 |
[도파민] 2편 : 도파민의 작용 메커니즘, 도파민 내성, 도파민 중독 (0) | 2025.04.02 |
[도파민] 1편 – 도파민은 진짜 ‘쾌락 물질’일까? - 역할, 중독, 메커니즘 (0) | 2025.04.01 |
[항체] 5편 : 실험에 알맞은 항체를 선택하려면 무엇을 확인해야 할까요? (0) | 2025.03.29 |